#주성동영어학원 #주성동내신수능영어학원 #2024수능특강영어독해 #불당동더케이영어학원 #불당동영어학원 #율량동더케이영어학원 #영어를국어처럼읽는다
1강-1번
Sometimes when people have behaved badly, it is wise not to treat them badly in return; it is better to forgive them and let bygones be bygones. In such instances we might continue to recognize that they deserve worse; yet at the same time we choose to set this consideration aside. Some philosophers have found this paradoxical. How, they ask, can we say that someone deserves ill treatment and at the same time endorse forgiveness? If we ought to treat people as they deserve, and someone deserves to be treated badly, then forgiving him (and giving up the bad treatment) necessarily involves failing to do what we ought to do. It would follow, then, that we ought never to forgive people. Thus, the argument goes, we cannot both acknowledge deserts and countenance forgiveness.
때때로 사람들이 안 좋게 행동했을 때 그에 대한 반응으로 안 좋게 대우하지 않는 것이 현명하며, 그들을 용서하고 지나간 일은 잊는 것이 더 낫다. 그러한 경우에 우리는 그들이 더 안 좋게 대우를 받아 마땅하다는 것을 계속 인정할 수도 있겠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동시에 우리는 이런 생각을 제쳐 두기로 결정한다. 어떤 철학자들은 이것을 역설적이라고 여겼다. 어떻게 우리는 누군가가 형편없는 대우를 받아 마땅하다고 말하면서 동시에 용서를 지지할 수 있는 것인지 그들은 묻는다. 만약 받아 마땅한 대로 사람들을 대우해야 하고, 누군가는 안 좋게 대우를 받는 것이 마땅하다면, 그런 경우 그를 용서하는 것(그리고 그 안 좋은 대우를 그만두는 것)은 필연적으로 우리가 해야 할 일을 하지 못하는 것을 수반한다. 그러면 우리는 결코 사람들을 용서해서는 안 된다는 결론이 나올 것이다. 그러므로 그 주장은 우리는 당연한 응보를 인정하면서 동시에 용서를 허용할 수는 없다고 한다.
1강 - 2번
Have you ever thought about what the world is doing when you are not watching? One day while driving home from work, the freeway was jammed up, so I exited and took a long and windy road home through the countryside. I was thinking about this question and asked myself, "What do I see right now?" In that moment I could see a rolling hillside covered in green grass under a bluish sunset. But what lay beyond it? Surely I would know in a minute or so, when my car crested the hill. But I realized that my story of what lay beyond the hill was a fabrication in my mind. I could imagine the next hill, but the only reason I ascribe any reality to my imagination is that the next hill always appears when I get to the top of this one. My assumption that the next hillside exists is always verified, but it is verified by a future observation. In the present, all I know is what I am perceiving right now.
여러분이 지켜보고 있지 않을 때 세상은 무엇을 하고 있는지에 대해 생각해 본 적이 있는가? 어느 날 차를 몰고 집으로 퇴근하는 동안 고속도로가 꽉 막혀서, 나는 (고속도로를) 빠져나와 시골을 통과해 집으로 가는 길고도 구불구불한 길을 따라갔다. 나는 이 질문에 대해서 생각하다가 나 자신에게 "바로 지금 나는 무엇을 보는 걸까?"라고 물었다. 그 순간 나는 푸르스름한 저녁 노을 아래 초록색 풀로 뒤덮인 완만하게 기복하는 언덕 비탈을 볼 수 있었다. 하지만 그 너머에는 무엇이 있었을까? 분명히 1분가랑 후 내 차가 언덕 꼭대기에 오르면 알게 될 터였다. 하지만 나는 언덕 너머에 있는 것에 대한 내 이야기가 내 마음속에서 꾸며 낸 것이라는 것을 깨달았다. 나는 그다음 언덕을 상상할 수도 있겠지만, 어떤 현실이든 나의 상상에 속하는 것이라고 생각하는 유일한 이유는 그 다음 언덕이 항상 내가 이번 것의 정상에 도달할 때 나타나기 때문이다. 그다음 언덕 비탈이 존재한다는 나의 가정은 항상 검증되지만, 그것은 미래의 관찰에 의해 검증된다. '현재'에, 내가 알고 있는 전부는 내가 바로 지금 지각하고 있는 것뿐이다.
1강 - 3번
In a series of studies, participants were led to believe that they would have either a rich or impoverished social life in the future. For example, participants were given feedback from a supposed "personality test" indicating either that they could expect many positive and meaningful social relationships in their lives or that they would likely end up alone in the future. In a subsequent task, those participants who were made to feel low in belonging were faster to identify a smiling face in a set of sad and angry faces. Participants who were made to feel socially connected did not differ in the speed with which they could find smiling, angry, or sad faces. In another experiment, participants' eye movements were tracked. Low belonging participants were more likely to look at smiling compared with angry, sad, and neutral faces, and they were slower to disengage their visual attention from smiling faces. These results show that the threat of social exclusion can lead people to direct their attention toward sources signaling acceptance.
일련의 연구에서 참가자들은 미래에 풍부하거나 혹은 빈약한 사교 생활을 할 것이라고 믿도록 만들어졌다. 예를 들어, 참가자들은 자신의 삶에서 긍정적이고 의미 있는 많은 사회적 관계를 기대할 수 있다거나 또는 미래에는 결국 혼자 있게 될 가능성이 있다는 것을 보여 주는 소위 '인성 테스트'라는 것으로부터의 피드백을 받았다. 후속 과제에서, 친밀함이 적다고 느끼게 된 참가자들은 일련의 슬픈 얼굴과 화난 얼굴에서 미소 짓는 얼굴을 더 빨리 식별했다. 사회적으로 연결되었다고 느끼게 된 참가자들은 미소 짓는 얼굴, 화난 얼굴 또는 슬픈 얼굴을 찾아낼 수 있는 속도에 차이가 없었다. 또 다른 실험에서는 참가자들의 눈 움직임을 추적했다. 친밀함이 적은 참가자들은 화난 얼굴, 슬픈 얼굴 감정이 드러나지 않는 얼굴에 비해 미소 짓는 얼굴을 볼 가능성이 더 컸고, 자신의 시각적 주의를 미소 짓는 얼굴에서 벗어나게 하는 시간이 더 걸렸다. 이러한 결과는 사회적 배제의 위협이 있을 경우 사람들은 수용을 시사하는 원천으로 관심을 돌리게 될 수 있다는 것을 보여 준다.
1강 - 4번
Competition maintains the system of inequality in both schools and society. Supporting competitive systems is the ideology of competitive individualism ─ the notion that an individual's success or failure in life depends solely on her or his own efforts and merits, and that each person has an equal chance to compete and succeed. This discounts the powerful influence of race, gender, class, or any other aspects of a person's social identity, on a person's chances for opportunity and success. Competitive individualism places the blame for failure squarely on people rather than on social institutions that privilege some people at the expense of others. The message is clear: both winners and losers deserve what they get. Individualism is very different from individuality, which is the growth of each person's unique and full characteristics. Competitive individualism, in fact, hinders the growth of individuality in many people.
경쟁은 학교와 사회 모두에서 불평등의 체제를 유지한다. 경쟁 체제를 지지하는 것은 경쟁적 개인주의의 이데올로기인데, 인생에서 개인의 성공이나 실패는 오로지 자신의 노력과 공적에 달려 있으며, 각 개인은 경쟁하고 성공할 수 있는 동등한 기회를 가지고 있다는 개념이다. 이것은 인종, 성별, 계급, 또는 한 개인의 사회적 정체성의 어떤 다른 측면들이 그 사람의 기회와 성공 가능성에 미치는 강력한 영향력을 고려 대상에 넣지 않는다. 경쟁적 개인주의는 실패에 대한 책임을 다른 사람들을 희생하면서 일부 사람들에게 특권을 주는 사회적 제도보다는 곧바로 사람 탓으로 돌린다. 그 메시지는 분명하다. 즉 승자와 패자 모두 자신이 얻는 것을 받아 마땅하다. 개인주의는 개개인 특유의 완전한 특성의 성장인 개성과는 매우 다르다. 사실, 경쟁적 개인주의는 많은 사람에게서 개성의 성장을 방해한다.
1강 - 5번
Working with solid woods invites us to use the woods that grow around us. It invites us to appreciate our trees and forests at a deeper level. With reverence for the material, we humans may admit to ourselves as true what we are beginning to learn about trees and forests. Peter Wohlleben ─ German forester, scientist, and author of The Hidden Life of Trees ─ and other scientists, including Suzanne Simard at the University of British Columbia, suggest that trees have the means to communicate with each other and protect each other from threat. Trees are sophisticated organisms that live in communities, support their sick neighbors, and have the capacity to make decisions and fight off predators. Wohlleben and Simard have been criticized for anthropomorphizing trees, but they maintain that to succeed in preserving our forests in a rapidly warming world, we must start to look at trees in an entirely new light. Woodworkers can play a role in promoting this understanding of trees. By better understanding how our materials are sourced we can help to weave a sense of the interconnectedness of all life. By doing so, we can find greater meaning and purpose in our work and greater respect from others as we do it.
단단한 목재를 가지고 작업하면 우리 주변에서 자라는 숲을 이용하고 싶어진다. 그 작업을 하면 더 깊은 수준에서 우리의 나무와 숲의 가치를 알고 싶어진다. 재료에 대해 숭상하는 마음을 가지게 되면 우리 인간은 나무와 숲에 대해 알기 시작하고 있는 것을 진실한 것으로 자신에게 인정할 수도 있다. 독일의 수목 관리원이면서 과학자이자 The Hidden Life of Trees의 저자인 Peter Wohlleben과 British Columbia 대학교의 Suzanne Simard를 포함한 다른 과학자들은 나무들이 서로 의사소통하고 위협으로부터 서로를 보호할 수 있는 수단을 가지고 있다고 말한다. 나무는 군락을 이루어 살고, 병든 이웃을 지원하며, 결정을 내리고 포식자를 싸워서 물리치는 능력을 갖춘 정교한 유기체이다. Wohlleben과 Simard는 나무를 인격화한 것에 대해 비판을 받아왔지만 그들은 급속히 온난화하는 세계에서 우리의 숲을 보존하는 데 성공하기 위해 우리는 완전히 새로운 시각으로 나무를 바라보기 시작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나무 세공사들이 나무에 대한 이러한 이해를 증진하는 데 역할을 할 수 있다. 우리의 재료가 어떻게 공급되는지를 더 잘 이해함으로써 우리는 모든 생명체의 상호 연결성에 대한 감각을 엮어 만드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 그렇게 함으로써 우리는 우리의 일에서 더 큰 의미와 목적을 찾을 수 있고, 그것을 하면서 다른 사람들로부터 더 큰 존경을 받을 수 있다.
1강 - 6번
The sights, sounds, smells, tastes and feel of the world around us are solid, crisp, distinct and real. We do not doubt them; 'Seeing is believing.' The act of sensing something for ourselves cements it in reality ─ no longer a story told or heard, experienced second-hand, but a fixed representation of the real world around us, as solid as the floor beneath our feet, and as sharp as the knife blade that cuts our finger, as bright as the sun blinding us with its light. Our sensations are our portal into the physical world that envelops us, moulds and shapes us. Through the act of sensation, doubt is cast aside, our faith in what 'fie see or hear more absolute than a devout person's belief in God. In Aristotle's view, the five senses are the basis of all knowledge, through which we observe the 'essence' of the world; through our senses, the material world interacts with our psyche. Our inner world, our mind, is like soft wax imprinted with our sensory experiences.
우리 주변 세계의 광경, 소리, 냄새, 맛 그리고 느낌은 확실하고, 또렷하고, 분명하며, 실제로 존재한다. 우리는 그것들을 의심하지 않는데, '보는 것이 믿는 것이기' 때문이다. 우리 스스로 무엇인가를 감지하는 행동은 그것을 현실 속에 굳게 결합시켜서, 그것은 더 이상 이야기되거나 들리는, 즉 간접적으로 경험되는 이야기가 아니라 우리 발아래에 있는 바닥만큼 단단하고, 우리의 손가락을 베는 칼날만큼 날카로우며, 빛으로 우리의 눈을 부시게 하는 태양만큼 밝은, 우리 주변의 실제 세계에 대한 확고한 표현이다. 우리의 감각은 우리를 감싸고, 우리를 틀에 넣어 만들어 내는 물리적 세계로 들어가는 우리의 관문이다. 감각의 행위를 통해 의심은 버려지는데, 보거나 듣는 것에 대한 우리의 믿음은 독실한 사람의 신에 대한 믿음보다 더 절대적이다. 아리스토텔레스의 견해에 따르면 오감은 모든 지식의 기초이며, 그것을 통해 우리는 세계의 '본질'을 관찰하는데, 우리의 감각을 통해 물질세계는 우리의 정신과 상호 작용을 한다는 것이다. 우리의 내면세계, 즉 우리의 정신은 우리의 감각적 경험이 찍히는 부드러운 밀랍과 같다.
1강 - 7번
If you walk down a path, the sounds of your footsteps provide you with information about your gait. It turns out that people feel heavier or lighter if the sounds they're fed from their footsteps are transformed through software. Via clever experimental tricks, a young researcher has shown that high pitches associated with footfalls cause people to feel lighter, whereas low pitches cause people to feel heavier. She has also found that where you think your own hand is can be influenced by where you hear your hand is. In work by others, it has been shown that where your hand seems to be can be dramatically affected if you feel your hand being stroked while the hand you see being stroked isn't actually your hand but instead is a rubber replica. The fact that you can be fooled into thinking your hand is several inches away from where it actually is shows that you are more strongly tuned to feedback than you might have imagined.
길을 걸으면 여러분의 발걸음 소리는 여러분에게 걸음걸이에 관한 정보를 제공한다. 사람들은 자신의 발자국에서 제공되는 소리가 소프트웨어를 통해 변경되면, 결국 더 무겁거나 더 가볍게 느끼게 된다. 기발한 실험 방법을 통해 한 젊은 연구자는 발소리와 관련된 높은 음은 사람들이 더 가볍게 느끼게 하지만 낮은 음은 사람들이 더 무겁게 느끼게 한다는 것을 보여 주었다. 그녀는 또한 자신의 손이 어디에 있다고 생각하는지는 자신의 손이 어디에 있다고 듣는지에 의해 영향을 받을 수 있다는 것을 알아냈다. 다른 사람들의 연구에서, 자신의 손이 쓰다듬어지고 있다고 느끼고 있는데, 쓰다듬어지고 있는 것으로 보이는 손이 실제로는 자신의 손이 아니라 대신에 고무 복제품이라면 자신의 손이 어디에 있는 것으로 보이는지가 크게 영향을 받을 수 있다는 것이 증명되었다. 자신의 손이 실제로 있는 곳으로부터 몇 인치 떨어져 있다고 생각하도록 속을 수 있다는 사실은, 여러분은 자신이 생각했을 수도 있는 것보다 더 강하게 피드백에 맞추어진다는 것을 보여 준다.
1강 - 8번
A simple definition of chain of command is simply the order of authority and power in any organization. What is important to note about chain of command is that decisions should be made only by those who have responsibility for those decisions. If leaders usurp the authority of the leaders under them and make decisions at those levels, they destroy the credibility of their subordinates. We see examples of this all the time. A staff member is angry with the decision of their boss and wants to manipulate that decision by going to the person over that individual. When this happens, the more senior leader in this situation needs to send the staff person back to deal with their direct boss to give them the opportunity to fix the situation rather than riding in on their white horse to fix it for the staff. Open-door policies do not mean that you are there to fix things, but rather to give advice on the next steps that need to be followed.
'지휘 계통'의 간단한 정의는 단지 모든 조직의 권위와 권력의 체제일 뿐이다. 지휘 계통에 대해 주목해야 할 중요한 점은 결정은 그 결정에 책임이 있는 사람에 의해서만 내려져야 한다는 것이다. 리더가 자신 아래 있는 리더의 권위를 빼앗아 그 수준에서 결정을 내리면 부하 직원의 신뢰를 파괴한다. 우리는 항상 이것의 예를 본다. 한 직원이 상사의 결정에 화가 나서 그 사람 위에 있는 사람에게 가서 그 결정을 처리하고 싶어 한다. 이런 일이 발생할 때 이 상황에서 더 높은 직의 리더는 그 직원을 위해 그것을 해결하려 백마를 타려 하기보다는 그에게 그 상황을 해결할 수 있는 기회를 주기 위해 그 직원을 직속 상사에게 돌려보내 그를 상대하도록 할 필요가 있다. 자유로운 의사소통을 장려하는 정책이 의미하는 것은 여러분이 거기 있는 이유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가 아니라, 따라야 할 다음 단계에 대한 조언을 제공하기 위해서라는 것이다.
1강 - 9번
Know-how and information are distinct, but they are also intimately connected. The ability of a system to pack know-how depends largely on the fluidity with which it can use information to reconstruct the dynamic networks it needs to accumulate that know-how. A seed is a perfect example of this. It is a package containing both the know-how and the information needed to create a plant, such as a tree. The development of a tree is nothing other than the majestic unpacking of know-how facilitated by genetic information. A seed unpacking into a tree unpacks the know-how needed to perform photosynthesis, to build the structures that will transport nutrients and water from the ground to the leaves, and to defend itself against pests. A seed unpacking into a tree is an example of know-how and information being unpacked into a structure that is more complex than the one that begot it ─ the tree has the ability to perform functions that were absent in the seed.
노하우(실질적인 지식과 경험)와 정보는 별개이지만 또한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기도 하다. 시스템이 노하우를 꾸리는 능력은 그 노하우를 축적하는 데 필요한 역동적 네트워크를 재구성하기 위해 정보를 사용할 수 있는 유동성에 크게 의존한다. 씨앗이 이것의 완벽한 예이다. 그것은 나무와 같은 식물을 만드는 데 필요한 노하우와 정보 둘 모두를 담고 있는 꾸러미이다. 나무의 성장은 유전 정보에 의해 촉진되는 노하우 꾸러미를 웅장하게 풀어 낸 것일 뿐이다. 나무 안으로 꾸러미를 푸는 씨앗은 광합성을 수행하고, 영양분과 물을 땅에서 잎으로 운반할 구조를 세우고, 해충으로부터 스스로를 방어하는 데 필요한 노하우 꾸러미를 푸는 것이다. 나무 안으로 꾸러미를 푸는 씨앗은 노하우와 정보가 그것을 생기게 한 것보다 더 복잡한 구조로 풀린 예이다. 곧 나무는 씨앗에 없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지고 있는 것이다.
1강 - 10번
An emerging organizing theme in neuroscience is that the brain has evolved, fundamentally, to make predictions. The claim here is not that the business of anticipating events is one of the brain's important chores: it is the main reason for having (big) brains in the first place. It's a perspective that seems counterintuitive at first, but you will warm up to it as soon as you see how the brain handles otherwise puzzling facts. The core idea is as follows. We can interact with the world in an infinite number of ways. Such complexity would quickly overwhelm us. So for behavior to be purposeful and timely in such a high-dimensional environment, the set of possible choices must be pruned. We accomplish this by continuously, automatically and, importantly, unconsciously generating expectations that meaningfully inform ─ constrain ─ perception and action at every moment in life. Even when we daydream and don't engage in a specific activity the brain doesn't idle but actively produces predictions that anticipate future events.
신경 과학에서 떠오르는 체계가 잡힌 주저는 뇌가 기본적으로 예측을 하도록 진화했다는 것이다. 여기서 주장하는 것은 사건을 예측하는 일이 뇌의 중요한 통상 업무 가운데 하나라는 것이 아니라 애초에 (큰) 뇌를 갖는 주된 이유라는 것이다. 처음에는 그것이 직관에 반하는 것처럼 보이는 견해이지만, 뇌가 그렇지 않으면 당혹스러운 사실을 어떻게 처리하는지를 이해하자마자 그것에 관심을 더 가지게 될 것이다. 핵심 아이디어는 다음과 같다. 우리는 무수히 많은 방식으로 세상과 상호 작용을 할 수 있다. 그러한 복잡성은 우리를 빠르게 압도할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고차원의 환경에서 행동이 목적이 있고 시의적절하려면 가능한 일군의 선택지가 제거되어야 한다. 우리는 삶의 매 순간마다 지각과 행동에 의미 있게 영향을 미치는, 즉 그것을 억제하는 예상을 지속적으로 자동적으로 또 중요하게는 무의식적으로 생성함으로써 이를 달성한다. 심지어 우리가 공상을 하고 특정 활동을 하지 않을 때에도 뇌는 게으름을 피우지 않고 미래의 사건을 내다보는 예측을 적극적으로 만들어 낸다.
1강 - 11번
Fingerprints develop early in the pregnancy period. Between the sixth and thirteenth weeks of life, the characteristic bumps are already forming on the foetal fingers and palms. Innumerable environmental factors will now influence the formation of the unique pattern, including the exact position of the foetus in the womb at an exact moment, and the exact composition and density of surrounding amniotic fluid that circulates around the fingers as they touch whatever they meet. The movement of the baby as he or she shifts around inside the womb and the speed and size to which he or she grows ─ all affect how the fingerprint patterns form and ensure that the truly unique physical feature, which will distinguish each of us from anyone else, is never copied. In the entire course of human history, there is virtually no chance of the same exact fingerprint pattern forming twice, because there is no chance of an identical set of pre-natal events occurring to the same extent in the same way at the same time. And while other physical characteristics will change with age, your fingerprint remains the same right up to the grave. Touch something, and you leave on it a telling trace of your uniqueness
지문은 임신 기간 초기에 생긴다. 생명이 생긴 지 6주에서 13주 사이에, 특징적인 돌기가 이미 태아의 손가락과 손바닥에 형성되고 있다. (손가락이) 닿는 것이 무엇이든 손가락이 닿을 때 정확한 어느 한 순간에 자궁 속 태아의 정확한 위치, 손가락 주변에서 순환하는 주변 양수의 정확한 구성과 밀도를 포함해, 무수한 환경적 요인이 이제 독특한 무늬 형성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아기가 자궁 안에서 이리저리 움직일 때 아기의 움직임과 그 아기가 자라는 속도와 크기는 모두 지문의 패턴이 형성되는 방식에 영향을 미치며 우리 각자를 다른 누구와도 구별할 진정으로 독특한 신체적 특징이 결코 복제되지 않도록 보장한다. 인류 역사의 전체 과정에서, 동일한 지문 패턴이 두 번 형성될 가능성은 거의 없는데, 왜냐하면 일련의 동일한 출생 전 사건이 동일한 시각에, 동일한 방식으로 동일한 정도로 일어날 가능성은 없기 때문이다. 그리고 다른 신체적 특징들은 나이가 들면서 변하겠지만, 여러분의 지문은 바로 무덤까지 동일한 상태로 남아 있다. 무언가를 만지면 여러분은 자신의 독특함에 대한 강력한 흔적을 그 위에 남긴다.
1강 - 12번
In 2019, researchers at the University of the West of England conducted a survey of 5,000 passengers commuting to London from the Midlands. Fifty-three percent of them used Wi-Fi to "catch up" on work, thus, essentially, working. Email is the thin end of a wedge of work activities. Email allows someone to start engaging with their tasks, boss, and colleagues before they even physically set foot in the office, preparing themselves psychologically for the role they need to play. In his 2019 paper "Between Home and Work: Commuting as an Opportunity for Role Transitions," Jon Jachimowicz, from Harvard Business School, found that commuting offered an opportunity to conduct "work-related prospection" and "boundary management strategies," a process of planning ahead that helps busy parents and executives get the most out of their day and feel more satisfied. When someone applies makeup on a busy early morning train into work, or in their car, they are literally putting their "game face" on. Checking email complements this psychological preparation for work, giving someone a liminal zone before they are actually obligated to respond.
2019년에 University of the West of England의 연구원들은 잉글랜드 중부 지역에서 런던으로 통근하는 5,000명의 승객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했다. 그들 중 53퍼센트는 일을 '따라잡기' 위해 와이파이를 사용했는데, 따라서 본질적으로 일을 하고 있었다. 이메일은 업무 활동에 있어서 쐐기의 가는 끝(중대한 일로 확대되는 작은 실마리)이다. 이메일은 누군가가 실제로 사무실에 물리적으로 발을 들여놓기도 전에 그들의 업무, 상사, 그리고 동료에 관여하기 시작할 수 있게 하여 수행해야 할 역할에 대해 자신을 심리적으로 대비시킨다. 하버드 대학교 경영대학원의 Jon Jachimowicz가 자신의 2019년 논문 'Between Home and Work: Commuting as an Opportunity for Role Transitions'에서 밝힌 것은, 통근이 '업무 관련 전망'과 '경계 관리 전략'을 수행할 기회를 제공한다는 것이었는데, 이것은 바쁜 부모 겸 임원이 하루를 최대한 활용하고 더 만족감을 느낄 수 있도록 돕는 사전 계획 과정이다. 누군가가 직장으로 향하는 붐비는 새벽 기차에서 혹은 자신의 차 안에서 화장할 때, 그들은 말 그대로 '게임에 임하는 (진지한) 표정'을 입히는 것이다. 이메일을 확인하는 것은 일을 위한 이러한 심리적 준비를 보완하며, 실제로 응답해야 하기 전에 누군가에게 과도기적 영역을 부여한다.
2강 - 1번
The purity of recycled products plays a key role in explaining the strength of demand for them. One of the reasons for the high rate of aluminum recycling and the much lower rate of plastics recycling is the differential difficulty with which a high-quality product can be produced from discarded materials. Whereas bundles of aluminum cans have a relatively uniform quality, waste plastics tend to be highly contaminated with nonplastic substances or with plastics of very different types, and the plastics manufacturing process has little tolerance for impurities. Remaining contaminants in metals can frequently be eliminated by high-temperature combustion, but plastics are destroyed at such high temperatures. Finally, waste that contains hazardous materials, such as mercury and lead, raises additional complexities. The rapidly growing stream of electronic waste (e-waste) contains both hazardous waste and valuable minerals, creating complicated dilemmas. Markets for discarded electronics in industrializing countries may lack good enforcement mechanisms to ensure proper disposal of the hazardous components.
재활용되는 제품의 순도는 그것에 대한 수요의 강도를 설명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알루미늄 재활용률이 높고 플라스틱 재활용률이 훨씬 더 낮은 이유 중 하나는 폐기된 재료로부터 고품질 제품을 생산하는 데 있어서의 서로 다른 어려움이다. 꾸러미로 되어 있는 알루미늄 캔이 비교적 균일한 품질을 가지고 있는 반면에 폐플라스틱은 플라스틱이 아닌 물질이나 매우 다른 종류의 플라스틱으로 몹시 오염되는 경향이 있는데, 플라스틱 제조 과정은 불순물에 대한 허용 오차가 거의 없다. 금속에 남아 있는 오염 물질은 흔히 고온 연소를 통해 제거될 수 있지만 플라스틱은 그런 고온에서 파괴된다. 마지막으로 수은과 납과 같은 위험 물질이 들어 있는 폐기물은 추가적인 복잡성을 불러일으킨다. 빠르게 증가하고 있는 전자 기기 폐기물(e-폐기물)의 물결은 위험한 폐기물 '그리고' 귀중한 광물 둘 다 포함하고 있어서, 복잡한 딜레마를 야기한다. 산업화 과정에 있는 국가의 폐전자 제품 시장은 위험한 성분의 적절한 처리를 보장하는 바람직한 시행 방법이 부족할 수도 있다.
2강 - 2번
Swift geographical expansion was one of the factors that undermined democracy in the Middle East. Early democracy in pre-Islamic Arabia, as in many other human societies, was a small scale, face-to-face affair; elders from individual tribal groups would assemble, discuss, and reach some sort of a conclusion. The process was an informal one, precisely because the circumstances allowed for informality. With the Islamic conquests, the question was posed of how to govern not in a face-to-face setting but instead across distances of hundreds and even thousands of miles. Some scholars have suggested that in this situation what was needed was the practice eventually adopted by Europeans: a form of political representation that could allow for democratic governance over large distances. But Europeans took centuries of trial and error to arrive at this solution; the inhabitants of the Islamic world would have needed to figure this out within a matter of decades.
급속한 지리적 확장은 중동의 민주주의 기반을 약화시킨 요인 중 하나였다. 다른 많은 인간 사회에서와 마찬가지로 이슬람교의 영향을 받기 전 아라비아의 초기 민주주의는 소규모의 직접 대면하는 일이었다. 각 부족의 원로들이 모이고 토론하여 어떤 결론에 도달하곤 했다. 그 과정은 격식에 얽매이지 않는 것이었는데, 바로 상황이 비격식을 허용했기 때문이었다. 이슬람 정복과 함께, 직접 대면하는 환경이 아니라 대신 수백, 심지어 수천 마일의 공간 전체에 걸쳐 통치하는 방법에 관한 의문이 제기되었다. 어떤 학자들은 이 상황에서 필요했던 것은 유럽인들에 의해 결국 채택된 관습, 즉 광범위한 공간에 걸쳐서 민주적인 통치를 가능하게 할 수 있었던 정치적 대의 제도의 한 형태였다고 말해 왔다. 하지만 유럽인들은 이 해결책에 도달하기 위해 수 세기 동안의 시행착오를 필요로 했으나, 이슬람 세계에서 살고 있던 사람들은 볼과 수십 년 안에 이것을 생각해 냈어야 했을 것이다.
2강 - 3번
One can fully understand a physical process like the spider's web-weaving without being a spider ─ without ourselves being in a position to engage in this process and so without knowing what it feels like to perform the activity. But one cannot fully understand a cognitive process like color-vision or symbol-interpretation or anger without experiencing that sort of thing. It is one thing to explain how operations originate and another to know what it is like to perform them. The physiology of inebriation can be learned by everyone. But only the person who drinks can comprehend it in the "inner" experiential mode of cognitive access. The mental performances that reflect meaning and purpose can be understood only from within the orbit of experience (though their occurrence can doubtless be detected and accounted for through external scientific-causal examination). Talk of meaning, intending, purposing, and the like is bound to experience ─ to performer's perspective ─ and thus differs from the neurophysiology of brain processes which is wholly accessible to external observers.
사람은 거미가 되지 않고도 거미의 거미줄 엮기와 같은 신체적 과정을 충분히 이해할 수 있다. 즉, 스스로 이 과정에 참여할 수 있는 위치에 있지 않고 따라서 그 활동을 수행하는 것이 어떤 느낌인지를 알지 못해도 그럴 수 있다. 그러나 사람은 색각(色覺)이나 상징 해석이나 분노와 같 은 인지 과정을 그런 종류의 것을 경험하지 않고서는 충분히 이해할 수 없다. 활동이 어떻게 비롯되는지를 설명하는 것과 그것을 수행하는 것이 어떠한지를 아는 것은 별개의 것이다. 술 취한 상태의 생리 현상은 누구든지 배울 수 있다. 그러나 술을 마시는 사람만이 '내적' 경험 방식의 인지적 접근으로 그것을 이해할 수 있다. 의미와 목적을 반영하는 정신적 행위는 경험의 범위 안에서만 이해될 수 있다(비록 그것의 발생은 틀림없이 외부의 과학적 인과 관계 고찰을 통해 인지되고 설명될 수 있긴 하지만). 의향을 가지기, 의도를 가지기, 작정하기, 그리고 기타 등등의 것에 관한 논의는 경험, 즉 행위자의 관점과 결부되어 있으며, 따라서 외부 관찰자가 완전히 이해할 수 있는 두뇌 과정의 신경 생리 현상과는 다르다.
2강 - 4번
Over the centuries, notions of privacy have constricted in reaction to advancing technology. Taking people's pictures in public spaces without permission is not a legal invasion of privacy. What the Google Maps camera catches as it drives by, collecting images for Google Street View, is also not a violation. But spaces behind tall fences, shuttered windows, and closed doors are still in the realm of physically private spaces. Public space has been traditionally considered to be space where an individual voluntarily ventures out, with the knowledge that what he or she shares there ─ physical form and any utterance, transaction, or expression ─ is accessible by unknown members of a mass audience. One may not expect to be captured by Google Maps while retrieving the morning paper from the front steps, but a person who ventured out the front door knows that he or she is visible to others. Going out into public in the physical world provides consent to be viewed.
수 세기에 걸쳐 사생활에 대한 개념은 진보하는 기술에 반응하여 수축되었다. 공적 공간에서 허가 없이 사람들의 사진을 찍는 것은 사생활에 대한 법적 침해가 아니다. Google Maps 카메라가 Google Street View를 위한 이미지를 수집하면서 옆을 지나가며 주행하는 중에 포착하는 것 또한 침해가 아니다. 그러나 높은 울타리 덧문이 내려진 창문 그리고 닫힌 문 뒤에 있는 공간은 여전히 물리적으로 사적인 공간의 영역에 있다. 공적 공간은 전통적으로 한 개인이 그가 그곳에서 공유하는 것, 즉 물리적 형체와 모든 발언, 교류, 또는 표현이 알지 못하는 일반 대중의 구성원에 의해 접근될 수 있다는 것을 알고 자발적으로 조심스럽게 나가는 공간으로 여겨져 왔다. 어떤 한 사람이 현관 계단에서 조간신문을 찾아오는 동안 Google Maps에 포착될 것이라고 예상하지 않을 수도 있지만 조심스럽게 현관문을 나선 사람은 자신이 다른 사람에게 보인다는 것을 안다. 물리적 세계에서 사람들이 있는 곳으로 나서는 것은 목격되는 것에 대한 동의를 제공한다.
2강 - 5번
Franz Boas, the founder of American anthropology, was among the first scientists to challenge the taxonomic approach to human biological variation. Specifically, he wanted to test the widely held notion that head shape and other so-called racial markers were static entities, essentially unchanging through time. In the early 1900s, he and his researchers studied some 18,000 immigrant families, calculating the cephalic index ─ the ratio of head length to head breadth ─ of parents born in Europe and of their children born in the United States. The results of this study revealed that the adults' and children's head shapes differed, not by a lot but by a degree that could be expressed mathematically. This finding undermined the idea, prevalent at the time, that racial types were innately stable. Because the differences that had been cited among various races were not unchangeable, Boas concluded that the race concept was invalid. Boas's work laid the foundation for a scientific focus on biological process rather than on typological classification.
미국 인류학의 창시자인 Franz Boas는 인간의 생물학적 차이에 대한 분류학적 접근에 이의를 제기한 최초의 과학자 중 한 명이었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그는 머리 모양과 여타의 이른바 인종적 표지들이 시간이 지나도 본질적으로 변하지 않는 정적인 실체라는 널리 받아들여진 개념을[개념의 진위를] 시험해 보고자 했다. 1900년대 초에 그와 그의 연구자들은 약 18,000가구의 이민자 가정을 연구하여 유럽에서 태어난 부모와 미국에서 태어난 그들의 자녀들의 머리 길이에 대한 머리 너비의 비율인 두장폭지수를 계산하였다. 이 연구 결과는 어른과 자녀의 머리 모양이 많이는 아니지만, 수학적으로 표현될 수 있는 정도로 차이가 난다는 것을 밝혀냈다. 이 연구 결과는 그 당시 널리 퍼져 있던 인종 유형은 선천적으로 변치 않는다는 생각을 약화시켰다. 예로서 언급되었던 다양한 인종들 사이의 차이점이 불변하는 것이 아니었기 때문에, Boas는 인종 개념이 근거가 없다고 결론지었다. Boas의 연구는 유형학적 분류보다는 생물학적 과정에 과학적 초점을 맞추는 것을 위한 토대를 마련하였다.
2강 - 6번
It is important to realize that policymakers do not have very much information at the time when they must make policy decisions. For instance, the consumer price index is available only with a one-month lag, so our knowledge of inflation is always running a month behind the actual economy. The GDP (Gross Domestic Product) is even worse. The GDP data are available only quarterly, and we do not find out about GDP until well after a quarter ends, and even then substantial revisions to the numbers often occur many months after the quarter. The point is simply that the Federal Reserve, the Monetary Policy Committee, and other policymaking institutions must formulate policy today on the basis of less than complete knowledge of the current situation, and the policy must be addressed to a best guess of the future situation. It is like trying to drive a car looking only in the rearview mirror. You can see where you have been, but you must make decisions about where you will go next without knowing exactly where you are currently.
정책 결정을 내려야 하는 시점에 정책 입안자들은 가지고 있는 정보가 그리 많지 않다는 것을 깨닫는 것이 중요하다. 예를 들어, 소비자 물가 지수는 한 달의 시간적 격차가 있고 난 뒤에만 이용할 수 있으며, 따라서 인플레이션에 대한 우리의 지식은 항상 실제 경제 상태보다 한 달 뒤 떨어진다. GDP(국내 총생산)는 훨씬 더 심하다. GDP 데이터는 분기별로만 이용할 수 있고, 분기 종료 후 한참이 지날 때까지 GDP에 대해 알 수 없으며, 그리고 그때가 되어서도 분기 후 여러 달이 지나고 나서 수치에 대한 상당한 수정이 흔히 발생한다. 요점은 간단히 말해 연방 준비 은행, 통화 정책 위원회, 그리고 다른 정책 입안 기관들은 '현재의' 상황에 대한 결코 완전하지 않은 지식을 바탕으로 지금 정책을 만들어 내야 하며, 그 정책은 '미래' 상황에 대한 최선의 추측에 맞추어 다루어져야 한다는 것이다. 그것은 뒷거울만 보면서 자동차를 운전하려고 애를 쓰는 것과 같다. 자신이 지금까지 어디에 있었는지는 볼 수 있지만, 자신이 현재 정확히 어디에 있는지 알지 못한 채 다음에 어디로 갈지에 대한 결정을 내려야 한다.
2강 - 7번
The laser is an example of the underrating of the practical implications of a scientific discovery. When Arthur Schawlow and Charles Townes published their seminal paper describing the principle of the laser in Physical Review in 1958, it produced considerable excitement in the scientific community and eventually won them Nobel Prizes. However, neither these authors nor others in their group predicted the enormous and diverse practical implications of their discovery. Lasers, apart from their many uses in science, have enabled the development of fast computers, target designation in warfare, communication over very long distances, space exploration and travel, surgery to remove brain tumors, and numerous everyday uses ─ bar-code scanners in supermarkets, for example. Schawlow frequently expressed strong doubts about the laser's practicality and often quipped that it would be useful only to robbers for safecracking. Yet advances in laser technology continue to make news to this day.
레이저는 과학적 발견의 실용적인 영향을 과소평가한 것의 한 예이다. Arthur Schawlow와 Charles Townes가 1958년에 Physical Review에 레이저의 원리를 설명하는 중대한 논문을 발표했을 때, 그것은 과학계에 상당한 흥분을 불러일으켰고 마침내 그들에게 노벨상을 안겨주었다. 하지만 이 저자들이나 그들 집단의 다른 사람들 누구도 그들의 발견이 가지는 방대하고 다양한 실용적 영향을 예측하지 못했다. 레이저는 과학에서의 많은 용도 이외에도 속도가 빠른 컴퓨터의 개발 전쟁에서의 표적 지정, 매우 먼 거리에 걸친 통신, 우주 탐사 및 여행, 뇌종양 제거 수술, 그리고 예를 들어 슈퍼마켓에서의 바코드 스캐너와 같은 수많은 일상적 사용을 가능하게 했다. Schawlow는 레이저의 실용성에 대해 자주 강한 의구심을 표명했으며, 그것이 금고 털이를 하는 도둑에게만 유용할 것이라고 자주 빈정댔다. 그러나 레이저 기술의 발전은 오늘날까지도 계속해서 뉴스거리를 만들고 있다.
2강 - 8번
Virtual Reality (VR) is a simulated experience of the real world in which individuals can interact within an artificial three-dimensional environment using electronic devices. Its close cousin, Augmented Reality (AR), refers to the enhancement of the real world using computer generated perceptual information, such as overlaying digital imagery onto the real world. Taken together, they are known as "immersive technologies" that may completely change how we experience journalism. Their power lies in their transformative storytelling capabilities. They help provide viewers with a more accurate physical representation of space, spatial relationships, sense of spatial presence, and experienced immersion. The well-known VR film producer Chris Milk, who created a film that puts viewers inside a refugee camp, said the technology is an "ultimate empathy machine" that "connects humans to other humans in a profound way I've never before seen in any other form of media, and it can change people's perception of each other." This statement is backed by some empirical research that suggests that VR can increase the empathy of viewers and their perception of the credibility of news. That's why these technologies have been considered as the new frontier of journalism.
가상 현실(VR)은 개인들이 전자 장치를 사용하여 인위적인 3차원 환경 내에서 상호 작용할 수 있는 실제 세계의 모의 경험이다. 그것의 가까운 사촌인 증강 현실(AR)은 현실 세계에 디지털 이미지를 덮어씌우는 것과 같이 컴퓨터로 생성된 지각 정보를 사용하여 현실 세계를 강화 시키는 것을 말한다. 종합하면 그것들은 우리가 저널리즘을 경험하는 방식을 완전히 바꿀 수도 있는 '몰입 기술'이라고 알려져 있다. 그것들의 힘은 변화시키는 힘을 가진 스토리텔링 능력에 있다. 그것들은 시청자에게 공간, 공간적 관계, 공간적 존재감, 경험한 몰입에 대한 더 정확한 물리적 표현을 제공하는 데 도움을 준다. 시청자를 난민 수용소 안으로 들어가게 하는 영화를 만든 유명한 가상 현실 영화 제작자 Chris Milk는 그 기술은 "최고의 공감 기계"로서, "내가 어떤 다른 형태의 미디어에서 전에 본 적이 없는 심오한 방식으로 인간을 다른 인간과 연결하며, 그것이 사람들의 서로에 대한 인식을 바꿀 수 있다"고 말했다. 이 진술은 가상 현실이 시청자의 공감과 뉴스의 신뢰성에 대한 그들의 인식을 높일 수 있음을 보여 주는 몇몇 경험적 연구에 의해 뒷받침된다. 그런 이유로 이런 기술은 저널리즘의 새로운 미개척 분야로 간주되어 왔다.
2강 - 9번
Managed forests are second-growth forests that have been planted, thinned, fertilized, and sprayed with pesticides, just like a farmer's field. One of the first things you notice when you walk in a managed forest is that the trees are smaller than in an old-growth forest. And the forest looks mostly brown, instead of green. This is because the trees are all the same age, the same size and the same height. The trees grow close together, and very little light gets through their branches. This means that there aren't any berry bushes or other plants on the forest floor because they can't get enough light to grow. Because the trees are so young, they don't have any mosses growing on them. Without the nurse logs and snags and diversity of plants, there is less habitat available for wildlife. We can still hear birds chirping high up in the canopy, but overall there is much less biodiversity in a planted second-growth forest.
관리림은 농부의 밭과 꼭 마찬가지로 심고 간벌하고 비료를 주고 살충제를 살포한 이차림이다. 관리림을 걸을 때 가장 먼저 눈에 띄는 것 중 하나는 나무가 노숙림(老熟林)에 있는 것들보다 더 작다는 것이다. 그리고 그 숲은 녹색이 아니라 대부분 갈색으로 보인다. 이것은 나무들이 모두 같은 수령, 같은 크기, 같은 키이기 때문이다. 그 나무들은 서로 가까이 자라고 가지를 통해 들어오는 빛이 거의 없다. 이것은 자라기에 충분한 빛을 얻을 수 없기 때문에 숲 바닥에 딸기류 덤불이나 다른 식물이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 나무들이 너무 어리기 때문에 그것에서 자라는 이끼도 없다. 쓰러진 나무, 그루터기, 다양한 초목이 없어서, 야생 동물이 이용할 수 있는 서식지가 더 적다. 우리는 새들이 숲의 우거진 윗부분 높은 곳에서 짹짹 우는 소리를 여전히 들을 수 있지만 심어진 이 차림에는 전반적으로 생물 다양성이 훨씬 더 적다.
2강 - 10번
The fact that emotions are unlearned, automated, and set by the genome always raises the specter of genetic determinism. Is there nothing personal and educable about one's emotions? The answer is that there is plenty. The essential mechanism of the emotions in a normal brain is indeed quite similar across individuals, and a good thing too because it provides humanity, in diverse cultures, with a common ground of fundamental preferences on the matters of pain and pleasure. But while the mechanisms are distinctly similar, the circumstances in which certain stimuli have become emotionally competent for you are unlikely to be the same as for me. There are things that you fear that I do not, and vice versa; things you love and I do not, and vice versa; and many, many things that we both fear and love. In other words, emotional responses are considerably customized relative to the causative stimulus. In this regard, we are quite alike but not entirely.
감정이 학습되지 않고, 자동화되고, 유전자 총체에 의해 설정된다는 사실은 항상 유전자 결정론의 망령을 불러일으킨다. 사람의 감정에는 개인적이고 교육이 가능한 것은 하나도 없는가? 답은 많다는 것이다. 정상적인 뇌에서 감정의 본질적인 메커니즘은 사실 개인들 전체에서 상당히 유사하며, 또한 좋은 점도 있는데 왜냐하면 그것은 다양한 문화에서 인류에게 고통과 기쁨의 문제에 대한 근본적인 선호에 있어서 공통된 기반을 제공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그 메커니즘이 분명히 유사하지만 특정한 자극이 여러분에게 감정적으로 능력을 갖게 되는 감정을 불러일으키게 되는 상황이 나에게는 똑같이 그럴 것 같지 않다. 여러분이 두려워하는 것 중에는 내가 두려워하지 않는 것도 있고 그 반대의 경우도 성립하며, 여러분이 좋아하는 것 중에 내가 좋아하지 않는 것도 있으며, 그 반대의 경우도 성립하고, 우리 둘 다 두려워하고 좋아하는 것이 아주 많이 있다. 다시 말해서 감정적 반응은 원인이 되는 자극에 대하여 상당히 맞춤화 되어 있다. 이런 점에서 우리는 꽤 비슷하지만 완전히 같은 것은 아니다.
2강 - 11번
The French sociologist Emile Durkheim advocated functionalism. Durkheim was the first to promote science as a basis for making sociological decisions. Rooted in the French political and social upheaval from 1870 to 1895, Durkheim believed changes in social institutions and quality of life occurred through political reform and scientific advances. He was the first to suggest that to understand an individual one must not look at the individual, but rather at the society or group in which that individual is a member. Durkheim believed society was greater than its individuals and that society's components had tremendous power to shape and influence human behavior. He believed individualism and self-interest threatened the cohesion of social institutions and undermined the authoritative nature of group life. As a result, individual autonomy came at the expense of the good of the collective forces. Consequently, Durkheim was an advocate of moral education, due to his concern with increasing individualism. He advocated that society's different components comprise a collective conscience that affects individual thought and behavior for the good of the whole.
프랑스 사회학자 Emile Durkheim은 기능주의를 지지했다. Durkheim은 사회학적 결정을 위한 토대로 과학을 장려한 최초의 사람이었다. 1870년에서 1895년 사이에 일어난 프랑스의 정치적 사회적 격변에 뿌리를 두고서, Durkheim은 사회 제도와 삶의 질의 변화는 정치 개혁과 과학 진보를 통해 일어난다고 믿었다. 그는 개인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그 개인을 보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그 개인이 구성원으로 있는 사회나 집단을 봐야 한다고 처음으로 제안한 사람이었다. Durkheim은 사회가 그것을 이루고 있는 개인들보다 힘이 더 크다고 믿었으며 사회의 구성 요소가 인간의 행동을 형성하고 (그것에) 영향을 주는 막대한 힘을 가지고 있다고 믿었다. 그는 개인주의와 사리 추구가 사회 제도의 응집력을 위협하고 집단생활의 권위적 본질을 약화시킨다고 믿었다. 결과적으로 개인의 자율성은 집단 세력의 이익을 희생해서 생겨났다. 결과적으로 Durkheim은 증대하는 개인주의에 대한 우려 때문에 도덕 교육을 주장하는 사람이었다. 그는 사회의 다양한 구성 요소가 전체의 이익을 위해 개인의 생각과 행동에 영향을 끼치는 집단 양심을 구성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2강 - 12번
Simplifying an explanation, description or argument is not always a bad thing to do. In fact, it can be very useful. To truly understand a physical phenomenon, to reveal its essence, the scientist will attempt to strip away the unnecessary detail and expose its bare bones (always 'as simple as possible, but no simpler'). For example, laboratory experiments are often carried out under specially controlled conditions to create artificial and idealized environments that make the important features of a phenomenon easier to study. Unfortunately, this hardly ever applies when it comes to human behavior. The real world is messy and often far too complicated to simplify. There is a well-known joke ─ to physicists, at any rate - about a dairy farmer who wishes to find a way of increasing the milk production of his cows and so seeks the help of a team of theoretical physicists. After carefully studying the problem, the physicists finally tell him they have found a solution, but that it only works if they assume a spherical cow in a vacuum.
설명 기술 혹은 주장을 단순화하는 것이 항상 하기에 나쁜 것만은 아니다. 사실 그것은 매우 유용할 수 있다. 물리적 현상을 제대로 이해하기 위해서, 즉 그것의 본질을 밝혀내기 위해서 과학자는 곧잘 불필요한 세부 사항을 벗겨 내고, (항상 '가능한 한 단순하지만, 조금도 단순하지 않은) 그 골자를 노출시키기를 시도할 것이다. 예를 들어 실험실에서의 실험은 흔히 어느 현상의 중요한 특징들을 연구하기 더 쉽게 하는 인위적이고 최적화된 환경을 만들기 위해 특별히 통제된 조건하에서 행해진다. 안타깝게도 인간의 행동에 관한 한 이것이 적용되는 경우는 거의 없다. 실제 세계는 혼란스럽고 흔히 너무 지나치게 복잡해서 단순화할 수 없다. 어쨌든 물리학자에게는 잘 알려져 있는 농담이 하나 있는데, 소의 우유 생산을 증가시킬 방법을 찾고 싶어서 이론 물리학자 팀의 도움을 구하는 낙농업자에 관한 것이다. 그 문제를 세밀하게 연구한 후에 물리학자들은 마침내 그에게 자신들이 해결책을 찾았지만, 그것은 자신들이 진공 상태에 있는 구형의 소를 가정할 때만 효과가 있다고 말한다.
3강 - 1번
It would be outrageous if three similar people, convicted of the same crime, received radically different penalties: probation for one, two years in jail for another, and ten years in jail for another. And yet that outrage can be found in many nations ― not only in the distant past but also today. All over the world, judges have long had a great deal of discretion in deciding on appropriate sentences. In many nations, experts have celebrated this discretion and have seen it as both just and humane. They have insisted that criminal sentences should be based on a host of factors involving not only the crime but also the defendant's character and circumstances. Individualized tailoring was the order of the day. If judges were constrained by rules, criminals would be treated in a dehumanized way; they would not be seen as unique individuals entitled to draw attention to the details of their situation. The very idea of due process of law seemed, to many, to call for open-ended judicial discretion.
만약 같은 범죄로 유죄 판결을 받은 세 명의 비슷한 사람이 한 명은 집행유예 다른 한 명은 징역2년, 다른 한 명은 징역 10년처럼 완전히 다른 처벌을 받는다면 터무니없을 것이다. 그러나 그러한 터무니없는 일이 많은 나라에서 발견될 수 있는데, 먼 과거뿐만 아니라 오늘날에도 그렇다. 전 세계적으로 판사들은 적절한 형벌을 결정하는 데 있어 오랫동안 많은 재량권을 가지고 있어 왔다. 많은 나라에서, 전문가들은 이 재량권을 칭송해 왔고 그것을 공정하고 인도적인 것으로 여겨 왔다. 그들은 범죄의 처벌이 범죄뿐만 아니라 피고의 성격과 사정도 포함하는 다수의 요인에 근거해야 한다고 주장해 왔다. 개인 맞춤이 풍조였다. 만약 판사들이 법규에 의해 제약을 받는다면 범죄자들은 비인간적인 방식으로 다루어질 것인데, 즉 그들은 자신들의 처지의 세세한 부분에 관심을 끌 자격이 있는 고유한 개인으로 여겨지지 않을 것이다. 많은 사람에게, 정당한 법적 절차라는 바로 그 개념은 제한을 두지 않는 사법적 재량권을 요구하는 것처럼 보였다.
3강 -2번
Sometimes we don't have others around to help us, and we get stuck with having to do it all ourselves. Pilots have a technique for doing this that's founded on the old adage of "first things first." This involves giving priority to some things and postponing others. We do the most important stuff first and let the less important stuff wait. In aviation, we use a simple prioritization scheme: "aviate, navigate, communicate." That means we fly the airplane first. And when that is completely under control, then and only then do we move on to the other two things in the list. But isn't navigating important? Sure, it's the second most important thing. If you lose control of the airplane, no one is going to care whether you crash in eastern Idaho or western Wyoming. The whole point is to fly the airplane and not let either of those things happen. When you're asked to do two things, don't be afraid to admit you can't do two things at once.
때때로 우리는 우리를 도와줄 다른 사람들이 주위에 없고 그래서 어쩔 수 없이 그 모든 일을 직접 해야만 한다. 조종사들은 '제일 중요한 것을 맨 먼저'라는 오래된 격언에 기초한, 이를 수행하는 기술을 가지고 있다. 이것은 어떤 것에 우선순위를 두고 다른 것을 미루는 것을 포함한다. 우리는 가장 중요한 일을 먼저 하고 덜 중요한 일을 미루어 둔다. 항공술에서는 '조종하라, 항로를 찾아라, 통신하라'라는 간단한 우선순위 방식을 사용한다. 그것은 우리가 먼저 비행기를 조종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리고 그것이 완전히 제어될 때, 그때 그리고 그때서야 비로소 우리는 목록의 다른 두 가지 항목으로 넘어간다. 하지만 항로를 찾는 것이 중요하지 않은가? 물론 그것은 두 번째로 중요한 것이다. 비행기를 제어할 수 없게 되면 Idaho 동부에서 추락하든 Wyoming 서부에서 추락하든 아무도 신경 쓰지 않을 것이다. 요점은 비행기를 조종하고 그런 일 중 어떤 것도 일어나게 두지 않는 것이다. 두 가지 일을 하라는 요청을 받을 때 두 가지 일을 동시에 할 수 없다는 것을 인정하는 것을 두려워하지 말라.
3강- 3번
The sober self-disciplined character of the nineteenth century yielded long ago to that of the consumer, endlessly flattered as being in the driving seat, 'free to choose' and urged to enjoy. Gerda Reith argues that this presents a paradox, citing the passage from Civilization and Its Discontents where Sigmund Freud asserts that civilization requires the renunciation of instinct, as the cause of discontent. The source of current discontent for consumers is that, on the one hand, they are told to enjoy, to assemble a unique identity from the meanings presented by offerings in the marketplace; on the other, they are warned that they must suppress their desire, constraining their enjoyment within socially approved bounds. This is heightened today in the age of 'sustainability' and 'prosperity without growth'. The consumer walks a tightrope in seeking to ensure they are not wrong footed by desire. The fate for those who cannot maintain their balance is to be labelled a 'disordered' consumer, addicted to any or all of a proliferating number of activities and substances deemed dangerous from alcohol, gambling, caffeine, the Internet, to shopping and credit.
19세기의 냉철하고 자율적인 특성은 상황을 주도하고 있다고 끝없이 우쭐해지고, '마음대로 선택하며', 즐기도록 강력히 권고되는 소비자의 특성으로 오래전에 대체되었다. Gerda Reith는 이것이 모순을 제공한다고 주장하면서, Sigmund Freud가 문명이 본능의 포기를 요구한다고 주장하는 Civilization and Its Discontents의 한 구절을 불만의 원인으로 들고 있다. 소비자에게 헌재의 불만의 원천은, 한편으로는 즐기라는, 곧 시장에서 제공하는 제품이 제시하는 의미로부터 고유한 정체성을 구성하라는 말을 들으면서, 다른 한편으로는 자신들의 욕망을 억누르고, 사회적으로 승인된 한계 내에서 자신들의 즐거움을 제한해야 한다는 경고를 받는다는 것이다. 이것은 오늘날 '지속 가능성'과 '성장 없는 번영'의 시대에 고조되고 있다. 소비자는 반드시 자신이 욕망에 의해 발을 잘못 디디지 않게 하려고 애쓰면서 줄타기를 한다. 자신의 균형을 유지할 수 없는 사람들의 운명은 알코올 도박, 카페인, 인터넷에서부터 쇼핑과 신용 거래에 이르기까지 위험하다고 간주되는 급증하는 많은 활동과 물질의 일부 또는 전체에 중독된 '병든' 소비자라는 꼬리표가 붙는 것이다.
3강 - 4번
Reasoning by analogy can lead experts to develop poor solutions when faced with new but seemingly familiar situations. When reasoning by analogy, a person starts with a new, unfamiliar target problem to solve. She then considers other source settings she knows well and compares them to the target through a process of similarity mapping. By finding a source problem she believes has similar characteristics as the target, she identifies a candidate solution that solved or could have solved the source problem. The whole process may be summed up like this: "I've seen something like this before, so what worked there may work here." While analogical reasoning can be a valuable source of insight and creativity, it can lead to poor solutions when problem solvers develop analogies based on superficial similarities instead of deep causal traits. When problem solvers have deep experience in a particular domain, their knowledge is salient and easy to recall, which can lead them to pay more attention to characteristics of the new setting that seem similar and ignore those that are different, and to develop superficial analogies and poor solutions. Experience can be a poor guide when working outside your area of expertise or when the nature of your work changes.
유추에 의한 추론은 전문가들이 새롭지만 익숙해 보이는 상황에 직면할 때 좋지 않은 해결책을 만들어 내도록 할 수 있다. 유추에 의해 추론할 때, 사람은 물어야 할 새롭고 낯선 목표 문제로부터 시작한다. 그런 다음 자신이 잘 알고 있는 다른 자료 환경들을 고려하고 유사성 매핑 과정을 통해 그것들을 목표와 비교한다. 목표와 유사한 특성을 가지고 있다고 자신이 믿는 자료 문제를 찾아냄으로써, 그는 그 자료 문제를 해결했거나 해결할 수 있었던 후보 해결책을 확인한다. 전체 과정은 다음과 같이 요약될 수 있다. "나는 이런 것을 전에 본 적이 있으므로, 거기서 효과가 있던 것이 여기서도 효과가 있을 수 있다." 유추적 추론은 통찰력과 창의성의 귀중한 원천이 될 수 있지만, 문제 해결자가 깊은 인과 관계적 특성 대신 표면적인 유사성을 기반으로 유추를 만들어 낼 때 좋지 않은 해결책을 초래할 수 있다. 문제 해결자가 특정 영역에서 깊은 경험을 가지고 있을 때, 그들의 지식은 두드러지고 기억해 내기 쉬운데, 이 때문에 그들은 새로운 환경의 유사해 보이는 특성들에 더 많은 관심을 기울이고 다른 것들을 무시하며, 피상적인 유추와 좋지 않은 해결책을 만들어 낼 수 있다. 여러분의 전문 지식 분야 밖에서 일하거나 여러분의 업무 성격이 바뀔 때 경험은 좋지 않은 지침이 될 수 있다.
3강 - 5번
In a study, infants are first habituated to some recurring event ─ for example, a toy car that rolls down an inclined ramp, passes behind one end of a screen, and exits at the other end. Initially, this event is quite interesting and infants attend to it closely; eventually, however, looking times drop off, reflecting the fact that the babies are habituating to the familiar event. Following habituation, the infants see a box placed behind a screen. In one experimental condition (the possible event) the box is placed behind the tracks on which the car runs; in the other experimental condition (the impossible event) the box is placed directly on the tracks. The screen is then set back in place, and the car again makes its journey from one side to the other. Infants show little dishabituation to the possible event; looking times shoot up, however, when the car appears to pass magically through another solid object. Note that the babies cannot see the car and box at the point of their apparent contact; rather, they can be surprised by the impossible event only if they realize that both the car and box continue to exist while out of sight.
한 연구에서, 유아들이 먼저 어떤 되풀이되는 사건, 예를 들어 기울어진 경사로를 굴러 내려가다가 스크린의 한쪽 끝의 뒤를 지나 다른 쪽 끝으로 나가는 장난감 자동차와 같은 것에 익숙해진다. 처음에는 이 사건이 꽤 흥미로워서 유아들은 열심히 그것에 주의를 기울인다. 하지만 결국 지켜보는 시간이 줄어드는데 이는 아기들이 눈에 익은 사건에 익숙해지고 있다는 사실을 나타낸다. 습관화 후에 유아들은 스크린 뒤에 상자가 놓이는 것을 본다. 한 실험 조건('가능한 사건')에서는 상자가 자동차가 달리는 궤도 뒤에 놓이고, 다른 실험 조건('불가능한 사건')에서는 상자가 궤도 바로 위에 놓인다. 그런 다음 스크린이 제자리에 다시 설치되고, 자동차는 다시 한쪽에서 다른 쪽으로 이동한다. 유아들은 가능한 사건에 대해 탈습관화를 거의 보이지 않는다. 하지만 자동차가 다른 단단한 물체를 마법처럼 통과하는 것처럼 보일 때 지켜보는 시간이 급증한다. 아기들이 자동차와 상자의 명백한 접촉 순간을 볼 수 없다는 점에 주목하라. 오히려, 그들은 자동차와 상자가 둘 다 보이지 않는 동안에도 계속 존재한다는 것을 이해해야만 불가능한 사건에 놀랄 수 있다.
3강 - 6번
Consciousness is the smallest player in the operations of the brain. For better understanding, consider a newspaper. When you pick up a newspaper, you won't be surprised that none of the details of the activity in a nation are listed in the paper; after all, you want to know the bottom line. You want to know that Congress just signed a new tax law that affects your family, but the detailed origin of the idea isn't especially important to that new bottom line. You don't care how the garbage is produced and packed away; you only care if it's going to end up in your backyard. That's what you get from reading the newspaper. Your conscious mind is that newspaper. Your brain buzzes with activity around the clock, and, just like the nation, almost everything occurs locally: small groups are constantly making decisions and sending out messages to other groups. Out of these local interactions emerge larger coalitions. By the time you read a mental headline, the important action has already occurred, the deals are done. You have little access to what happened behind the scenes. Entire political movements gain ground-up support and become unstoppable before you ever catch wind of them as a feeling or a thought that strikes you. You're the last one to hear the information.
의식은 두뇌의 작동에서 가장 작은 역할을 한다. 더 잘 이해하기 위해 신문을 생각해 보라. 신문을 집어 들 때, 한 나라의 활동에 대한 그 어떤 세부 사항들도 신문에 나와 있지 않다는 것에 놀라지는 않을 것인데 어쨌든 여러분은 최종 결과를 알고 싶어 하기 때문이다. 여러분은 의회가 여러분의 가족에게 영향을 미치는 새로운 세법에 방금 서명했다는 것을 알고 싶어 하지만, 그 아이디어의 상세한 발단은 그 새로운 최종 결과에 특별히 중요하지 않다. 여러분은 쓰레기가 어떻게 만들어지고 치워지는 지에 대해 신경 쓰지 않으며, 그것이 결국 여러분의 뒷마당으로 오게 될 것인지에만 신경을 쓴다. 그것이 여러분이 신문을 읽으면서 얻는 것이다. 여러분의 의식은 그 신문이다. 여러분의 두뇌는 24시간 내내 활동으로 부산하며, 국가와 마찬가지로 거의 모든 것이 국지적으로 일어나는데 작은 그룹들이 끊임없이 결정을 내리고 다른 그룹들에게 메시지를 보내고 있다. 이러한 국지적 상호 작용으로부터 더 큰 연합체가 생겨 난다. 여러분이 정신의 헤드라인을 읽을 때에는 중요한 조치가 이마 일어났고 상황은 종결되었다. 여러분은 막후에서 일어난 일에 거의 접근할 수 없다. 여러분에게 떠오르는 감정이나 생각의 형태로 모든 정치적 활동의 낌새를 채기 훨씬 전에 그것들은 밑바닥부터의 지지를 얻고 막을 수 없게 된다. 여러분은 마지막으로 그 정보를 듣는 사람이다.
3강 - 7번
A large number of mammalian species, including humans, occasionally work at deceiving others outside their troop or living unit. To the outsiders, individuals attempt to appear stronger or weaker, healthier or sicker than they really are. Within human groups, people deceive not only outgroup members but ingroup members as well ─ spouses, children, village leaders. In truth, it is beyond my expertise to know if people in all human cultures behave counter to the established rules in their society and, if they do, they occasionally keep their actions secret. Similarly, I cannot attest to whether all human cultures have words such as "lie," "deceive," "trick," "shame," or "guilt" in their vocabularies. Whatever the final judgement as to the universality of deception, our data would suggest that, to the extent that individuals must actively conceal important information from others in their social network, the act of concealment should be stressful.
인간을 포함하여 많은 포유류 종들은 때때로 자신의 무리나 주거지 밖의 다른 개체들을 속이려고 애쓴다. 외부 개체들에게, 개체들은 실제보다 더 강하거나 더 약하게, 더 건강하거나 더 아프게 보이려고 시도한다. 인간 집단 내에서는, 사람들이 외집단 구성원들뿐만 아니라 배우자, 자녀, 마을 지도자 같은 내집단 구성원들도 속인다. 사실, 모든 인간 문화의 사람들이 자신의 사회에서 확립된 규칙과 반대로 행동을 하는지 그리고 만약 그들이 그렇게 한다면 때때로 자신의 행동을 비밀로 하는지는 내 전문 지식으로는 알 수 없다. 마찬가지로 나는 모든 인간 문화가 그것의 어휘에 '거짓말하다', '속이다', '꼼수', '수치', 혹은 '죄책감' 같은 단어를 갖고 있는지 증명할 수 없다. 속임의 보편성에 대한 최종 판단이 무엇이든 우리의 데이터는 개인이 자신의 사회망 내에서 타인으로부터 중요한 정보를 적극적으로 은폐해야 하는 한 은폐 행위는 스트레스가 많으리라는 것을 시사할 것이다.
3강 - 8번
Beliefs and personalities change continually as people grow. My belief about the existence of Santa Claus is now completely opposed to the belief I had when I was young. Was I brainwashed by the adult world? No. I simply grew up, gradually accepting along the way that there was no such person as Santa Claus. But consider my friend Keith's extremely strong belief in Christianity. If Keith were to vanish for a month and then reappear an enthusiastic atheist I would suspect that someone had been exerting undue influence, whereas if I hadn't seen Keith for ten years I would be much more likely to attribute the lapse to natural causes. In other words, the shorter the time of transition ─ between old and new beliefs ─ the more likely that some form of brainwashing has occurred.
믿음과 성격은 사람들이 성장함에 따라 계속해서 변한다. 산타클로스의 존재에 대한 나의 믿음은 내가 어렸을 때 가졌던 믿음과 이제 완전히 반대된다. 내가 어른 세계에 의해 세뇌를 당한 걸까? 아니다. 나는 그저 성장했을 뿐이고, 그 과정에서 산타클로스 같은 사람은 없다는 것을 차츰 받아들인 것이다. 하지만 내 친구 Keith가 가진 기독교에 대한 매우 강한 믿음을 생각해 보자. 만약 Keith가 한 달 동안 사라졌다가 그 뒤에 열정적인 무신론자로 다시 나타난다면 나는 누군가가 부당한 영항력을 행사하고 있었다고 의심하게 될 것인데, 반면에 만약 내가 Keith를 10년 동안 보지 못했다면, 나는 그 배교가 자연적인 요인 때문이라고 여길 가능성이 훨씬 더 높을 것이다. 다시 말해서, 옛 믿음과 새로운 믿음 사이의 전환 시간이 짧을수록, 어떤 형태의 세뇌가 일어났을 가능성이 더 높다.
3강 - 9번
Several nineteenth-century scholars noted that the basis of social solidarity changed as societies became larger and more diverse. Instead of the cultural similarity that constitutes mechanical solidarity, societies with a complex division of labor are held together by their differences: the cobbler depends on the baker for bread, who depends on the carpenter for shelter, who depends on the blacksmith for tools, who depends on the cobbler for shoes. With this kind of economic interdependence, it did not matter so much that people thought and believed the same things and looked at the world in a distinctive way. Therefore, common culture became less important, and individual variability increased. On the analogy with the different, interdependent physiological functions of the organs of the body, Emile Durkheim named this kind of social cohesiveness "organic solidarity."
몇몇 19세기 학자들은 사회가 더 크고 더 다양해짐에 따라 사회적 연대의 기반이 변한다는 것에 주목했다. 기계적 연대를 구성하는 문화적 유사성 대신에, 복잡한 분업을 가진 사회는 그 '다름'에 의해 단결되는데, 즉 구두 수선공은 빵을 얻기 위해 제빵사에게 의존하고, 제빵사는 주거지를 얻기 위해 목수에게 의지하고, 목수는 공구를 얻기 위해 대장장이에게 의지하고, 대장장이는 신발을 얻기 위해 구두 수선공에게 의존한다. 이런 종류의 경제적 상호 의존이 있었으므로, 사람들이 똑같은 것을 생각하고 믿으며 세상을 독특하게 바라보는 것이 그리 문제가 되지 않았다. 따라서 공통의 문화가 덜 중요해졌고, 개인의 다양성이 증가했다. 신체 기관의 서로 다른 상호 의존적인 생리적 기능과의 유사성에 기반을 두어 Emile Durkheim은 이러한 형태의 사회적 응집성을 '유기적 연대'라고 명명하였다.
3강 - 10번
Practitioners in the security industry agree that security culture is a vital component of their cybersecurity program. However, research shows that security practitioners have difficulty agreeing on what security culture is. This may be because the phrase security culture is rather new, leading to some confusion. Our industry has talked about security awareness for a long time, leading to some security people thinking security culture is just awareness with a new name. Another bias we see, particularly in some industries where safety is key to success, is a definition of security culture as though it is safety culture: dealing with the physical world instead of the abstracted world of information. It is much easier for us as humans to understand how a hard hat will protect our head from falling debris versus understanding how sharing our credentials in a phishing scam can injure us and our employer.
보안 업계의 실무자들은 보안 문화가 자신들의 사이버 보안 프로그램의 중요한 구성 요소라는 데 동의한다. 그러나 연구에 따르면, 보안 실무자들은 보안 문화가 무엇인지에 관해 합의하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것은 '보안 문화'라는 문구가 꽤 새로운 것이라, 다소 혼선을 일으키기 때문일 것이다. 우리 업계는 오랫동안 '보안에 대한 인식'에 관해 논의해 왔는데 이는 일부 보안 담당자들이 보안 문화가 단순히 인식이 새로운 이름을 갖게 된 것일 뿐이라고 생각하게 만드는 결과를 가져왔다. 특히 안전이 성공의 비결인 몇몇 업계에서 우리가 보게 되는 또 다른 편견은 보안 문화를 마치 그것이 안전 문화인 것처럼, 즉 추상화된 정보 세계가 아니라 물리적 세계를 다루는 것처럼 정의하는 것이다. 인간인 우리에게는 우리의 신용 증명서를 피싱 사기에 공유하는 것이 어떻게 우리와 우리의 고용주를 해칠 수 있는지 이해하는 것에 비해 안전모가 떨어지는 파편으로부터 우리의 머리를 어떻게 보호할지 이해하는 것이 훨씬 더 쉽다.
3강 - 11번
There will need to be a partnership with the health sector in both disease control programmes and the development of health systems. It is likely that paying attention to the social determinants of health, including health care, will make health services more effective. The health sector will also play a leadership and advocacy role in the development of policies to deal with the social determinants of health. But lack of health care is not the cause of the huge global burden of illness: water-borne diseases are not caused by lack of antibiotics but by dirty water, and by the political, social, and economic forces that fail to make clean water available to all; heart disease is caused not by a lack of coronary care units but by the lives people lead, which are shaped by the environments in which they live; obesity is not caused by moral failure on the part of individuals but by the excess availability of high-fat and high-sugar foods. The main action on social determinants of health must therefore come from outside the health sector.
질병 통제 프로그램과 보건 시스템 개발 모두에서 보건 부문과의 협력이 있어야 할 것이다. 건강 관리 서비스를 포함한 건강의 사회적 결정 요인에 주목하는 것이 보건 서비스를 더욱 효과적이게 만들 가능성이 있다. 보건 부문은 또한 건강의 사회적 결정 요인을 다루기 위한 정책 개발에서 지도와 옹호의 역할을 할 것이다. 그러나 건강 관리 서비스의 부족이 질병에 대한 거대한 세계적 부담의 원인은 아니다. 즉 수인성 질병은 항생제 부족으로 야기되는 것이 아니라 더러운 물에 의해, 그리고 깨끗한 물을 모두가 이용할 수 있게 만들지 못하는 정치적, 사회적, 그리고 경제적 힘에 의해 야기된다. 심장병은 관상 동맥 집중 치료실의 부족에 의해서 야기되는 것이 아니라 사람들이 사는 환경에 의해 형성되는 그들이 영위하는 삶에 의해 야기된다. 비만은 개인의 도덕적 실패에 의해 야기되는 것이 아니라 고지방과 고당분 음식을 필요 이상으로 입수할 수 있다는 점에 의해 야기된다. 따라서 건강의 사회적 결정 요인에 대한 주요 조치는 보건 부문 밖으로부터 와야 한다.
3강 - 12번
In a broad sense, each organization has successfully monetized their intellectual property (IP), which Merriam-Webster defines as "property (such as an idea, invention, or process) that derives from the work of the mind or intellect." In our discussions with industry leaders across the country, we were surprised at how many believe most Main Street nonprofits don't really have much IP. Some felt the reason for this is since nonprofits exist to fill the voids left by government and the private sector, those with valuable IP would be replaced by for-profit businesses. However, this assumes organizations are limiting their definition of IP to more traditional interpretations, such as patents and trademarks. When we broaden it, as Merriam Webster does, to include ideas and processes ─ anything an organization knows how to do that others value ─ we start to see numerous opportunities for nonprofits to get paid for their "secret sauce."
넓은 의미에서, 각 조직은 자신들의 지적 재산(IP)을 성공적으로 수익화 했는데, Merriam-Webster는 이를 '정신이나 지성의 작용으로부터 나오는 (아이디어, 발명, 혹은 과정과 같은) 재산'이라고 정의한다. 전국의 업계 지도자들과의 토론에서, 우리는 얼마나 많은 이가 중소규모의 비영리 단체들 대부분이 지적 재산을 별로 많이 가지고 있지 않다고 생각 하는지에 놀랐다. 몇몇은 이것의 이유가, 비영리 단체는 정부와 민간 부문이 남겨둔 빈 곳을 메우기 위해 존재하므로 가치가 큰 지적 재산을 가진 비영리 단체는 영리를 추구하는 사업체로 대체될 것이기 때문이라고 생각했다. 그러나 이는 조직들이 지적 재산에 대한 자신들의 정의를 특허 및 상표와 같은 더 전통적인 해석으로 제한하고 있음을 상정한다. Merriam-Webster가 그러하듯이 우리가 그것의 범위를 넓혀 '아이디어'와 '과정'을, 즉 한 조직이 어떻게 하는지 알고 있는 것으로서 다른 이들이 가치 있게 여기는 것이라면 무엇이든 포함시킬 때, 우리는 비영리 단체가 자신들의 '비법'에 대해 보상을 받을 수 있는 수많은 기회를 보기 시작한다.
4강 1번
Because actions are carried out in all walks of life, they have useful things to say about virtually all that you do. Start with sports. Each year, millions of dollars are spent on methods for helping runners run faster, broad jumpers jump farther, pole vaulters vault higher, and so on. Sports have seen huge advances in the past century, with new records being set at an astonishing pace. Records have been set because new approaches have been taken to sports training as well as sports equipment, sports clothing, and the venues where sporting events take place. If you look at clothing worn by athletes in past times, it's no wonder that players today can perform so much more easily and effectively. Add to the new ways of dressing, changes in eating and the emergence of sports psychology (an entire discipline devoted to helping people prepare mentally as well as physically for competitions), and you can see how greater enlightenment has led to better athletic performance.
행위는 모든 직종에서 수행되기 때문에 그것은 여러분이 하는 거의 모든 일에 관해 말해줄 유용한 것이 있다. 스포츠로 시작해 보자. 매년 수 백만 달러가 달리기 선수가 더 빨리 달리게, 멀리뛰기 선수가 더 멀리 뛰게, 장대높이뛰기 선수가 더 높이 뛰어넘게 하는 등등에 도움을 주는 방법에 쓰이고 있다. 스포츠는 지난 세기에 엄청난 발전을 했으며 놀라운 속도로 신기록이 수립되고 있다. 스포츠 장비, 스포츠 의류, 그리고 스포츠 경기가 개최되는 장소뿐만 아니라 스포츠 훈련에 새로운 접근법이 취해졌기 때문에 기록이 수립되어 왔다. 만일 여러분이 지난 시대에 선수들이 입었던 의류를 본다면, 선수들이 오늘날 그토록 훨씬 더 쉽고 효과적으로 실적을 낼 수 있는 것은 놀라운 일이 아니다. 새로운 옷 입기 방식에, 식사의 변화와 (사람들이 경기를 위해 신체적으로뿐만 아니라 정신적으로도 준비하는 데 도움을 주는 것을 전문으로 하는 하나의 온전한 학문 분야인) 스포츠 심리학의 출현을 보태어 보면, 여러분은 더 커다란 인식의 발전이 더 나은 운동 실적을 어떻게 가져왔는지 알 수 있다.
4강 2번
Neuroscientists such as David Eagleman have done studies to examine the brain's internal clock. In one experiment, subjects watched a movie with fast-running cheetahs, with their legs coming off the ground, like Trinity in The Matrix. During the movie, a red dot of a fixed duration is flashed, when all four legs are suspended in midair. The same experiment is repeated with a small twist; in the second experiment, the same cheetah movie was played in slow motion, and the same annoying red dot blinked for the same duration as it had before when the cheetah caught air at normal speed. After the tests were compared, moviegoers believed that the red dot during the slow motion movie was shorter. "Your brain says I need to readjust my sense of time," said Eagleman. Our brain determines the time based on our knowledge of the laws of physics. Our perception of time is shaped by the events it uses to measure time.
David Eagleman과 같은 신경 과학자들은 두뇌의 체내 시계를 조사하기 위한 연구를 해 왔다. 한 실험에서 피험자들은 The Matrix의 Trinity처럼 다리를 지면에 대지 않고 빠르게 달리는 치타가 나오는 영화를 시청했다. 그 영화가 상영되는 동안 네 발이 모두 공중에 떠 있을 때 지속 시간이 일정한 빨간 점이 비추어진다. 동일한 실험이 하나의 작은, 예상과 다른 변화를 주고 반복되는데, 두 번째 실험에서 동일한 치타 영화가 느린 동작으로 상영되었고 동일한 성가신 빨간 점은 치타가 보통의 속도로 뛰어올랐을 때 전에 그랬던 것과 동일한 지속 시간 동안 깜박였다. 그 테스트들이 비교되고 나서, 영화 관람객들은 느린 동작 영화에서의 빨간 점이 더 짧다고 생각했다. "내가 시간에 대한 인식을 재조정할 필요가 있겠다고 여러분의 두뇌는 말한다"라고 Eagleman은 말했다. 우리의 두뇌는 그 시간을 물리 법칙에 관한 우리의 지식을 토대로 결정한다. 시간에 관한 우리의 지각은 그것이 시간을 측정하기 위해 사용하는 사건에 의해 형성된다.
4강 3번
From cave paintings to smartphones, human beings have been drawing or typing lines, letters, and figures, seeing their ideas, imaginings, thoughts, and dreams materialize outside their minds. They have done so not only to transmit them to others but also to converse with those others who are in fact themselves, reflecting upon their reflections. We use pieces of paper and computer screens to remember things we fear shall be forgotten, to perform complicated calculations we cannot complete in our heads alone, to organize the chaos that fills them, to ponder, and even simply to wander in our imaginations while doodling funny heads or endless chains of flowers. We conduct our lives surrounded by external devices that help us recall information, calculate, plan, design, make decisions, articulate ideas, and reflect once and again upon our inner thoughts and images. We think with objects.
동굴 벽화에서 스마트폰에 이르기까지 인간은 선, 글자, 그리고 그림을 그리거나 입력하여, 자신의 아이디어, 상상, 생각, 그리고 꿈이 정신의 외부에서 구체화하는 것을 보아 왔다. 인간은 그것들을 다른 사람에게 전달하기 위해서뿐만 아니라, 그의 생각에 대해 곰곰이 생각하면서 실제로는 자신인 그 다른 사람과 대화하기 위해서도 그렇게 해 왔다. 우리는 잊힐 것이 걱정되는 것을 기억하기 위해, 우리 머리에서만 완수할 수 없는 복잡한 계산을 하기 위해 머리를 채우는 혼돈을 정리하기 위해 숙고하기 위해, 그리고 심지어 재미있는 두상들이나 끝없이 연속되는 꽃들을 끄적거리면서 단지 우리의 상상 속을 돌아다니기 위해, 종잇장과 컴퓨터 화면을 사용한다. 우리는 우리가 정보를 떠올리고, 계산하고, 계획하고, 구상하고, 결정하고, 아이디어를 분명히 표현하고, 우리 내면의 생각과 이미지를 여러 번 되풀이하여 곰곰이 생각하는 데 도움을 주는 외부 기기에 둘러싸여 생활한다. 우리는 물체를 가지고 사고한다.
4강 4번
It shouldn't be surprising to consider that there might be a set of complex rules that governs how linguistic units are stuck together or organized. After all, in what other science do we not see the same principle at play? Consider chemistry. The basic building blocks are atoms which together form molecules. But you can't just take any old atoms and stick them together. Each molecule is made up of a very specific combination of a very specific set of atoms. Consider water: We know that a water molecule is made up of two atoms of hydrogen and one of oxygen. Those amounts of those specific atoms follow some general principles of atom combination rules, and consequently, that type of molecule can exist. In introductory chemistry classes, a student learns the different elements of matter and what they're composed of, as well as learning the rules that govern how those elements/atoms are allowed to stick together. With that knowledge, they can begin to construct and deconstruct more complex organizations of matter.
언어 단위가 함께 결합되거나 조직되는 방식을 규정하는 일련의 복잡한 규칙이 있을 수도 있다고 생각하는 것은 놀랍지 않을 것이다. 어쨌든, 동일한 원리가 작동하는 것이 보이지 않는 어떤 다른 학문이 있는가? 화학을 생각해 보라. 기본적 구성 요소는 함께 분자를 형성하는 원자이다. 그러나 그저 어떤 원자들이라도 취하여 그것들을 함께 결합할 수는 없다. 각각의 분자는 아주 특정한 일련의 원자들의 아주 특정한 결합으로 이뤄져 있다. 물을 생각해 보라. 우리는 물 분자가 두 개의 수소 원자와 한 개의 산소 원자로 이뤄져 있다는 것을 알고 있다. 그 특정 원자들의 그 양은 원자 결합 규칙의 몇몇 보편적 원리를 따르고 그 결과 그 유형의 분자가 존재할 수 있다. 입문자를 위한 화학 수업에서 학생은 물질의 다양한 원소와 그것[원소]을 구성하는 것을, 그 원소들/원자들이 함께 붙을 수 있는 방식을 규정하는 규칙을 배우는 것에 더하여, 배운다. 그 지식으로, 그 학생은 물질의 더 복잡한 조직을 구성하고 분해하기 시작할 수 있다.
4강 5번
The main difference between a story and an anecdote is that a story shows transformation over time. And the only thing that causes transformation is conflict. Think for a moment about something from your past that you might want to write about. Was there something you wanted that you had to struggle to get? Were there any obstacles, challenges, or antagonists that tried to stop you from getting what you wanted? Was there a moment when all seemed lost, when it seemed like quitting was the only option? Were you able to overcome those forces opposed to you? If you answered yes to these questions, you absolutely have a story to tell that is more complicated than simply what happened to you. Your story is a detailed retelling of how the things that happened to you affected you, what hard decision you made in the face of conflict and struggle, and how you changed or what you learned as a result.
스토리와 일화 간의 주요한 차이는 스토리는 시간이 지나면서 변신을 보여 준다는 것이다. 그리고 변신을 일으키는 유일한 것은 갈등이다. 여러분이 주제 삼아 쓰고 싶어 할 수도 있는 여러분 과거의 어떤 일을 잠시 생각해 보라. 여러분이 얻기 위해 분투해야 했던 원하는 어떤 것이 있었는가? 여러분이 원하는 것을 얻는 것을 막으려 하는 장애물 문제, 혹은 적대자가 있었는가? 모든 것이 상실된 것처럼 보인 중단이 유일한 선택인 것 같은 때가 있었는가? 여러분에게 적대했던 그 세력을 극복할 수 있었는가? 이 질문들에 그렇다고 답했다면, 여러분은 그저 여러분에게 일어났던 일보다 더 복잡한 말할 스토리를 틀림없이 가지고 있다. 여러분의 스토리는 여러분에게 일어난 일들이 여러분에게 어떻게 영향을 미쳤는지, 갈등과 힘든 일에 직면하여 어떤 힘든 결정을 했는지, 그리고 그 결과 여러분이 어떻게 변했는지 혹은 무엇을 배웠는지에 관해 상세하게 다시 말하는 것이다.
4강 6번
Getting into a cold swimming pool is easiest at the deep end, but getting into a writing project is easiest at the shallow end. If starting seems difficult, you can fool yourself by easing into the job. When you've decided to "start" on a new manuscript (even if early writing means you already have a fair bit of material drafted), begin with whatever part of the project you find easiest. Don't worry if what you write first isn't the part that will be read first: readers won't know or care where you started. When I write a paper, I start with the acknowledgments. Sure, these are trivial, but once they're done, I feel as though I'm underway. Next I take a slightly harder step, perhaps drafting a figure or a table. Before long, I'm sweating over sentence structure in a hard section. Easing in doesn't change the fact that writing is hard work, but starting with something easy at least gives you momentum that sees you doing the harder stuff.
차가운 수영장으로 들어가는 것은 수심이 깊은 끝 쪽에서 가장 쉽지만, 글쓰기 프로젝트에 들어가는 것은 얕은 끝 쪽에서 가장 쉽다. 시작하는 것이 어려워 보인다면, 여러분은 서서히 그 작업에 들어감으로써 자신을 속일 수 있다. (초기 글쓰기가 여러분이 초안이 작성된 상당한 양의 자료를 이미 갖고 있다는 것을 의미하는 경우라도) 새 원고를 '시작'하기로 결심했을 때, 프로젝트에서 가장 쉽다고 생각하는 부분이 어디든지 거기서 시작하라. 처음 쓰는 것이 처음 읽힐 부분이 아니더라도 걱정하지 말라. 독자는 여러분이 어디에서 시작했는지 알지도 신경 쓰지도 않을 것이다. 나는 논문을 쓸 때, 감사의 글부터 시작한다. 물론, 이것[감사의 글]은 사소하지만, 일단 그것을 마치고 나면 나는 진행 중인 것처럼 느낀다. 다음으로 나는 약간 더 힘든 걸음을 내딛는데, 아마 도표나 표의 초안을 작성한다. 오래되지 않아, 나는 힘든 부분에서 문장 구조에 심혈을 기울이고 있다. 서서히 익숙해지는 것이 글쓰기가 힘든 일이라는 사실을 바꾸지는 않지만, 쉬운 어떤 일부터 시작하는 것은 적어도 여러분에게 여러분이 더 힘든 것을 하게 되는 추진력을 준다.
4강 7번
We tend to think of specific vegetational or fuel types as all being more or less susceptible to fire. Yet what is also important is what makes up a particular vegetation or fuel complex. Take, for example, the northern boreal l forests that are predominantly made up of large areas of coniferous trees. The burning history and susceptibility to fire has been found to vary across this community of plants. Recent research shows that the differences in the tree species composition in North American and Eurasian boreal forests explain the differences in fires. So, for example, the fires in North American boreal forests typically tend to be high-intensity crown fires. Many of these forests are dominated by a particular suite of conifers, including black spruce and jack pine. In contrast, the boreal forest fires in Eurasia, where the forests are dominated by spruce, Scots pine, and, larch, tend to be low-intensity surface fires, with less severe impacts. This is why it is misguided for politicians to imagine that fire occurrence and methods of control in one region can necessarily be applied to another.
우리는 특정한 초목 혹은 연료 유형 모두가 화재에 거의 취약하다고 생각하는 경향이 있다. 그러나 또한 중요한 것은 무엇이 특정 초목 혹은 연료 집합체를 구성하고 있느냐이다. 넓은 면적의 침엽수로 대부분 이루어진 북방 아한대림을 예로 들어 보자. 화재 이력과 화재에 대한 취약성은 이 식물 군락 전체에 걸쳐 제각기 다른 것으로 밝혀졌다. 최근의 연구는 북미와 유라시아의 아한대림의 수종 구성의 차이가 화재에서의 차이를 설명한다는 것을 보여 준다. 따라서 예를 들면, 북미의 아한대림에서 발생한 화재는 일반적으로 고강도의 수관화(樹冠火)인 경향이 있다. 이들 중 많은 삼림에서 검정가문비나무와 뱅크스소나무를 포함하는 특정 침엽수 무리가 우세하다. 그에 반해서 가문비나무, 구주소나무, 낙엽송이 삼림에서 우세한 유라시아의 아한대림 화재는 저강도의 지표화 (地表火)인 경향이 있으며, 영향도 덜 심각하다. 이 때문에 정치인들이 한 지역의 화재 발생과 통제 방법이 다른 지역에도 반드시 적용될 수 있다고 생각하는 것은 잘못 안 것이다.
4강 8번
The forms of social order that our species has invented in the past seven thousand or so years ─ involving cities and markets and modern telecommunications ─ are surely a force in our natural selection. People's experiences of interacting with strangers thanks to those inventions are likely changing our genes. For instance, as a species, we may be getting smarter because we live in cities, where urban culture is getting ever more complex, stimulating, and demanding. We almost certainly are evolving to have different immune systems (and related physiological traits) as members of our species live in denser and denser aggregations, and as people move over ever longer distances between cities, which gives rise to new sorts of epidemics. For instance, mutations appear to have recently arisen in our species that confer resistance to epidemics of typhoid newly made possible by urbanization and long distance trade in Europe in the past few thousand years.
지금까지 7천 년가량 되는 시간 동안 도시, 시장 및 현대의 원격 통신을 포함하여 우리 종이 발명한 사회 질서의 형태는 분명히 자연 선택에서의 한 가지 힘이다. 그런 발명품들 덕분에 사람들이 낯선 이들과 상호 작용을 하는 경험이 아마 우리의 유전자를 바꾸고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종으로서 우리는 도시에서 살기 때문에 더 똑똑해지고 있을 수도 있는데, 거기에서는 도시의 문화가 계속하여 더 복잡해지고, 더 많은 자극을 주고, 더 많은 요구를 하고 있다. 우리는 우리 종의 구성원들이 점점 더 조밀한 집단에서 살고, 그리고 사람들이 새로운 종류의 유행병을 낳는 도시 간에 훨씬 더 먼 거리를 이동함에 따라 거의 틀림없이 다른 면역 체계(그리고 관련된 생리적인 특성)를 가지도록 진화하고 있다. 예를 들어, 지난 수천 년 동안 유럽에서 도시화와 원거리 무역에 의해 장티푸스 유행병에 대하여 새롭게 가능해진 저항력을 부여하는 돌연변이가 우리 종에서 최근 생겨난 것처럼 보인다.
4강 9번
In European history, many of the song forms favored by the most popular performers were explicitly connected to dances. These origins are often preserved in the musical terminology we use today. The rondo is now treated as a specifically musical form with a recurring refrain, but the term likely derives from the circular dance that accompanied the rondeau of the wandering musicians of the late medieval era. Today we use the word carol to describe a Christmas song, but it comes from a very popular dance of that period, the carole. A host of other terms, from minuet to waltz, are now used to describe concert hall music, but originated among dancers. I doubt we will ever grasp the full impact of dancing on musical style, which shows up even where we least expect to find it. Charles Rosen, in his seminal study The Classical Style, marvels over the process by which the four-bar phrase gained a "stranglehold on rhythmic structure" in classical music, and is forced to conclude that "the periodic phrase is related to the dance, with its need for a phrase pattern that corresponds to steps and to groupings." In other words, even the elitist masterworks of Mozart and Beethoven move to the beat of the peasants' feet.
유럽 역사에서, 가장 인기 있는 공연자들이 선호하는 가곡 형식 중 많은 수가 춤과 명백하게 관련이 있었다. 이러한 기원은 오늘날 우리가 사용하는 음악 용어에 흔히 보존되고 있다. rondo는 이제 반복되는 후렴구가 있는 명확하게 음악적인 형식으로 취급되지만, 그 용어는 아마 중세 시대 후기 방랑 악사의 rondeau를 동반한 원형 춤에서 유래한 것 같다. 오늘날 우리는 크리스마스 노래를 묘사하기 위해 carol이라는 단어를 사용하지만 그것은 그 시대의 매우 대중적인 춤인 carole에서 유래한다. minuet에서 waltz에 이르기까지 다수의 다른 용어가 이제 콘서트홀 음악을 설명하는 데 사용되지만 원래는 무용수들 사이에서 유래했다. 나는 우리가 음악 스타일에 대한 춤의 완전한 영향을 정말 이해할 수 있을지 의심스럽지만 그것[춤의 영향]은 우리가 찾을 수 있으리라고 전혀 기대 하지 않는 곳에서도 나타난다. Charles Rosen은 자신의 중요한 연구서인 The Classical Style에서 네 마디 악구가 고전주의 음악에서 "리듬의 구조에 대한 완전한 지배"를 획득하는 과정에 감탄하며, ''그 주기적인 악구는 (춤을 출 때의) 스텝 및 (나뉜) 조와 일치하는 악구 패턴이 필요하므로 그 춤과 관련되어 있다."라는 결론을 내릴 수밖에 없다. 즉, 모차르트와 베토벤의 엘리트주의 걸작도 농부들의 발 박자에 맞추어 진행된다.
4강 10번
Everyday anxiety is nothing surprising; we all experience worries, concerns, even moments of panic sometimes. But anxiety isn't a binary proposition, like a light switch that's either on or off. Imagine instead a dimmer sliding up and down, sometimes quickly, other times hardly at all. Low-level anxiety is present in our lives so often, like the air we breathe, that we might not even notice it. It happens when we open the door to meet our new boss or when we look outside and see snow coming down as we're packing up for our drive home; suddenly we're paying close attention to something we'd really rather not think about, but the feeling doesn't last for more than a minute or two. Once I meet my new boss, I soon get a sense of what she's like and my anxiety subsides. As I start driving home, I see that the roads are still clear, so my worries ease. Once we sense how things will tum out, our mild anxiety fades away like morning mist burnt off by the sun's warmth.
일상적인 불안은 결코 놀라운 것이 아닌데 우리는 모두 근심거리, 걱정거리, 때때로 심지어 공황의 순간도 경험한다. 하지만 불안은 켜지거나 아니면 꺼지는 전등 스위치와 같은 이분법적인 명제가 아니다. 대신 조광기가 때로는 빠르게, 또 어느 때는 거의 움직이지 않으며, 위아래로 오르내리는 것을 상상해 보라. 낮은 수준의 불안은 우리가 숨 쉬는 공기와 같이 우리 삶에 매우 자주 존재해서 그것을 알아차리기조차 못할 수도 있다. 그것은 우리가 새 상사를 만나기 위해 문을 열 때, 혹은 집으로 운전해서 가기 위해 짐을 싸면서 밖을 내다보다가 눈이 내리고 있는 것을 볼 때 일어나는데, 갑자기 우리는 정말로 생각하고 싶지 않은 어떤 것에 세심한 주의를 기울이고 있지만, 그 느낌은 1~2분 넘게 지속되지는 않는다. 일단 내가 새로운 상사를 만나면, 나는 곧 그녀가 어떤 사람인지 알아차리게 되고 내 불안감은 가라앉는다. 집으로 차를 몰기 시작하면, 아직 길이 막혀 있지 않은 것을 알고 내 걱정은 누그러진다. 일단 일이 어떻게 될지를 감지하면 우리의 가벼운 불안감은 태양의 온기에 의해 걷히는 아침 안개처럼 사라진다.
4강 11번
A well-known and puzzling paradox of psychophysical magnitude perception is that people are rather good at discriminating the intensity of different magnitudes, but remarkably poor at categorizing them absolutely. That is, people are typically able to tell which is the louder of two sounds, or the brighter of two lights, with an accuracy that would lead to the naive impression that they can tell the difference between of the order of a hundred different physical intensity levels. Yet when people are asked to explicitly associate intensity levels with category labels (e.g., 1 for the least intense stimulus, 2 for the next most intense, to, say, 7 for the most intense), they find this astonishingly difficult. Rather than having of the order of a hundred or so different cognitive "bins" into which items can be reliably categorized, performance tails off when about five different intensity levels must be categorized. Critically, it matters very little either what the absolute intensity level of the items to be categorized actually is; or, more shockingly, what the range of those items is. That is, so long as the items are readily discriminable from each other, to a first approximation, all that matters is the number of items that must be classified.
정신 물리학적인 크기 인식에서 잘 알려져 있으면서 곤혹스러운 역설은 사람들이 서로 다른 크기의 강도를 '구별하는' 데는 꽤 능숙하지만, 그것들을 절대적으로 분류하는 데는 현저히 서툴다는 것이다. 즉, 사람들은 일반적으로 두 개의 소리 중 어느 것이 더 큰 소리인지, 두 개의 빛 중 어느 것이 더 밝은 빛인지를 대략 100개의 서로 다른 물리적 강도 수준 사이의 차이를 구별할 수 있다는 순진무구한 느낌으로 이어질 정도의 정확성을 가지고 식별할 수 있다. 그러나 강도 수준을 범주표와 명시적으로 연관시키도록 요청 받을 때(예를 들어, 가장 덜 강렬한 자극의 경우 1, 그다음으로 가장 강렬한 자극의 경우 2에서, 가령 가장 강렬한 경우 7까지), 사람들은 이것이 놀라올 정도로 어렵다고 느낀다. 항목들이 확실히 분류될 수 있는 대략 100여 개의 서로 다른 인지적 '저장소'를 갖기는커녕, 대략 '5개'의 서로 다른 강도 수준이 분류되어야 할 때에도 성과가 감소한다. 결정적으로 분류되어야 할 항목의 절대적인 강도 수준이 실제로 무엇인지 혹은 더 충격적인 것은 그러한 항목의 범위가 어디까지인지는 거의 중요하지 않다. 즉, 항목들이 서로 쉽게 구별될 수 있기만 하면, 대충 어림잡아 말해서, 오직 중요한 것은 분류되어야 하는 항목의 수이다.
4강 12번
The prospect of a win-win solution for farmers and the planet rapidly attracted the attention of both media and industry onlookers, who began enthusiastically promoting such practices as "regenerative" agriculture. The French government challenged nations around the world to commit to increasing soil carbon by four-tenths of a percent per year, based on a scientific analysis showing that such an effort could offset 20 to 35 percent of greenhouse gas emissions caused by human activity. In conservative states like South Dakota and Mississippi, no-till farmers and holistic management ranchers ─ who rotate their animals in ways that mimic native animals that only eat plants ─ began proudly calling themselves "carbon cowboys," promoting large-scale investments from major companies. The Rodale Institute, home to a forty-year-old experiment comparing organic and conventional agriculture, circulated a report claiming that more than 100 percent of current emissions could be offset through a global transition to regenerative organic farming. It seemed the world was ready to turn the carbon story of our food system on its head, transforming agriculture from a carbon source to a carbon sink.
농부와 지구를 위한 상생적인 해결책에 대한 전망은 미디어와 업계 구경꾼들 양측의 관심을 빠르게 끌었는데 그들은 재생 농업과 같은 관행을 열성적으로 홍보하기 시작했다. 프랑스 정부는 세계 각국에 토양 탄소를 1년에 0.4퍼센트씩 증가시키기로 약속할 것을 요구했는데, 그러한 노력이 인간 활동으로 인해 유발되는 온실가스 배출의 20~35퍼센트를 상쇄할 수도 있다는 것을 보여 주는 과학적 분석에 기초하였다. South Dakota 주와 Mississippi 주와 같은 보수적인 주에서는 무경간 농법을 하는 농부들과, 풀만 먹는 토종 동물을 모방하는 방식으로 동물을 교대로 기르는 총체적 관리를 하는 목장주들이 자랑스럽게 '탄소 카우보이'라고 자칭하기 시작하며, 주요 기업들로부터의 대규모 투자를 촉진하였다. Rodale 연구소는, 유기농 농업과 관행 농업을 비교하는 40년간 이어진 실험의 본거지인데, 재생 유기농 농업으로의 세계적 전환을 통해 현재 배출량의 100퍼센트가 넘는 비율이 상쇄될 수 있다고 주장하는 보고서를 배포했다. 농업을 탄소 공급원에서 탄소 흡수원으로 바꾸면서, 세계는 우리 식량 시스템의 탄소 이야기를 완전히 뒤엎을 준비가 되어 있는 것처럼 보였다.
5강 1번
In 1965, when the first electronic computers entered offices, Eric Hoffer warned in the New York Times that "a skilled population deprived of its sense and usefulness would be the ideal setup for an American Hitler." Perhaps somewhat ironically, Hitler and his government were well aware of the disruptive force of labor-replacing technology. His appointment as chancellor of Germany on January 30, 1933, heralded the return of pre-industrial policies, which sought to restrict the use of machinery. In Danzig, where the Nazi Party won over 50 percent of the votes that year, such efforts became a major priority. To deal with the issue of technological unemployment, the Senate decreed that machinery would not be installed in factories without special permission of the government. Failure to comply would lead to heavy penalties or even being forced to shut down by the government. In August 1933, Alfred von Hodenberg, leader of the Nazi Labor Front, made clear that machines would not be allowed to threaten workers' jobs in the future. "Never again," he reassured the public, "must the worker be replaced by a machine."
1965년 최초의 전자 컴퓨터가 사무실에 들어왔을 때 Eric Hoffer는 New York Times에서 "숙련된 사람들이 지각과 쓸모가 없어지면 미국의 히틀러에게 이상적인 환경이 될 것"이라고 경고했다. 아마도 다소 아이러니하게도 히틀러와 그의 정부는 노동 대체 기술의 파괴적인 힘을 잘 인식하고 있었을 것이다. 1933년 1월 30일 그가 독일 수상으로 임명된 것은 산업화 이전 정책으로의 복귀를 예고했는데, 그 정책은 기계 사용을 제한하려고 했다. 그해 나치당이 50퍼센트 넘게 득표한 Danzig 에서는 그러한 노력이 주요 우선 사항이 되었다. 기술에 의한 실업 문제를 다루기 위해 상원은 정부의 특별 허가 없이는 공장에 기계가 설치되지 않을 것임을 포고했다. 이를 준수하지 않을 경우 무거운 처벌을 받거나 정부에 의해 강제 폐쇄를 당하게 될 것이었다. 1933년 8월 나치 노동 전선의 지도자인 Alfred von Hodenberg는 미래에 가계가 노동자의 일자리를 위협하도록 두지 않겠다는 점을 분명히 했다. 그는 "결코 다시는 노동자가 기계로 대체되지 말아야 한다"라고 대중을 안심시켰다.
5강 2번
Perhaps the most well-known example of the astonishing plasticity of the human brain is a study made in 2000 of London taxi drivers. London taxi drivers are renowned throughout the world for their detailed knowledge of the streets, configurations and one-way systems of central London. Most astonishing is that they have learnt all this information by heart and can navigate the streets of the big city, taking passengers from A to B without the aid of a manual. On average it takes a candidate driver two years to learn this massive amount of material, so that they can pass an ominous oral exam called 'The Knowledge'. Needless to say, London taxi drivers have placed a huge burden on their memories, specifically on a form known as 'working memory ', where rules and facts have to be constantly in mind in determining ongoing actions.
아마도 인간 두뇌의 놀라운 가소성에 대한 가장 잘 알려진 예는 2000년에 런던 택시 운전사를 대상으로 실시한 연구일 것이다. 런던 택시 운전사는 런던 중심부의 차도, 배차, 그리고 일방통행 시스템에 대한 자세한 지식으로 전 세계적으로 유명하다. 가장 놀라운 것은 그들이 이 모든 정보를 암기했고 그 대도시의 거리를 찾을 수 있어서, 설명서의 도움 없이 승객을 A에서 B로 데려갈 수 있다는 것이다. 운전사 지원자는 평균적으로 이 방대한 양의 자료를 익히는 데 2년이 걸리는데, 그래야 'The Knowledge' 라고 불리는 험악한 구술시험에 합격할 수 있다. 말할 필요도 없이, 런던의 택시 운전사들은 자신들의 기억, 구체적으로 '작업 기억'으로 알려진 형태에 큰 부하를 주었는데, 거기서는 진행되고 있는 행동을 결정할 때 규칙과 사실들을 끊임없이 염두에 두어야 한다.
5강 3번
A text may depict a world that completely defies our empirical knowledge: a world with a different set of natural laws and human practices. Such imaginary worlds may, paradoxically, enhance understanding of fictionality since readers lack experience of them. Confronting a world that does not match our empirical knowledge, we intuitively perceive it as fiction, in the straightforward sense "not true," and, as expert readers, do not put demands of credibility on them, which we tend to do with fictional worlds similar to the actual world. A novice reader's response may be rejection, since the fictional world is perceived as untrue and therefore "inferior." However, if part of the novice reader's cognitive approach to learning is creative play, it makes imaginary worlds considerably more tangible and believable for them than for more rational expert readers. Novice readers' limited experience of the actual world implies that they potentially more easily accept a wide range of fictional worlds without ascribing a greater degree of truth to any of them, thus taking a substantial cognitive leap from life to text.
텍스트는 우리의 경험적 지식을 완전히 무시하는 세계, 즉 일련의 다른 자연법칙과 인간의 관습이 있는 세계를 묘사할 수도 있다. 역설적이게도 그러한 가상의 세계는 독자들이 그것(그러한 가상의 세계)에 대한 경험이 부족하기 때문에 허구에 대한 이해를 향상시킬 수도 있다. 우리의 경험적 지식과 일치하지 않는 세계에 직면할 때 우리는 그것을 직관적으로 허구, 즉 직접적인 의미에서 '사실이 아닌' 것으로 인식하며, 전문적인 독자로서, 그것에 대해 진실성을 요구하지 않는데, 실제 세계와 유사한 허구의 세계에 관해서는 그렇게 하는 경향이 있다. 초보 독자의 반응은 거부일 수도 있는데, 왜냐하면 허구의 세계는 사실이 아니고 따라서 열등한 것으로 인식되기 때문이다. 하지만 학습에 대한 초보 독자의 인지적 접근 방식의 일부가 창의적 놀이라면, 그 때문에 가상의 세계는 더 이성적인 전문 독자들보다 그들에게 훨씬 더 실체적이고 그럴듯하게 된다. 초보 독자가 실제 세계에 대하여 제한된 경험을 가지고 있다는 것은 그들이 허구 세계의 어느 것에도 더 큰 사실성이 있다고 생각하지 않고, 광범위한 그 세계를 아마도 더 쉽게 받아들이고, 그리하여 현실에서 텍스트로 상당한 인지적 도약을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5강 4번
The first question most people ask vegans and vegetarians is, "Where do you get your protein?" The prevalence of that question is a hangover from an earlier period, starting in the 1930s, when nutritionists believed we needed a high level of protein in our diet, and that a protein-deficient diet was a major cause of malnutrition. A lack of protein was a problem among some people eating little else but the tropical root crop cassava ― eaten in the West mainly in the form of tapioca ― which contains less protein than any other major staple food. But other malnourished people thought to be suffering from protein deficiency were in fact simply not getting enough calories. The idea that we need high levels of protein was disproven in the 1970s, and health authorities reduced recommended protein intakes to about a third of what had been thought to be required. These lower levels mean that for adults eating sufficient calories, even a diet consisting exclusively of bread, pasta, rice, or potatoes will provide adequate protein. Children and pregnant and breast-feeding women need more protein, but that is easily provided by adding beans, peas, or lentils to basic staples like bread, pasta, or rice.
대부분의 사람들이 엄격한 채식주의자와 채식주의자에게 묻는 첫 번째 질문은 "단백질은 어디서 얻는가?"이다. 그 질문의 유행은 영양학자들이 우리의 식단에 높은 수준의 단백질이 필요하고 단백질이 결핍된 식단이 영양실조의 주요 원인이라고 믿었던 1930년대에 시작된 이전 시기로부터의 유물이다. 단백질 부족은 서구에서 주로 타피오카 형태로 먹는 열대 뿌리 작물 카사바 이외에는 거의 다른 어떤 것도 먹지 않는 일부 사람들 사이에서의 문제였는데, 카사바에는 다른 어떤 주요 주식보다 단백질이 더 적게 들어 있다. 그러나 단백질 결핍으로 고통받고 있다고 생각되는 영양실조에 걸린 다른 사람들은 사실 결코 충분한 칼로리를 섭취하지 못하고 있었다. 우리에게 높은 수준의 단백질이 필요하다는 생각은 1970년대에 틀렸음이 입증되었으며, 보건 당국은 권장되는 단백질 섭취량을 필요하다고 생각되어 왔던 것의 약 3분의 1로 줄였다. 이러한 더 낮은 수준은 충분한 칼로리를 섭취하는 성인의 경우 오로지 빵, 파스타, 쌀 혹은 감자로만 구성된 식단도 충분한 단백질을 제공할 거라는 것을 의미한다. 어린이와 임신한 여성 및 모유를 먹이는 여성은 더 많은 단백질이 필요하지만 그것은 빵, 파스타 혹은 쌀과 같은 기본 주식에 콩, 완두콩 또는 렌즈콩을 추가함으로써 쉽게 제공된다.
5강 5~6번
One of the unhelpful consequences of the term "technological unemployment" is that it encourages us to think that the only (or at least the main) way that new technologies will affect the world of work is by changing the unemployment rate ─ the percentage of workers in the labor market who are looking for a job and cannot find one. That figure alone, though, does not capture the full picture. To begin with, some people, facing the mismatches of skills, identity, and place, might simply give up on the job hunt and drop out of the labor market altogether. If that were to happen, the official unemployment rate would actually fall since those people were-no longer searching for work, they would not count as being unemployed for the purposes of that statistic. It is important, then, to also pay attention to what is known as the "participation rate": the percentage of people in the entire working-age population (not just those active in the labor market) who are employed. In the United States today, for instance, the unemployment rate is an impressively low 3.7 percent. At the same time, however, the participation rate has collapsed, falling to its lowest level since 1977. More and more working-age Americans, it appears, are abandoning the world of work altogether ─ and that should be a cause for alarm. Similarly, in the future, we should be cautious about focusing exclusively on the unemployment rate, and keep an eye on the participation rate as well.
'기술에 의한 실업'이라는 용어의 무익한 결과 중 하나는 그것이 신기술이 직업 세계에 영향을 미칠 유일한 (혹은 적어도 주요한) 방식은 실업률, 곧 일자리를 구하고 있지만 찾을 수 없는 노동 시장의 노동자 비율을 바꾸는 것에 의해서라고 생각하도록 부추긴다는 것이다. 그러나 그 수치만으로는 전체 상황을 포착할 수 없다. 우선 어떤 사람들은 기술, 정체성 장소의 부조화에 직면하여 단순히 구직을 단념하고 노동 시장에서 완전히 중도 하차할 수도 있다. 그런 일이 일어난다면 공식 실업률은 실제로 떨어질 것인데, 그 사람들은 더 이상 일자리를 구하지 않고 있기 때문에 그 통계의 목적상 실직한 것으로 간주되지 않을 것이다. 따라서 참가율로 알려진 것에도 또한 주의를 기울이는 것이 중요한데, 이것은 (노동 시장에서 활동하는 사람들뿐만 아니라) 전체 노동 연령 인구에 있는 고용된 사람들의 비율이다. 예를 들어, 오늘날 미국의 실업률은 3.7퍼센트로 놀랄 정도로 낮다. 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참여율은 붕괴되어 1977년 이후 최저 수준으로 떨어졌다. 점점 더 많은 노동 연령의 미국인들이 직업의 세계를 완전히 포기하고 있는 것 같은데, 이는 걱정해야 할 이유가 되어야 한다. 마찬가지로 앞으로 오로지 실업률에만 집중하는 것은 조심해야 하고, 참여율도 눈여겨봐야 한다.
5강 7번
Humankind has sent rocket probes to Venus, Mars, Jupiter, and Saturn's moon Titan and studied the planets and their moons with ground- and space-based instruments. All the planets except Mercury have atmospheres; so do all the larger moons except our own. The surfaces we observe have mountains and craters unless they are too soft to support such structures. Several moons are covered with deep layers of ice and one, lo, a moon of Jupiter, has sulfur volcanoes. Scientists have identified features both familiar and strange, but everything discovered is interpretable as the natural outcome of known chemistry and physics applied to conditions that resulted from those same laws acting on earlier conditions. The chain of explainable events extends back to the beginning of time, and never do the explanations require conditions whose likelihood defies credibility. Improbable things happen and have happened throughout history. Science has not yet explained everything, but there is no persuasive evidence for the occurrence of miracles, of events so improbable that there is no reasonable expectation of them happening somewhere, sometime, in the lifetime of the universe.
인류는 금성, 화성, 목성, 그리고 토성의 위성인 타이탄에 로켓 우주 탐사선을 보내, 지상과 우주에 기지를 둔 기구로 행성과 그 위성들을 연구해 왔다. 수성을 제외한 모든 행성에는 대기가 있으며, 우리 자신의 위성을 제외한 모든 더 큰 위성들도 그러하다[대기가 있다]. 우리가 관측하는 표면은 산과 분화구를 지탱하기에 너무 무르지만 않다면 그런 구조를 가지고 있다. 몇몇 위성들은 깊은 얼음층으로 덮여 있고, 그중 하나인 목성의 위성 이오에는 유황 화산이 있다. 과학자들이 낯익은 특징과 낯선 특징을 모두 확인해 왔지만, 발견된 모든 것은 더 이전의 상황에 작용한 것과 동일한 그 법칙들로 인해 생겨난 상황에 적용된 이미 알려진 화학과 물리학의 자연적인 결과로 해석될 수 있다. 설명 가능한 사건들의 사슬은 거슬러 태초의 시간에까지 이르며 설명은 그 존재 가능성이 신뢰성을 거역하는 상황을 결코 필요로 하지 않는다. 일어날 것 같지 않은 일들이 일어나고, 역사를 통틀어 일어나 왔다. 과학이 아직은 모든 것을 설명하지는 않았지만, 불가사의한 일, 즉 너무 일어날 것 같지 않아서 우주의 존속 기간 중 어딘가에서 언젠가 그것이 일어날 것이라는 합리적인 기대가 없는 사건의 발생에 대한 설득력 있는 증거는 없다.
5강 8번
The driving tension of the novel i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aterials of the story (plot, character, setting, theme, and so forth) and the narration of it in language; between the tale and the teller, in other words. The driving tension of film, on the other hand, is between the materials of the story and the objective nature of the image. It's as if the author/director of a film were in continual conflict with the scene he is shooting. Chance plays a much larger part, and the end result is that the observer is free to participate in the experience much more actively. The words on the page are always the same, but the image on the screen changes continually as we redirect our attention. Film is, in this way, a much richer experience.
소설의 강력한 긴장감은 이야기의 재료(줄거리, 인물, 배경, 주제 등)와 언어로 된 그것의 서술 사이의 관계, 다시 말해서 이야기와 화자 사이의 관계이다. 반면 영화의 강력한 긴장감은 이야기의 재료와 영상의 객관적 본질 사이에 있다. 마치 영화의 작가 혹은 감독이 자신이 촬영하고 있는 장면과 지속적으로 갈등의 상태에 있는 것 같다. 우연이 훨씬 더 큰 역할을 하며, 그 최종적인 결과는 보는 사람이 훨씬 더 적극적으로 그 경험에 자유롭게 참여할 수 있다는 것이다. 페이지에 있는 단어는 항상 같지만, 화면의 영상은 우리가 주의를 다른 방향으로 돌림에 따라 계속 바뀐다. 이렇게 해서 영화는 훨씬 더 풍부한 경험인 것이다.
5강 9번
Under the traditional view, privacy is violated by the invasive actions of particular wrongdoers who cause direct injury to victims. Victims experience embarrassment, mental distress, or harm to their reputations. The law responds when a person's deepest secrets are exposed, reputation is damaged, or home is invaded. This view, which I call the "invasion conception," understands privacy to be a kind of invasion, in which somebody invades and somebody is invaded. However, digital dossiers often do not result in any overt invasion. People frequently don't experience any direct injury when data about them is collected or transferred from one company to another. Moreover, many of the problems of digital dossiers emerge from the collaboration of a multitude of different actors with different purposes. Each step along the way is relatively small and harmless, failing to cause harm that the invasion conception would recognize as substantial.
전통적인 견해에 따르면, 사생활은 피해자들에게 직접적인 피해를 유발하는 특정 범죄자들의 침해 행동에 의해 침해된다. 피해자들은 당혹감, 정신적 고통 또는 그들의 평판에 대한 손상을 경험한다. 법은 한 사람의 가장 깊은 비밀이 폭로되거나, 평판이 손상되거나, 집이 침입될 때 대응한다. 내가 '침해 개념' 이라고 부르는 이 견해는 사생활을 어떤 사람은 침해하고 어떤 사람은 침해당하는 일종의 침해라고 이해한다. 그러나 디지털 족적은 흔히 어떠한 명시적인 침해도 초래하지 않는다. 사람들은 자신에 대한 자료가 수집되거나 한 회사에서 다른 회사로 전송될 때 어떠한 직접적인 피해도 경험하지 않는 경우가 많다. 더욱이, 디지털 족적의 문제 중 많은 것이 서로 다른 목적을 가진 다수의 서로 다른 행위자들의 협력에서 발생한다. 그 과정에서 각각의 단계는 비교적 작고 무해하며, 침해 개념이 상당히 크다고 인정할 해를 끼치지는 않는다.
5강 10번
In artistic creativity, the example of the work of the Post-Impressionist painter Paul Cezanne demonstrates the difference between combination or merger and the development of integration. Cezanne is often considered the artist whose work launched the artistic era widely designated as "Modem Art," comprising the styles and artworks of Picasso, Braque, Matisse and many others. He brought the earlier Impressionist style of painting, in which form was dissolved into light and color, together with form as constructed or structural. This French painter, at the end of the 19th and the beginning of the 20th centuries, produced a new artistic mode within a movement known as Post-Impressionism. His work was functionally separate from and at the same time connected with the Impressionists. He painted their favorite types of bright land, seascapes, and ordinary household scenes and emphasized strong geometric underpinnings and shapes. He considered these shapes to display ideal forms in natural things. In his new mode, in paintings such as The Bathers, colors, hues and lighting, geometric shapes, and textures were integrated into a whole. These artistic creations inspired the work of the Modernists and many generations of artists after him.
예술적 창의성이라는 면에서 후기 인상파 화가인 폴 세잔의 작품의 예는 결합이나 합병과 통합의 전개 사이의 차이를 보여 준다. 세잔은 자신의 작품이 피카소, 브라크, 마티스 및 다른 많은 화가의 화풍과 작품을 포함하는 '근대 미술'이라고 널리 불리는 미술 시대를 시작한 화가로 흔히 여겨진다. 그는 예전의 인상파 화풍을 들여왔는데, 그 화풍에서는 구성되거나 구조적인 것으로서의 형태와 더불어 형태가 빛과 색으로 분해되었다. 이 프랑스 화가는 19세기 말과 20세기 초에 후기 인상주의라고 알려진 움직임 안에서 새로운 미술 양식을 만들었다. 그의 작품은 인상파 화가들로부터 기능적으로 독립해 있으면서 동시에 그들과 연관되어 있었다. 그는 그들이 가장 좋아하는 유형의 밝은 땅, 바다 풍경, 그리고 평범한 가정의 장면을 그렸고 강한 기하학적 기초와 모양을 강조했다. 그는 이러한 모양이 자연물의 이상적인 형태를 나타낸다고 여겼다. 그의 새로운 양식에서는, '목욕하는 사람들'과 같은 그림에서, 색상, 색 조와 채광, 기하학적인 모양, 그리고 질감이 전체로 통합되었다. 이러한 미술 작품들은 모더니스트들과 그의 뒤를 이은 여러 세대 미술가들의 작품에 영감을 주었다.
5강 11~12번
Rigid school schedules and old-fashioned policies should not dictate the types of learning experiences students can and should have available to them today. Staying the course without adapting to bumps in the road will inherently result in failure. Flexibility avoids common pitfalls that disturb all types of change initiatives where control dominates the school culture. Policies and normal procedures should act only to guide school function, not create a sterilized atmosphere where learning is anything but fun, relevant, or meaningful. It is more than OK to take a detour now and then to ensure that change is implemented strategically and with purpose. This will become a reality only if flexibility is an embedded component of the school culture. Flexibility also should be applied to classroom instruction. All too often learning becomes a one-size-fits-all approach where students are tasked with demonstrating what they know the same way. This is extremely prevalent in project-based learning activities where students have to create a presentation that will eventually be assessed. In many cases the standard has become directing all students to develop PowerPoint presentations, which ultimately results in role reversal where students are imparting direct instruction upon their peers. Uncommon learning materializes when students are given flexibility as to how they can demonstrate what they know and have learned. In this case teachers give students a choice as to the tools and resulting products they want to use and create that are aligned to the same standards and learning outcomes associated with PowerPoint presentations. The difference is a much more authentic, rich product that does a better job of quantifying meaningful learning and skill acquisition.
융통성 없는 학교 일정과 시대에 뒤떨어진 정책이 학생들이 오늘날 이용할 수 있고 이용해야 하는 학습 경험의 유형을 좌우해서는 안 된다. 장애물에 적응하지 않고 하던 일을 그대로 계속하는 것은 본질적으로 실패를 초래할 것이다. 유연성은 통제가 학교 문화를 지배하는 곳에서 모든 형태의 변화를 위한 새로운 계획들을 방해하는 흔한 문제를 막아 준다. 정책과 통상적인 절차는 오직 학교의 가능을 인도하기 위해서만 작용해야 하며, 학습이 전혀 즐겁지 않거나 적절하지 않거나 유의미하지 않은 새로운 것을 창조해 낼 수 없는 분위기를 만들어 내서는 안 된다. 변화가 전략적이면서 목적을 가지고 실행되도록 보장하기 위해서 때때로 우회하는 것이 매우 좋다. 이것은 유연성이 학교 문화의 내장된 요소일 때에만 실현될 것이다. 유연성은 또한 교실 수업에도 적용되어야 한다. 학습이 학생들에게 그들이 알고 있는 것을 같은 방식으로 입증하는 과제를 주는 일률적인 접근법이 되는 경우가 너무나 많다. 이것은 학생들이 최종적으로 평가받을 발표물을 만들어야 하는 프로젝트 기반 학습 활동에서 매우 만연한 일이다. 많은 경우 표준은 모든 학생에게 파워포인트 프레젠테이션을 제작하도록 지시하는 것이 되었으며, 이는 궁극적으로 학생들이 또래들에게 직접 가르침을 전하는 역할 전환을 가져온다. 평범하지 않은 학습은 학생들에게 그들이 알고 있는 것과 배운 것을 어떻게 보여줄 수 있는지에 대한 유연성이 주어질 때 실현된다. 이 경우 교사들은 학생들에게 파워포인트 프레젠테이션과 관련된 동일한 기준과 학습 결과에 맞추어 조정된 그들이 사용하고 만들어 내고 싶어 하는 도구와 결과물에 관해 선택권을 부여한다. 그 차이는 유의미한 학습과 기술 습득의 양을 더 잘 측정하는 휠씬 더 진정성 있고 값진 결과이다.
6강 1번
While timber shares many characteristics with other living resources, it also has some unique aspects. Timber shares with many other living resources the characteristic that it is both an output and a capital good. Trees, when harvested, provide a saleable commodity, but left standing they are a capital good, providing for increased growth the following year. Each year, the forest manager must decide whether or not to harvest a particular stand of trees or to wait for the additional growth. In contrast to many other living resources, however, the time period between initial investment (planting) and recovery of that investment (harvesting) is especially long. Intervals of 25 years or more are common in forestry, but not in many other industries. Finally, forestry is subject to an unusually large variety of externalities, which are associated with either the standing timber or the act of harvesting timber. These externalities not only make it difficult to define the efficient allocation, but they also play havoc with incentives, making efficient management harder for institutions to achieve.
수목은 다른 생물 자원들과 많은 특징을 공유하지만, 또한 몇 가지 독특한 측면들을 가지고 있다. 수목은 생산물이자 자본재라는 특징을 다른 많은 생물 자원과 공유한다. 나무는 수확이 되었을 때 시장성이 있는 원 자재를 제공하지만, 벌채하지 않고 두면 그것은 자본재로서 다음 해에 성장의 증가가 일어날 수 있게 한다. 매년, 삼림경영자는 특정한 무리의 나무를 수확할지 혹은 추가적인 성장을 기다릴지의 여부를 결정해야 한다. 그러나 다른 많은 생물 자원과 달리, 초기 투자(심기)와 그 투자에 대한 회수(수확) 사이의 기간이 유난히 길다. 25년 또는 그 이상의 간격은 임업에서 흔하지만, 다른 많은 산업에서는 그렇지 않다. 마지막으로 임업은 특이할 정도로 매우 다양한 외부 요인의 영향을 받는데, 이것은 벌 채하지 않은 수목 혹은 수목을 수확하는 행위 중 하나와 관련이 있다. 이러한 외부 요인은 효율적인 배분을 규정하는 것을 어렵게 할 뿐만 아니라 장려책에도 혼란을 초래하여, 기관들이 효율적인 관리를 달성하는 것을 더 어렵게 한다.
6강 2번
It is not remarkable that competing economic theories exist to explain the same phenomena, with economists disagreeing as to which theory is to be preferred. Much has been written about the uncertain accuracy of economists' predictions. While economists can foretell the effects of specific changes in the economy, they are better at predicting the direction rather than the actual magnitude of events. When economists predict that a tax cut will raise national income, one may be confident that the prediction is accurate; when they predict that it will raise national income by a certain amount in three years, however, the forecast is likely to miss the mark. Some critics of the field argue that economics falls short of the definition of a science due to a lack of testable hypotheses based on sufficiently explicit theories. The reason is that most economic models do not contain any explicit reference to the passage of time and hence have little to say about how long it takes for a certain effect to make itself felt. Short-period predictions generally fare better than long-period ones.
경제학자들이 어느 이론이 선호되어야 하는지에 관해 동의하지 않는 가운데 동일한 현상들을 설명하기 위해 상충하는 경제 이론들이 존재한다는 것은 놀랄 만한 일이 아니다. 경제학자들이 하는 예측의 불확실한 정확도에 대하여 지금까지 쓰인 글이 많다. 경제학자들은 경제의 구체적인 변화의 영향을 예견할 수 있지만, 사건의 실제 규모보다는 방향을 예측하는 데 더 능하다. 경제학자들이 감세가 국민 소득을 늘릴 것으로 예측할 때, 어떤 이는 그 예측이 정확하다고 자신할 수도 있다. 하지만 그들이 그것[감세]이 3년 후에 특정한 양만큼 국민 소득을 늘릴 것으로 예측할 경우 그 예측은 빗나갈 가능성이 있다. 그 이유는 대부분의 경제 모형은 시간의 경과에 대한 어떤 명시적인 언급도 포함하고 있지 않고, 따라서 특정 효과가 느껴지게 되는 데 얼마나 오래 걸리는지에 대해서는 거의 말할 것이 없기 때문이다. 일반적으로 단기 예측이 장기 예측보다 더 잘 이루어진다.
6강 3번
Soon after it emerged on Earth, life started to capture energy from the Sun through photosynthesis. This chemical reaction is a delicately crafted dance that is Jed by high-energy photons from the Sun. These are used by chloroplasts to drive a series of reactions that produce sugars. The very first forms of photosynthesis used water and elements such as sulphur to complete the process, but while water was abundant, the relative scarcity of sulphur meant that photosynthesis was limited. However, concentrations of carbon dioxide were more than ten times higher than they are today, and over a period of some 800 million years, early life evolved the capability to use this more common gas for photosynthesis. No longer dependent on scarce elements, life on Earth flourished. As it did, the oxygen produced as a by-product of photosynthesis transformed the biosphere, with a series of 'pulses' increasing the concentration of oxygen in the atmosphere from under 1 per cent to today's level of 21 per cent.
생명체는 지구에 모습을 드러낸 직후, 광합성을 통해 태양으로부터의 에너지를 얻기 시작했다. 이 화학 반응은 태양으로부터 오는 고에너지 광자에 의해 주도되는 섬세하게 공들여 만들어진 안무이다. 이것들은 당을 생산하는 일련의 반응을 유발하기 위해 엽록체에 의해 사용된다. 광합성의 가장 초기 형태는 물 그리고 황과 같은 원소를 사용하여 그 과정을 완성했지만, 물은 풍부했던 반면에, 황의 상대적 희소성은 광합성이 제한적이었다는 것을 의미했다. 그러나 이산화탄소 농도는 현재보다 열 배 넘게 높았었고, 8억 년 정도의 기간 동안 초기 생명체는 광합성을 위해 더 흔한 이 기체를 사용하는 능력을 발달시켰다. 더는 희소한 원소에 의존하지 않게 되자, 지구상의 생명체는 번성했다. 그렇게 하면서, 광합성의 부산물로 생성된 산소는, 일련의 '박동[맥박]'이 대기 중의 산소 농도를 1퍼센트 미만에서 오늘날의 수준인 21퍼센트로 증가시킴으로써, 생물권을 탈바꿈시켰다.
6강 4번
The absence of the face-to-face cues that normally guide our offline interactions can erase boundaries among people in cyberspace, also contributing to disinhibition in the virtual world. An e-mail from somebody might be experienced as an internal voice in our head. "When reading another's message, one might also 'hear' the online companion's voice using one's own voice," Dr. John Suler writes. People often move their lips or make speech sounds as they read, which can make them project their own voice into the other person's text. The result can be that the conversation is experienced as taking place in one's own head, much more a soliloquy than the dialog that it really is between two separate entities. Since talking to oneself is generally considered safer than talking to someone else, the result is more indiscriminate openness and less responsible disclosures, not to mention a dissolution of boundaries between "self' and the "other." This dissolution does not help our universal goal of psychological independence and healthy autonomy.
일반적으로 오프라인에서의 우리의 상호 작용을 안내하는 대면 단서의 부재는 사이버 공간에서 사람들 간의 경계를 없앨 수 있으며, 또한 가상 세계에서의 탈억제의 원인이 될 수 있다. 누군가로부터 온 이메일은 우리의 머릿속에서 내면의 목소리로 경험될 수도 있다. "다른 사람의 메시지를 읽을 때 읽는 사람은 자신의 목소리를 사용하여 온라인 친구의 목소리를 또한 '들을'지도 모른다."라고 John Suler 박사는 쓰고 있다. 사람들은 흔히 읽으면서 자신들의 입술을 움직이거나 언어음을 내는데, 이것은 그들이 다른 사람의 텍스트에 자신의 목소리를 투영하도록 만들 수 있다. 결과적으로 대화는 자신의 머릿속에서 일어나는 것으로 경험되며, 그것은 실제로는 서로 다른 두 존재 사이에서 일어나는 대화라기보다는 오히려 단연 하나의 독백이 될 수 있다. 자신에게 말하는 것이 대개 다른 사람에게 말하는 것보다 더 안전하다고 여겨지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자신'과 '다른 사람' 사이의 경계가 소멸되는 것은 말할 것도 없고 더 무분별하게 개방하고 덜 책임감 있게 털어놓게 된다. 이러한(경계) 소멸은 심리적 자립과 건강한 자율성이라는 우리의 보편적 목표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
6강 5~6번
Smart cities are definitely nudging the world toward some sustainability goals, and smart technologies are visibly improving city services within some fast-growing economies, most notably China. But incrementally improving the management of electrical grids, pollution and waste, transportation, and city services can take the world only a short distance toward global sustainability. Smart city technologies do very little to alter and can even worsen problems such as wasteful consumption, feelings of alienation, income inequality, housing prices, inequity of services, and privacy rights. The positive discourse of smart cities can also obscure the ways that the political and economic structures of cities themselves have long been a cause of global environmental degradation. Ecologist William Rees, who coined the term "ecological footprint," reminds us of the complex ways that cities and the accompanying suburban sprawl draw down global resources and harm distant ecosystems. Urban economics, as he demonstrates, tends to exaggerate the value of urbanization for sustainability by underestimating the global environmental damage from the rising consumption of city residents. Most cities rely on land, food, fresh water, natural resources, and energy far beyond their borders. And they rely on externalizing the cost of waste into distant lands, the global commons, and future generations. Measured locally, the ecological footprint of the residents of a smart city may seem to be declining. But taking into account the shadows of consumption in faraway lands, this footprint looks very different, with deep social and environmental costs for marginalized peoples and fragile ecosystems.
스마트 시티는 확실히 세계가 몇몇 지속 가능성 목표를 항해 나아가도록 자극하고 있으며, 스마트 기술은 가장 특히 중국과 같이 일부 급성장하는 국가 내에서 도시 서비스를 눈에 띄게 개선하고 있다. 그러나 전력 망, 오염 및 폐기물 교통, 그리고 도시 서비스의 관리를 조금씩 개선하는 것은 세계가 범지구적인 지속 가능성을 향하여 단지 짧은 거리만 나아가도록 할 수 있다. 스마트 시티 기술은 낭비적인 소비, 소외감, 소득 불평등, 주택 가격, 서비스 불평등, 그리고 사생활 권리와 같은 문제를 바꾸는 데 있어 할 수 있는 것이 거의 없으며, 심지어 문제를 악화시킬 수 있다. 스마트 시티에 관한 긍정적인 담론은 또한 도시의 정치 및 경제 구조 자체가 오랫동안 지구 환경 악화의 원인이 되어 온 방식들을 덮어 감춰 버릴 수 있다. '생태 발자국'이라는 용어를 만든 생태학자 William Rees는 도시와 그것에 수반하는 교외의 불규칙한 팽창이 지구 자원을 고갈시키고 멀리 떨어진 생태계를 훼손하는 복잡한 방식을 우리에게 상기시킨다. 도시 경제학은 그가 설명하듯이 도시 주민들의 증가하는 소비로 인한 지구 환경 훼손을 과소평가함으로써 지속 가능성을 위한 도시화의 가치를 과장하는 경향이 있다. 대부분의 도시는 자체의 경계 훨씬 너머에 있는 토지, 식량, 담수, 천연자원, 그리고 에너지에 의존한다. 그리고 그것들은 폐기물 비용을 멀리 있는 지역 지구의 공유지, 그리고 미래 세대로 외부화하는 것[외부에 떠넘기는 것]에 의존한다. 국지적으로 측정하면, 스마트 시티 주민들의 생태 발자국은 감소하고 있는 것처럼 보일 수도 있다. 그러나 멀리 있는 지역에서 일어난 소비의 영향을 고려하면, 이 발자국은 사회에서 소외된 민족들과 손상되기 쉬운 생태계에 대한 막대한 사회적 그리고 환경적 비용으로 인해 매우 다르게 보인다.
6강 7번
Most termites are manual laborers. Blind and wingless, they maintain and build core civic structures, ensure the citywide climate-control systems are operating optimally, and feed and water those in other professions ─ the soldiers and the reproductives. They are also tasked with managing the inner-city fungus farms on which their colonies depend. Located just below the queen's chambers, the fungus farms are where termites produce the food that sustains a colony. Every night the workers leave the mound on foraging expeditions, returning only when their guts are packed with grass and wood chips. When they make it back to the mound they head to the farming chambers. There, they defecate the partially digested wood and grass, and set about molding this into maze-like structures seeded with fungal spores. Over time these fungi dissolve the tough cellulose in the wood and grass, transforming it into an energy-rich food that the termites can easily digest.
대부분의 흰개미는 육체노동자이다. 눈이 멀고 날개가 없지만 그것들은 핵심적인 도시 구조물을 유지하고 건설하며 반드시 도시 전체의 기후 제어 시스템이 최적으로 작동하도록 하며, 다른 일에 종사하는 개미들 즉 병정개미와 생식 개미에게 먹이와 물을 공급한다. 그것들은 또한 그들 군집이 의존하는 도심의 곰팡이 농장을 관리하는 임무를 맡고 있다. 여왕개미의 방 바로 아래에 위치한 곰팡이 농장은 흰개미가 군집을 살아가게 하는 먹이를 생산하는 곳이다. 매일 밤 일개미들은 먹이 채집 원정을 위해 개미집을 떠났다가 내장이 풀과 나무 조각으로 가득 차서야 돌아온다. 개미집으로 돌아오면 그것들은 농사를 짓는 방으로 항한다. 그곳에서 그것들은 불완전하게 소화된 나무와 풀을 배설하고 이것을 곰팡이 포자가 뿌려진 미로 같은 구조물로 만들기 시작한다. 시간이 지나면서 이 곰팡이류는 나무와 풀의 질긴 셀룰로스를 용해해 그것을 흰개미가 쉽게 소화할 수 있는 에너지가 풍부한 먹이로 바꾼다.
6강 8번
Trust in payment systems is imperative for the smooth functioning of a modern economy. When you pay for a cappuccino with a five-dollar bill, that transaction is instantly authenticated, as it is intermediated through cash. It is also final and irreversible once the bill goes into the cash register and you walk out of the coffee shop. Ensuring the finality and irreversibility of payments is less straightforward with electronic payment systems because there is no tangible element to the transaction. Still, if you were to use a debit or credit card instead of cash, the coffee shop can be confident that it would get paid and that you could not reverse the transaction after consuming the cappuccino. The absence of trust between a customer and a business is overcome by a bank or credit card companies.
현대 경제가 원활하게 기능하려면 결제 시스템에 대한 신뢰가 필수적이다. 여러분이 5달러짜리 지폐로 카푸치노에 대한 값을 지불할 때, 그 거래는 현금으로 중개되기 때문에 즉시 인증된다. 일단 그 지폐가 금전 등록기에 들어가고 여러분이 커피숍에서 나오면 그것은 또한 최종적이고 되돌릴 수 없다. 전자 지불 시스템에서는 거래에 유형의 요소가 없기 때문에 지불의 완결성과 불가역성을 보장하는 것이 덜 간단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여러분이 현금 대신 직불 카드나 신용 카드를 사용한다 해도 커피숍은 대금을 지불받을 것이고, 여러분이 카푸치노를 마신 후에는 그 거래를 되돌릴 수 없다고 확신할 수 있다. 고객과 사업체 간의 신뢰의 부재는 은행이나 신용 카드 회사에 의해 극복된다.
6강 9번
Farming gave farmers more than just food, wood, and fibers. It also gave them indirect access to new flows of energy. For example, humans cannot eat grass, but horses and oxen can, so farmers who let horses and oxen graze and then used them for riding or haulage or killed and ate them were tapping into the large flows of photosynthetic energy through grasslands. That makes quite a difference. A human can deliver at most about 75 watts of energy, while a horse or ox can deliver up to ten times as much. All that extra energy could be used to plow the land more deeply than handheld hoes could, or to cart goods or carry people. Farmers could also increase the production of plants and animals that had other uses besides food, such as flax and cotton, which could be used to make textiles. Or they could plant trees and use the wood to build homes, farms, barns, and fences, or burn it to cook their food and warm their houses.
농업은 농부들에게 단지 식량, 목재 그리고 섬유가 아니라 그 이상의 것을 주었다. 그것은 또한 그들이 에너지의 새로운 흐름을 간접적으로 이용할 수 있게 해 주었다. 예를 들어 인간은 물을 먹을 수 없으나 말과 소는 먹을 수 있으므로 말과 소가 풀을 뜯어먹게 한 다음 타거나 화물 수송을 위해 그것들을 이용하거나 혹은 잡아먹은 농부들은 목초지를 통해 거대한 광합성 에너지 흐름을 활용하고 있었다. 그것은 상당한 차이를 만든다. 인간은 많아야 약 75와트의 에너지를 생산할 수 있는 반면 말이나 소는 (인간의) 10배까지 많이 생산할 수 있다. 여분의 그 모든 에너지는 손에 쥐는 괭이가 일굴 수 있는 것보다 땅을 더 깊이 일구거나 상품을 운반하거나 사람을 수송하는 데 사용될 수 있었다. 농부들은 또한 옷감을 만드는 데 쓰일 수 있는 아마나 면과 같이 식량 외에 다른 용도를 가진 식물과 동물의 생산을 증가시킬 수 있었다. 혹은 그들은 나무를 심어 목재를 사용하여 집, 농장, 헛간, 울타리를 만 들거나 그것을 태워 음식을 요리하고 집을 따뜻하게 할 수 있었다.
6강 10번
Compasses have just one purpose - to tell the user where north is. Armed with such a tool, a naive juvenile bird should always be able to use north as a reference point, and then orientate itself by rotating its body to a point where it is in line with whatever desired migratory heading it has inherited from its parents. This basic compass orientation is thought to be the cornerstone of migration in naive juvenile birds and has been the subject of exhaustive scientific study. For decades, researchers have performed increasingly complex and elegant experiments to examine how birds 'read' their internal compass, and how they then use this information to orientate themselves. Many of these experiments have involved trapping wild birds (or raising them in the lab) and placing them in a cage apparatus overnight, where their desired target orientation can be evaluated from the pattern of marks they leave around the edges of the cage. By manipulating the information available to these birds ─ for example, by preventing them from seeing the stars above ─ researchers have been able to painstakingly unpick the different cues that birds use to orientate themselves.
나침반은 하나의 목적만을 가지고 있는데, 사용자에게 북쪽이 어디인지를 알려 주는 것이다. 그런 도구를 갖추고 있으므로, 경험이 없는 어린 새라도 늘 북쪽을 기준점으로 사용하며 그런 다음 부모로부터 유전으로 물려받은 원하는 이동 방향이 어디든지 그곳과 일치하는 지점으로 몸을 돌림으로써 자신의 방향을 잡을 수 있을 것이다. 이 기본적 나침반 방향 잡기는 경험이 없는 어린 새에게 이동의 초석이 된다고 생각되며 철저한 과학적 연구의 주제가 되어 왔다. 수십 년 동안 연구자들은 새가 자신의 내부에 있는 나침반을 어떻게 '읽고', 그런 다음 자신의 방향을 잡기 위해 이 정보를 어떻게 사용하는지를 조사하기 위해 점차로 복잡하고 명쾌한 실험을 해 왔다. 이들 중 다수의 실험에서는 야생 새들을 덫으로 잡아 (또는 실험실에서 그것들을 길러), 하룻밤 동안 새장 장치에 그것들을 넣어 두는 일을 수반했는데, 거기서 그 새들이 원하는 목표 방향은 그들이 새장 모서리 주변에 남기는 표시의 형태로 어림할 수 있다. 이 새들이 이용할 수 있는 정보를 조작함으로써, 가령 그 새들이 위쪽의 별을 보지 못하게 함으로써, 연구자들은 새들이 자신의 방향을 잡기 위해 사용하는 여러 단서를 힘들여 조사할 수 있었다.
6강 11~12번
In Europe, wagons seem to have been used primarily for agriculture. It seems unlikely that they were used to transport loads over long distances ─ something that requires relatively flat, open country or well-maintained trackways. Early wagons lacked steering, and they also required care and maintenance. Repairing a broken wheel or axle would have required woodworking tools and would have been difficult to do while out and about. So early wagons would probably have had quite a limited operating range. In Europe, their use may have been restricted to short local trips within a particular farm or community, for example to transport animal waste fertilizer into the fields and carry harvests and firewood into villages. On the plains around the north and east of the Black Sea, however, the herders of the Pontic steppe found quite a different use for these vehicles: as mobile homes. Using wagons to carry food, supplies, and other possessions allowed nomads to move deep into the open steppe with their herds of cattle and sheep. These wagons moved slowly, at walking pace. Their cultural significance is apparent from the appearance of "wagon graves," which have a wheel buried in each corner, so that the grave itself forms a kind of wagon, carrying its occupant into the afterlife. Such graves first appeared on the Black Sea plains around 3300 B.C.E. The distinctive tradition of wagon nomadism in this region persisted for thousands of years; it was mentioned by the Greek historian Herodotus in the fifth century B.C.E., was adopted by the Mongols in the thirteenth century C.E., and survived into the modern era.
유럽에서 수레는 주로 농경을 위해 사용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수레가 장거리로 짐을 수송하는 데 사용되었던 것 같지는 않은데, 그것은 비교적 평평하고 탁 트인 지역이나 잘 유지되는 길을 필요로 하는 일이다. 초기의 수레는 방향 전환 장치가 없었으며, 관리와 유지도 필요했다. 부서진 바퀴나 굴대 수리는 목공구를 필요로 했을 것이고 돌아다니는 동안에는 하기가 어려웠을 것이다. 그래서 초기의 수레는 아마도 아주 제한된 운용 범위를 가졌을 것이다. 유럽에서, 그것의 사용은, 가령 들로 동물 배설물 거름을 수송하기 위해서 그리고 수확물과 장작을 마을로 나르기 위해서, 특정 농장이나 지역 사회 내에서의 짧고 국지적인 이동에 제한되었을지도 모른다. 하지만 흑해의 북쪽과 동쪽 주변의 평원에서, 흑해 스텝 지대 목축민들은 이 운송 수단의 상당히 다른 용도를 알아냈는데, 그것은 이동식 집으로였다. 먹을 것, 물자, 그리고 다른 소유물을 나르기 위해 수레를 사용하는 것은 유목민이 소 떼와 양 떼를 데리고 탁 트인 스텝 지대로 깊숙이 이동하는 것을 가능하게 했다. 이 수레들은 천천히 도보 속도로 움직였다. 수레의 문화적 중요성은 '수레 무덤'의 출현으로 보아 분명한데, 그곳에는 각 모퉁이에 매립된 바퀴가 있어서 무덤 자체가 일종의 수레가 되어 무덤에 안치된 사람을 사후 세계로 실어 나른다. 그런 무덤은 기원전 3300년 무렵에 흑해 평원에 처음 나타났다. 이 지역의 수레 유목 생활의 독특한 전통은 수천 년 동안 지속되었는데, 기원전 5세기에 그리스 역사가 Herodotus에 의해 언급되었고, 서기 13세기에 몽골족에 의해 채택되어 근대까지 존속하였다.
7강 1번
The English artist John C. Horsley is generally credited with designing the first printed Christmas card around 1843. Further, William Egley may have claim to the honor instead, should an obscure date on his card read "1842" rather than the other possibility of "1849." Horsley's creation was commissioned by Sir Henry Cole, an English gentleman who, when etiquette dictated that he send seasonal notes to his numerous friends, elected instead to send cards. On the colored, 3-by-5-inch Horsley card, a prominent center panel displayed a large, happy family consuming spirits. Beneath, a caption read, "A Merry Christmas and a Happy New Year to You," and two side panels depicted biblical scenes, titled "Clothing the Naked" and "Feeding the Hungry." Despite the religious panels, some of the more pious citizens strongly objected to the center panel, claiming that the card encouraged drunkenness. The card was issued as a limited edition of a thousand copies, which sold for a shilling each. After Horsley, various card manufacturers added Christmas cards to their inventory as a sideline, Marcus Ward and Company achieving the forefront with their publication of seasonal greeting cards in 1867.
영국의 화가 John C. Horsley가 1843년경에 최초의 인쇄된 크리스마스카드를 디자인한 것으로 일반적으로 여겨진다. 더 먼저, William Egley가 대신 그 명예에 대한 권리를 가질 수도 있는데, 그의 카드에 있는 불분명한 날짜가 다른 가능성인 '1849'라기보다는 '1842'로 읽힌다면 말이다. Horsley의 창작물은 영국 신사인 Henry Cole경에 의해 의뢰되었는데, 그는 예법에 따라 자신의 많은 친구에게 크리스마스 시즌 인사 편지를 보내야 했을 때 대신 카드를 보내기로 결정했다. 3x5인치 크기의 컬러로 된 Horsley 카드에서 눈에 잘 띄는 가운데 그림이 독한 술을 마시고 있는 행복한 대가족의 모습을 보여 주었다. 아래에는 "즐거운 크리스마스와 행복한 새해 보내세요."라고 쓰인 캡션이 있었고, 두 개의 측면 그림이 성경 속 장면들을 묘사했는데, "벌거벗은 자들에게 입을 옷을 마련해 줄 것"과 "굶주린 자들에게 먹을 것을 줄 것"이라는 타이틀이 붙어 있었다. 종교적인 그림들에도 불구하고, 일부 더 독실한 시민들은 그 카드가 술에 빠짐을 조장한다고 주장하면서 가운데 그림에 강력하게 이의를 제기했다. 그 카드는 1,000부 한정판으로 발행되었으며, 장당 1 실링에 판매되었다. Horsley 이후, 다양한 카드 제조사들이 크리스마스카드를 전문품 외의 상품으로 자신들의 물품 목록에 추가했는데 Marcus Ward and Company가 1867년에 크리스마스 시즌 인사 카드를 발행하면서 선두에 섰다.
7강 2번
Contests between virtuous and bad characters, between wilfulness and duty, make for dramatic television, but the fundamental idea in utilitarianism of maximising pleasure for the greatest number and minimising pain for as many as possible, does not generate much dramatic action. Drama tends to revolve around the actions and choices of individual characters rather than the consequences for people in general; to create a utilitarian drama would be rather dull, if only because the most important activity would be the invisible mental one of calculating the consequences of actions. Utilitarian philosophy is most relevant in the genres of actuality, especially documentary and news programmes in which the 'greater good' is often spelt out through the way that actual worldly events are framed and reported. Such programmes take it for granted that viewers share with the producers a desire to minimise pain and suffering while maximising pleasure amongst all. Such a presumption underpins programmes reporting, for example, distant suffering caused by war, flood, famine, earthquake or poverty.
도덕적인 인물과 나쁜 인물 사이의, 제멋대로 하는 것과 의무 사이의 다툼은 극적인 텔레비전 프로그램에 기여하지만, 최대 다수를 위해 즐거움을 극대화하고 가능한 한 많은 사람을 위해 고통을 최소화한다는 공리주의의 기본 개념은 극적인 행동을 많이 창출하지 않는다. 드라마는 일반 대중에게 미치는 결과보다 개별 등장인물의 행동과 선택을 주로 다루는 경향이 있는 반면, 공리주의적 드라마를 만드는 것은 단지 가장 중요한 활동이 행동의 결과를 계산하는 보이지 않는 정신 활동이 될 것이라는 이유 때문에 상당히 따분할 것이다. 공리주의 철학은 현실 장르, 특히 '공공의 이익'이 실제 세상의 사건들이 구성되고 보도되는 방식을 통해 많은 경우 상세히 설명되는 다큐멘터리와 뉴스 프로그램에 가장 적절하다. 그러한 프로그램들은 모든 사람 사이에서 즐거움을 극대화하면서 고통과 불행을 최소화하려는 바람을 시청자들이 제작자들과 공유하는 것을 당연하게 여긴다. 그러한 가정이, 예컨대 전쟁, 홍수, 기근, 지진 또는 빈곤으로 인한 먼 곳의 불행을 보도하는 프로그램들을 뒷받침한다.
7강 3번
Mass interactive media make for many unintended consequences, and the Streisand effect summarizes one of the most central: other people won't always do what you want them to, and efforts to dictate their behavior can rebound rather messily. The effect takes its name from beloved American singer and actress Barbra Streisand, who in 2003 sued a company and photographer involved in the California Coastal Records Project, on the grounds that one of their photographs was an aerial image in which her house could clearly be seen. The photograph, she argued, violated her privacy ─ an argument that was ultimately unsuccessful. Far more significant than her lack of legal success, however, was the quite staggering lack of success Streisand enjoyed in attempting to preserve her privacy by suppressing the image of her home. As Wikipedia points out, before her actions drew attention to the image, it had been downloaded just six times from the website of the photographer who took it. Thanks to the legal case, however, over 400,000 people visited the site over the following month (and the image remains prominently reproduced across the web). The term 'Streisand effect' itself was coined on the Techdirt blog in 2005, looking back on its coverage of the 2003 incident and at the way in which Streisand's actions had fueled an internet-led movement doing precisely the opposite of what she wanted.
쌍방향 대중 매체는 의도하지 않은 많은 결과를 야기하는데, Streisand 효고는 가장 핵심적인 것 중 하나를 개괄한다. 즉 다른 사람들은 여러분이 그들에게 원하는 것을 항상 하지는 않을 것이고, 그들의 행동을 좌우하려는 노력은 상당히 다루기 힘들게 되돌아올 수 있다. 그 효과의 이름은 미국의 인기 많은 가수이자 여배우인 Barbra Streisand에서 따온 것으로 그녀는 2003년에 California Coastal Records Project에 관련된 회사와 사진작가를 고소했는데, 그들이 찍은 사진 중 하나가 그녀의 집이 명확히 보일 수 있는 항공 사진이라는 이유에서였다. 그녀는 그 사진이 자신의 사생활을 침해했다고 주장했는데, 결국 성공하지 못한 주장이었다. 그러나 그녀가 법적으로 성공하지 못한 것보다 훨씬 더 중요한 것은 자신의 집 사진을 금함으로써 자신의 사생활을 보호하고자 하는 시도에서 Streisand가 매우 믿기 어려울 정도로 성공을 누리지 못했다는 것이다. Wikipedia가 지적하는 바와 같이, 그녀의 소송이 그 사진으로 관심을 끌기 전에, 그것은 그 사진을 찍은 사진작가의 웹 사이트에서 단 6번 다운로드되었었다. 그러나 그 법적 소송 덕분에 다음 달 동안 40만 명이 넘는 사람들이 그 사이트를 방문했다. (그리고 그 사진은 웹 곳곳에서 대문짝만하게 복제되어 남아 있다.) 'Streisand 효과'라는 용어 자체는 2005년에 Techdirt 블로그에서 2003년 사건에 대한 그것의 보도와, Streisand의 소송이 그녀가 원한 것과 정확히 반대되는 일을 하는 인터넷 주도의 운동을 자극했었던 방식을 되들아보며 만들어졌다.
7강 4번
In the twentieth century, reading began to be organised by a series of institutions, which created their own reading communities with their own sets of expectations about books and their relationships to them. It can consequently be argued that the idea that popular culture and, by extension, popular fiction, is manipulated and, in tum, manipulates its consumers, has to do with those early twentieth-century attempts to 'direct' readers through a number of institutions. Whereas the lending library and railway bookstall had, initially, helped change and shape the very format of fiction, new institutions sprang up that capitalized on this new format and helped change the content of fiction, too. The year 1926 saw the foundation of the American Book-of-the-Month Club that was, in Britain, swiftly followed by the formation of the Book Society in 1927 and the Book Guild in 1930. These clubs, like the lending libraries before them, carefully selected individual titles for their readers, and, through the sheer volume of their members, began to have a decisive influence on what was published and what wasn't.
20세기에 독서는 일련의 단체들에 의해 체계화되기 시작했는데, 그 단체들은 책 그리고 그들과 책과의 관계에 대한 일련의 자체적인 기대치를 가진 자체 독서 공동체를 만들었다. 결과적으로 대중문화와 더 나아가 대중 소설이 조종되고 결국 그것의 소비자들을 조종한다는 생각은 다수의 단체를 통해 독자들을 '지배하려는' 20세기 초의 그러한 시도들과 관련이 있다고 주장될 수 있다. 대출 도서관과 철도 가판대가 처음에 소설의 바로 그 '형태'를 바꾸고 형성하는 데 도움이 되었었던 반면, 이 새로운 형태를 활용하고 소설의 '내용'을 바꾸는 데도 도움을 준 새로운 단체들이 생겨났다. 1926년에는 American Book-of-the-Month Club이 설립되었고, 영국에서 빠르게 그 뒤를 이어 1927년에는 Book Society가, 1930년에는 Book Guild가 만들어졌다. 이들 클럽은 자신들 이전의 대출 도서관과 마찬가지로 자신들의 독자를 위해 신중하게 개별 서적들을 '선정했고', 순전히 회원의 규모만으로 출판되는 것과 출 판되지 않는 것에 결정적인 영향을 마치기 시작했다.
7강 5~6번
Recent studies have shown how firms' increased tendency to copy best practice from competitors has led to declining margins as products and services become increasingly homogeneous and companies are left to compete on price. Indeed, a similar trend may be occurring in all fields of knowledge. A recent study published in the scientific journal Science showed that a tendency to read and cite only the latest research rather than scan more widely for interesting connections may be behind a decline in breakthrough thinking. So how do you encourage 'next practice' innovation that doesn't get bogged down in the detail of what is happening today and just reproduce what has gone before, but without straying away from the fundamentals? It is no coincidence that many of the most innovative new car designs have been conceptualized as they were sketched. The Land Rover's iconic shape was born in 1947. Rover's technical director, Maurice Wilks, was holidaying in Anglesey, where he was using an army surplus Willys Jeep as a utility vehicle. Impressed by its abilities, Wilks wondered if a civilian version would boost Rover's stagnant post-war sales. With a stick in the sand, he outlined his concept behind the car. Similarly, while the story that the Mini took shape on the back of a napkin isn't quite correct (Alec Issigonis only used high-quality paper), its revolutionary design was worked out in pencil sketches. One powerful aspect of thinking strategically and innovatively by drawing in this way is that it can be detached from 'the database' of the past while still being grounded. An experienced draftsperson or engineer with a clean sheet can draw unhindered by the weight of what is currently in fashion, while her knowledge of the fundamentals keeps her from going completely off-beam. So often in modem organizations, the ease with which current information is at one's fingertips lengthens the research process and often ends up promoting views that are heavily influenced by current 'best practice' trends, stifling real involvement in particular problems and, hence, real innovation.
최근의 연구들은 경쟁사들의 모범 사례를 모방하려는 기업들의 경향 증가가 제품과 서비스가 점점 동질화되고 기업들이 가격을 두고 경쟁하는 상황에 놓임에 따라 어떻게 수익 감소로 이어졌는지를 보여 주었다. 실제로 유사한 추세가 모든 지식 분야에서 아마 일어나고 있을 것이다. 과학 저널 Science에 발표된 최근의 한 연구는 흥미로운 연관성을 찾기 위해 더 광범위하게 검색하기보다 최신 연구만 읽고 인용하는 경향이 획기적인 사고 감소의 배후에 있을 수 있다는 것을 보여 주었다. 그렇다면 어떻게 하면 오늘날 일어나고 있는 것의 세부 사항에 발목을 붙잡혀 이전에 성공했던 것을 단지 재현하는 것이 아니면서, 기본에서 벗어나지 않는 다음의 '방안' 혁신을 장려할 수 있을까? 가장 혁신적인 신차 디자인 중 상당수가 스케치 되었기 때문에 개념화되었다는 것은 우연이 아니다. Land Rover의 상징이 된 형태는 1947년에 탄생했다. Rover의 기술 이사인 Maurice Wilks는 Anglesey에서 휴가를 보내고 있었는데, 거기서 그는 불용 군수품 Willys Jeep를 다용도 차량으로 사용하고 있었다. 그것의 성능에 감명을 받은 Wilks는 민간용 버전이 Rover의 침체된 전쟁 후 판매를 증가시키지 않을까 싶었다. 그는 막대기를 가지고 모래에 그 자동차에 대한 자신의 개념의 윤곽을 그렸다. 마찬가지로 Mini가 냅킨 뒷면에서 구체화되었다는 이야기는 완전히 정확하지는 않지만(Alec lssigonis는 고급 종이만 사용했다.) 그것의 혁신적인 디자인은 연필 스케치로 고안되었다. 이러한 방식으로 그림을 그림으로써 전략적이고 혁신적으로 사고하는 것의 한 가지 강력한 측면은 그것이 여전히 근거를 두고 있으면서도 과거의 '데이터베이스'에서 분리될 수 있다는 것이다. 숙련된 설계자나 엔지니어는 백지 한 장을 가지고 현재 유행하고 있는 것의 무게에 방해받지 않고 그릴 수 있지만 기본 사항에 대한 자신의 지식으로 인해 완전히 잘못되지는 않는다. 너무나 자주 현대 조직에서는 최신 정보를 즉시 이용할 수 있는 용이성이 연구 과정을 길게 늘이고, 흔히 결국 현재의 '모범 사례' 유행에 크게 영향을 받는 견해를 조장하여 특 정 문제에 대한 진정한 몰두를 따라서 진정한 혁신을 억제한다.
7강 7번
Any firm conclusions about whether perfectionism is good or bad are complicated by the fact that perfectionism is a complex personality construct with multiple dimensions. When most people describe perfectionists, they describe people with exceptionally high personal standards. However, in the early 1990s, two different research teams showed that perfectionism has other aspects. Randy Frost and associates showed that the high-standards element of perfectionism is also accompanied by dimensions that tap evaluative concerns such as an excessive concern over mistakes and doubts about action. This work was based on a conceptualization of perfectionism that linked it with self-criticism as part of the construct; that is, Frost and his colleagues described perfectionism as 'high standards of performance which are accompanied by tendencies for overly critical evaluations of one's behaviour.'
완벽주의가 좋은지 나쁜지에 대한 어떤 확고한 결론이라도 완벽주의가 많은 요소를 가진 복합적인 성격 구성물이라는 사실에 의해 이해하기 어렵게 된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완벽주의자를 묘사할 때 유난히 높은 개인적 기준을 가진 사람들을 묘사한다. 그러나 1990년대 초에 두 개의 다른 연구팀이 완벽주의에는 다른 측면이 있다는 것을 보여 주었다. Randy Frost와 동료들은 완벽주의의 높은 기준 요소는 실수에 대한 과도한 염려와 행동에 대한 의심과 같은 평가 염려를 이용하는 요소도 또한 수반한다는 것을 보여 주었다. 이 연구는 완벽주의를 그 구성물의 일부로서의 자기비판과 연결하는 완벽주의의 개념화에 바탕을 두고 있었다. 다시 말해 Frost와 그의 동료들은 완벽주의를 '자신의 행동에 대해 지나치게 비판적인 평가를 하는 경향성을 수반하는 높은 수행 기준' 이라고 묘사했다.
7강 8번
Current environmental policies and regulations in the United States, most of which were developed before climate change was recognized as an influence on forest resources, may not be flexible enough to accommodate rapidly changing climate and disturbance regimes. For example, the capacity (budget and personnel) of agencies to suppress wildfires is already being stretched. Since 2000, the U.S. Forest Service has typically spent $1-2 billion per year on fire suppression, and nearly 50% of the total agency budget is currently allocated to fire management. If the annual area burned doubles during the twenty-first century, a conservative projection in most modeling studies, then balancing fire suppression versus other management functions will be a critical policy issue in the absence of a large increase in agency budget. Although fuel treatments reduce fire severity and build landscape resilience to wildfire, it will be difficult to offset increasing fire suppression costs without greatly increasing budgets for proactive, strategically placed treatments.
미국의 헌재 환경 정책과 규제들은 대부분이 기후 변화가 산림 자원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로 인식되기 전에 개발된 것이어서, 급변하는 기후와 교란 체제를 수용하기에 충분히 유연하지 못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산불을 진압할 기관의 역량(예산과 인력)은 이미 부담을 받고 있다. 2000년 이후 미국 산림청은 일반적으로 연간 10억~20억 달러를 화재 진압에 지출해 왔으며, 기관 전체 예산의 거의 50퍼센트가 현재 화재 관리에 할당되어 있다. 대부분의 모델링 연구에서 보수적으로 예측한 바인데, 만약 연간 연소 면적이 21세기 동안 두 배로 증가하면 기관 예산이 크게 증가하지 않는 상황에서 다른 관리 기능과 대비해서 화재 진압의 균형을 맞추는 것이 중요한 정책 이슈가 될 것이다. 연료 관리가 화재 강도를 줄이고 산불에 대한 환경 회복력을 증진하긴 하지만, 사전 예방적이고 전략적으로 이루어지는 관리를 위한 예산을 크게 늘리지 않고는 증가하는 화재 진압 비용을 상쇄하기 어려울 것이다.
7강 9번
All new products and services are introduced to society by corporate entities. This is the essence of the market system: corporate entities try to establish a market position empowered by their product or service offerings. If the offering to the market is what the market needs and wants, directly or indirectly, the corporate entity is rewarded by profitable returns on its activities. It is clear that what the corporate entity offers to the market must be evaluated constantly. This is what I call the innovation mind-set. What the firm innovates both in terms of products and services is going to provide market power, which ensures its existence and its profitability. But in a market system this innovation mind-set must be connected to the consumer mind-set. Firms cannot develop products and services willy-nilly and hope that they will be successful. What is in the subconscious mind of consumers, and further what they have not even thought of but would enhance their lives, are parts of the consumer value mind-set that need to be explored.
모든 새로운 제품과 서비스는 기업체에 의해 사회에 소개된다. 이것이 시장 제도의 본질인데, 즉 기업체는 자신의 제품이나 서비스 매물에 의해 자격을 부여받은 시장 지위를 확립하려고 노력한다. 만약 시장에 내놓는 매물이 직간접적으로 시장이 필요로 하고 원하는 것이라면, 기업체는 그것의 활동에 대한 수익으로 보상받는다. 기업체가 시장에 팔려고 내놓는 것이 지속적으로 평가를 받아야 한다는 것은 분명하다. 이것이 내가 혁신적 사고방식이라고 부르는 것이다. 제품과 서비스 둘 다의 측면에서 회사가 혁신하는 것은 시장 지배력을 제공할 것이고, 그것은 회사의 생존과 수익성을 보장한다. 그런데 시장 제도에서는 이러한 혁신적 사고방식이 소비자의 사고방식과 관련되어 있어야 한다. 회사가 닥치는 대로 제품과 서비스를 개발하고 성공하기를 바랄 수는 없다. 소비자의 잠재의식적인 생각 속에 있는 것, 그리고 나아가 그 둘이 생각조차 하지 못했던 것이지만 그들의 삶을 향상시켜 줄 것이야 말로 탐색되어야 할 필요가 있는 소비자 가치 사고방식의 일부이다.
7강 10번
The Moon's size appears to be almost the same as that of the Sun since the angular diameters of both are 0.5' as viewed from Earth. Of course, the Sun is actually 400 times the lunar diameter and distance. Nevertheless, this effect allows the Moon to at times block out the brilliance of the Sun and reveal new insights about the star. Important information on the motions of the Sun can be gathered during a partial eclipse. A total eclipse allows the disc of the Sun to be entirely blocked, cutting off its direct light. At those few minutes of totality, astronomers have the opportunity to observe and photograph different features of the Sun that are normally obscured by its intense brilliance. Only during an eclipse can astronomers view and photograph the Sun's corona, the solar atmosphere, and the brightest nearby stars that are ordinarily invisible.
달의 크기는 태양의 크기와 거의 같아 보이는데 이는 둘의 각 지름이 지구에서 볼 때 모두 0.5'이기 때문이다. 물론 태양은 사실 달의 지름과 달까지의 거리의 400배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효과 때문에 달은 때때로 태양의 밝음을 차단해서 그 별[태양]에 대한 새로운 이해를 드러낼 수 있다. 태앙의 움직임에 대한 중요한 정보가 부분 일식 중에 수집될 수 있다. 개기 일식은 태양의 둥근 모양이 완전히 가려지게 해서 태양의 직접적인 빛을 차단한다. 그 몇 분간의 개기식에서 천문학자들은 그것의 강렬한 밝기 때문에 보통은 보이지 않는 태양의 다른 특성들을 관찰하고 사진을 찍을 기회를 갖는다. 일식 동안에만 천문학자들은 태양의 광환, 태양의 대기, 그리고 보통 때는 보이지 않는 태양 가까이에 있는 가장 밝은 별들을 보고 사진을 찍을 수 있다.
7강 11~12번
When the famous musician Paganini played with an orchestra he made sure that the sounds of his violin would be heard above the orchestra by tuning it a quarter of a tone higher than the other instruments. This sharpening of pitch was not enough for his playing to sound out of tune but it did allow his notes to penetrate above the background harmony of the orchestra. This technique is exploited by some animals that need to signal over loud background noise. There is an insect in the rainforests of Southeast Asia that we call "the chainsaw insect" because its penetrating cry is heard above the cacophony of other insects as a sharp, higher frequency. Being seen as well as heard is a special problem in forests because only certain visual signals can be seen easily in the dappled and varying light of dense forest and against the background of complex patterns formed by vines, trunks, and leaves. If you wanted to send a visual signal in such a "noisy" visual environment, it would be pointless to display stripes or patches of black and white. Zebras are actually camouflaged by their black and white stripes when they stand still in dappled light beside or under bushes. Black and white patterning makes effective camouflage, and the receiver would be unlikely to detect a signal that depended on the use of such patterns unless it involved movements that made the patterns more visible. It is not surprising therefore that many species of the forest are brightly colored on those parts of their bodies that are used to send visual signals.
유명 음악가 Paganini가 오케스트라와 협연할 때 그는 자신의 바이올린을 다른 악기들보다 1/4음 높게 조율해서 자신의 바이올린 소리가 오케스트라보다 반드시 더 크게 들리도록 했다. 이렇게 음의 높이를 높이는 것은 그의 연주가 곡조가 틀리게 들릴 정도는 아니었지만, 그가 내는 음이 실제로 오케스트라의 백하모니[화음 반주]를 넘어 뚫고 나갈 수 있도록 해 주었다. 이 기술은 시끄러운 주변 소음보다 더 크게 신호를 보낼 필요가 있는 몇몇 동물에 의해 이용된다. 동남아시아의 열대 우림에는 그것의 날카로운 울음소리가 다른 곤충들의 불협화음보다 날카롭고 더 높은 주파수의 소리로 크게 들리기 때문에 우리가 'chainsaw insect(쇠사슬톱 벌레)'라고 부르는 곤충이 있다. 들리는 것뿐 아니라 보이는 것도 숲에서는 특별한 문제인데, 왜냐하면 단지 특정한 시각적 신호만이 빽빽한 숲의 아롱지고 변화하는 빛 속에서 그리고 덩굴, 줄기, 나뭇잎으로 형성된 복잡한 패턴을 배경으로 해서 쉽게 보일 수 있기 때문이다. 만약 여러분이 그런 '요란한' 시각적 환경에서 시각적 신호를 보내고 싶다면, 흑백의 줄무늬나 조각을 보여 주는 것은 무의미할 것이다. 얼룩말은 덤불 옆이나 아래의 아롱진 빛에 가만히 서 있을 때 실제로 흑백 줄무늬로 위장된다. 흑백 무늬는 효과적인 위장이 되어, 그것[신호]을 받는 대상은 그것이 그 무늬를 더 뚜렷하게 만드는 움직임을 수반하지 않는다면, 그런 무늬를 사용하는 것에 의존하는 신호를 탐지할 가능성이 없을 것이다. 그렇기에 숲의 많은 종이 시각적 신호를 보내는 데 사용되는 그러한 신체 부위에 밝은 빛깔을 띤다는 것은 놀라운 일이 아니다.
8강 1번
Because industrial robots are usually programmed to repeat precise manipulations, such as welding or paint spraying, their working environment is often carefully designed so that intricate sensory feedback is unnecessary ━ the robot performs its repetitive tasks in an accurate, efficient, but essentially unintelligent way, without having to take much notice of the world around it. Although they make use of sensors to help control and fine-tune their movements, and to avoid major collisions, the behavior of such robots cannot be said to be in any way intelligent. If the car on the production line is misaligned or is not the expected shape, the robot cannot react to the new set of circumstances ━ it can only repeat its pre-programmed movements. While these limitations are manageable in the highly controlled environment of a production line, they become problematic if a robot is to be used in less-structured and less-predictable circumstances. More complex cases involving untidy or dynamic or noisy environments, or delicate manipulations of objects, usually require more sophisticated sensory feedback and perceptual processing ━ for instance the use of a vision system to help guide a robot to the desired location.
대개 산업용 로봇은 용접이나 페인트 분무와 같은 정확한 조작을 반복하도록 프로그램되어 있으므로, 보통 그것의 작업 환경은 복잡한 센서 피드백이 불필요하도록 용의주도하게 고안되는데, 로봇은 주변 세계에 관해 크게 주목할 필요가 없이 자신의 반복적 일을 정확하고 효율적이지만 기본적으로 지능적이지는 않은 방식으로 수행한다. 비록 자기 동작을 제어하고 미세하게 조정하는 데 도움이 되기 위해, 그리고 큰 충돌을 피하기 위해 센서를 사용하더라도, 그런 로봇의 행위는 결코 지능적이라고 말할 수 없다. 생산 라인의 자동차가 배열이 어긋났거나 예기된 모양이 아닌 경우에, 로봇은 그 새로운 일련의 환경에 반응할 수 없고 자체의 사전 프로그램된 동작을 되풀이할 수만 있을 뿐이다. 이 한계들은 생산 라인이 고도로 제어된 환경에서는 감당이 가능하지만, 로봇이 덜 구조화되고 덜 예측 가능한 환경에서 사용될 경우에는 문제가 된다. 정돈되지 않거나 역동적이거나 소음이 많은 환경이나 물체의 섬세한 조작을 수반하는 더 복잡한 경우에는 대개 더 정교한 센서 피드백과 지각 처리가 필요한데, 가령 원하는 위치로 로봇을 인도하는 데 도움이 되도록 시각 시스템을 사용하는 것 같은 경우이다.
8강 2번
Only recently in their evolutionary history have humans had the luxury of eating breakfast, lunch, and dinner without having to forage or hunt. Animals living in the wild, including humans, evolved in environments where food was sparse and meals were obtained only intermittently. This is perhaps best illustrated by predators such as wolves and lions, who commonly kill a prey animal only once every week or so. When the predators are in a food-deprived or fasted state, they must be able to determine where they are most likely to find prey and then expend the physical effort required to catch and kill their prey. Individuals whose brains and bodies functioned optimally when in a fasted state were those that survived and passed their genes on to the next generation. Evolution has "sculpted" our cells and organ systems such that they respond to intermittent fasting in ways that enable them to function optimally.
자신의 진화 역사에서 최근에야 인간은 먹이를 찾아다니거나 사냥할 필요 없이 아침, 점심, 저녁을 먹는 호사를 누려 왔다. 인간을 포함하여 야생에서 사는 동물은 먹을 것이 부족하고 음식물을 간헐적으로만 얻는 환경에서 진화했다. 이것은 아마 늑대와 사자 같은 포식 동물들에 의해 가장 잘 설명되는데, 그것들은 흔히 먹이 동물을 7일 정도마다 한 번만 죽인다. 포식 동물은 먹을 것이 없거나 먹지 못한 상태에 있을 때, 어디에서 먹이 동물을 찾을 가능성이 가장 높은지 알아내고 그러고 나서 먹이 동물을 잡아서 죽이기 위해 필요한 신체적 노력을 다할 수 있어야 한다. 먹지 못한 상태에 있을 때 뇌와 신체가 최적으로 기능했던 개체들이야말로, 살아남아서 자기 유전자를 다음 세대에 넘겨준 개체들이었다. 진화는 우리의 세포와 기관계가 최적으로 기능할 수 있게 하는 방식으로 간헐적인 금식에 대응하도록 그것들을 '조각해' 왔다.
8강 3번
At some point, you, as a leader of creative people, have probably heard the phrase "Let's let the 'creatives' handle that." It's as if there were some mythical box where complexity goes in one end and amazingness comes out the other. You're handed problems and told to "do your magic." Often, this is because the creative process is opaque to your stakeholders and clients ― they don't see the many decisions that you had to make and the ideas you chose not to act upon. They often just see the result. To some extent, this can be an advantage because you don't have to justify every choice you make. On the other hand, it can also work against you when you are expected to work miracles with too few resources and too little time. Worse, if you go above and beyond and exceed everyone's expectations once, those expectations rise next time ("You did it last time ― why can't you do it again?"). As the leader, it's your job to shine a bit of light on the process and help your stakeholders understand your team's abilities, capacity, and constraints.
어떤 시점에서 여러분은 창의적인 사람들의 지도자로서 "'창의적인 사람들'이 그것을 처리하게 합시다."라는 말을 아마 들어 본 적이 있을 것이다. 그것은 마치 복잡함이 한쪽으로 들어가서 놀라움이 반대편으로 나오는 상상에만 존재하는 어떤 상자가 있는 듯하다. 여러분은 문제를 넘겨받고는 "마법을 부려 보라"고 명을 받는다. 보통 이것은 창의적인 과정이 여러분의 이해관계자들과 고객들에게 불분명하기 때문인데, 그들은 여러분이 내려야 했던 많은 결정과 따르지 '않기로' 했던 아이디어들을 알지 못하기 때문이다. 그들은 보통 그저 결과만 볼 뿐이다. 여러분이 하는 모든 선택을 해명할 필요는 없기 때문에, 어느 정도까지 이것은 장점이 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너무 적은 자원과 너무 적은 시간으로 기적을 행하라고 요구받을 때 그것은 여러분에게 불리하게 작용할 수도 있다. 더 안좋은 것은, 여러분이 한번 모든이의 기대를 넘어서 능가하게 되면, 다음번에도 그런 기대가 생긴다("당신은 지난번에 해냈죠. 왜 다시 할 수 없는 거죠?")는 것이다. 지도자로서 그 과정을 어느 정도 분명하게 설명하여 여러분의 이해관계자들이 여러분 팀의 재능, 역량, 제약을 이해하도록 돕는 것이 여러분이 할 일이다.
8강 4번
Democracy, understood as "government of the people by the people," is, according to Plato, not the best way of organizing the political system. Why not? In Republic, he criticized precisely the two distinctive features of democracy: freedom and equality. Although freedom was of precious value to him, he was aware of the danger of excessive freedom because it allowed people to do what they liked, which could then lead to anarchy. He was also critical about the value of equality, as it would permit everyone to have the right to rule guided by the illusion that everybody would have the capacity to do so. Moreover, it would create space for power-seeking individuals who are motivated by personal gain rather than taking care of the public good. Democracy would be highly corruptible and would open the gate to demagogues and potential dictators. As an unstable political system, democracy, vulnerable as it would be to anarchy and tyranny, would lack virtuous leaders with the proper skills and morals who excel in competent leadership.
'국민에 의한 국민의 정치'로 이해되는 민주주의는 플라톤에 따르면 정치 체계를 조직하는 가장 좋은 방식이 아니다. 왜 아닌가? '국가'에서 그는 정확하게 민주주의의 두 가지 뚜렷이 구별되는 특징인 자유와 평등을 비판했다. 자유는 그에게 귀중한 가치가 있었지만, 그는 '지나친' 자유의 위험을 인식하고 있었는데, 그것은 사람들이 자신이 좋아하는 것을 하도록 허용하고, 그것은 그러면 무정부 상태를 초래할 수 있었기 때문이었다. 그는 또한 평등은 모든 사람이 통치하는 능력을 지니고 있을 것이라는 착각에 이끌려 모든 사람에게 그렇게 할 권한을 갖도록 허용할 것이기 때문에, 평등의 가치에 대해서도 비판적이었다. 더욱이, 그것[평등]은 공익을 돌보지 않고 개인적인 이득에 의해 동기 부여가 되는, 권력을 추구하는 개인을 위한 공간을 조성할 것이다. 민주주의는 매우 부패하기 쉬우며, 선동 정치가와 잠재적 독재자에게 문을 열어 줄 것이다. 불안정한 정치 체계로서, 무정부 상태와 독재 정치에 취약할 것이기 때문에 민주주의는 올바른 능력과 도덕을 갖추고, 역량 있는 리더십이 뛰어난 고결한 지도자를 갖지 못할 것이다.
8강 5~6번
Efforts to prevent or at least undo harm to streams began in the late 1800s, but only grew legislative teeth in the late 1960s and early 1970s. The Clean Water Act, in particular, was spectacularly successful in many ways. As one example, it is now possible to swim in most rivers and streams in the United States without having to take a heavy course of antibiotics afterward. The question is how to get us the rest of the way: how do we prevent further harms to rivers and streams, and even improve their ecological, chemical, and physical character and function? Can a market for streams do what command-and-control legislation has (thus far at least) failed to do? The answer to the latter question is no, or at least not yet. The idea of allowing much-needed development to harm ecosystems as long as we restore comparable ecosystems elsewhere turns out to be quite hard to operationalize. It is very difficult to ensure equivalence between ecosystems that are harmed and those that are restored. Further, we are not yet able to reliably restore most (perhaps all) ecosystem types; natural systems are highly complex, and we are far from understanding the full scope of that complexity, much less being able to reproduce it. Finally, in addition to being complex, ecosystems are messy, dynamic, and highly interconnected; standardizing them into simple, tradeable commodities in order to create robust markets is certainly doable, but it raises unsettling questions about what, if anything, such simplified versions of ecosystems actually achieve. We thus argue that ecosystem service markets have not delivered on the conservation goals of their advocates and should be radically reconfigured.
하천에 미치는 해를 예방하거나 적어도 되돌리려는 노력은 1800년대 말에 시작되었지만, 1960년대 말과 1970년대 초에서야 법의 이빨을 길렀다. 특히 '수질정화법'은 여러 측면에서 굉장히 성공적이었다. 하나의 사례로 이제는 나중에 대량으로 일련의 항생제를 복용할 필요 없이 미국에 있는 대부분의 강과 하천에서 수영하는 것이 가능하다. 문제는 어떻게 우리가 남은 길을 가게 할 것인가이다. 즉, 어떻게 강과 하천에 대한 추가적인 해를 예방하고 그것들의 생태적, 화학적, 물리적 특성과 기능을 개선하기까지 하는가? 하천 시장이 명령과 통제의 법률이 (적어도 이제까지는) 하지 못한 것을 할 수 있는가? 후자 질문에 대한 대답은 아니요이거나 적어도 아직은 아니다이다. 다른 곳에서 유사한 생태계를 복구하기만 하면 매우 필요한 개발을 하느라 생태계에 해를 끼치는 것을 허용한다는 생각은 결국 시행하기 매우 어렵게 된다. 해를 입는 생태계와 복구되는 생태계 사이에 등가성을 보장하기가 매우 어렵다. 더구나, 우리는 대부분의 (어쩌면 모든) 생태계 유형을 확실히 복구할 능력이 아직 없는데, 자연 시스템은 매우 복잡하고, 우리는 그 복잡성의 전 범위를 이해하는 것은 전혀 아닌데 더구나 그것을 재생할 능력이 있는 것은 아니다. 마지막으로, 복잡할 뿐만 아니라 생태계는 혼란스럽고 역동적이며 고도로 서로 연결되어 있는데, 탄탄한 시장을 만들기 위해 그것을 단순하고 거래할 수 있는 상품으로 표준화하는 것은 확실히 할 수 있지만, 그런 단순화한 버전의 생태계가, 달성하는 것이 있다 하더라도, 실제로 무엇을 달성하는 것인지에 대해 심란한 문제를 제기한다. 따라서 우리는 생태계 서비스 시장이 그 지지자들의 보존 목표를 이행하지 못했으며 근본적으로 변경되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8강 7번
An accelerating growth of the importance of the service sector is typical of the development of the contemporary economy. The number of service-oriented business entities is continuously increasing. They face the necessity to constantly improve their competitiveness in order to win and sustain a desired position on the market. To achieve this, they seek the best methods to communicate with customers, create and influence the demand, and shape a customer-friendly environment. Consequently, a growing interest in identifying and developing marketing mechanisms and instruments that would be applicable to the service sector is observed. Thus, marketing science, primarily pertaining to the overall circumstances and activities related to the process of selling and buying of products (that is of tangible, saleable goods), has in recent decades been extended to services. Hence, a separate branch of services marketing, with its numerous sub-fields meeting the needs of specific services offered, has developed.
서비스 부문 중요성의 가속화되고 있는 증가는 현대 경제 발전의 전형적인 특징이다. 서비스 위주의 사업체 수는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그들은 시장에서 원하는 위치를 차지하고 유지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경쟁력을 향상해야 할 필요성에 직면해 있다. 이를 달성하기 위해 그들은 고객과 소통하고, 수요를 창출하고 영향을 미치며, 고객 친화적인 환경을 형성하는 최상의 방법을 모색한다. 결과적으로, 서비스 부문에 적용할 수 있을 마케팅 메커니즘과 도구를 알아내고 개발하는 데 대해 관심이 증가하고 있는 것이 관찰된다. 따라서 주로 제품(다시 말해, 유형의, 판매 가능한 상품)의 판매 및 구매 과정과 관련된 전반적인 상황 및 활동과 관련이 있는 마케팅 과학이 최근 수십 년 동안 서비스로 확장되었다. 그리하여 서비스 마케팅이라는 별도의 분야가 생겨났고, 그것의 수많은 하위 분야는 제공되는 특정 서비스의 요구 사항을 충족시킨다.
8강 8번
The speed with which self-help books fly off the shelves would seem to suggest that they really do improve our lives. But I have a wise friend who points out that whenever there are multiple solutions to one problem, we can be pretty sure that none of them works. She developed this theory when her dog kept getting sprayed by skunks: each person she consulted offered a different remedy for getting rid of the odor, none of which worked. Similarly, the very fact that there are so many self-help books on the market might be a sign that none of them is effective. After all, if one of them really did unlock the secret to everlasting happiness, it would comer the market and crowd out all the others. But instead, there is what is known in the self-help industry as the eighteen-month rule, which is that the person most likely to buy a self-help book is someone who bought one eighteen months earlier.
자기 계발서가 날개 돋친 듯 팔리는 속도는 그것이 실제로 우리 삶을 향상시킨다는 것을 암시하는 것처럼 보일 것이다. 하지만 내게는 한 문제에 대해 여러 가지 해결책이 있을 때마다, 우리는 그중 아무것도 효과가 없다고 상당히 확신할 수 있다고 지적하는 현명한 친구가 있다. 그녀는 자신의 개가 스컹크에 의해 계속 악취 분사 공격을 당했을 때 이 이론을 발전시켰는데, 그녀가 상담한 각 사람은 냄새를 제거하기 위한 서로 다른 해결책을 제안했지만, 그중 어느 것도 효과가 없었다. 마찬가지로, 시중에 자기 계발서가 너무 많다는 바로 그 사실이 그중 어느 것도 효과적이지 않다는 신호일 수도 있다. 어쨌든 간에 결국, 그것들 중 하나가 정말로 영원한 행복의 비밀을 풀어 낸다면 그것은 시장을 장악해 다른 모든 것을 밀어낼 것이다. 하지만 그 대신에, 자기 계발서 업계에는 18개월 규칙으로 알려진 것이 있는데, 자기 계발서를 살 가능성이 가장 높은 사람은 18개월 전에 자기 계발서를 산 사람이라는 것이다.
8강 9번
There is no reason to think that the demand for the work of human beings will dry up at a steady pace. There may be sudden rises in either force: a burst of worker displacement here, a sudden rise in demand for workers there. Nor will the demand for the work of human beings dry up at the same pace in all parts of an economy. Some industries might be more exposed to one force than the other; some regions will be more insulated than others. And it is also important to remember that any fall in demand for the work of human beings may initially not change the amount of work to be done, but the nature of that work: its pay, its quality, its status. In the end, though, it is the number of jobs that will be affected. As Leontief put it, lowering workers' wages could "postpone [their] replacement by machines for the same reason that a reduction of oats rations allocated to horses could delay their replacement by tractors. But this would be only a temporary slowdown in the process."
인간 노동에 대한 수요가 꾸준한 속도로 고갈될 것이라고 생각할 이유가 없다. 어느 쪽의 힘에도 갑작스러운 증가가 있을 수도 있어, 이곳에서는 노동자 해고가 폭발하고 저곳에서는 노동자에 대한 수요가 갑자기 증가할 수도 있다. 또한 인간 노동에 대한 수요는 경제의 모든 부분에서 동일한 속도로 고갈되지는 않을 것이다. 일부 산업은 다른 쪽 힘보다 한쪽의 힘에 더 많이 노출될 수도 있으며, 일부 분야는 다른 분야보다 더 고립될 것이다. 그리고 인간 노동에 대한 수요의 감소가 얼마가 되든 그것이 처음에는 해야 할 일의 양이 아니라, 그 일의 본질, 즉 일의 보수, 질, 지위에 변화를 줄 수도 있다는 것을 기억하는 것도 중요하다. 그러나 결국 영향을 받게 될 것은 일자리의 수이다. Leontief가 말했듯이, 노동자의 임금을 낮추는 것은 "말에 할당되는 귀리 배급량을 줄이면 말이 트랙터로 대체되는 것을 지연시킬 수 있는 것과 같은 이유로 기계에 의한 [노동자의] 대체를 지연시킬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이것은 그 과정에서의 단지 일시적인 둔화일 것이다."
8강 10번
Among the processes that can be influenced by a person's awareness, healing is one of the most vital. Cells use their own form of chemical consciousness already. The immune response is awake and aware all the time, constantly monitoring itself, staying vigilant for any possible invader or other outside threat. The immune response is as self-sufficient as someone's heartbeat or breathing. Yet immunity as a built-in response has a gaping flaw in it. To find the flaw, pause and simply take a deep breath. There's the flaw, staring everyone in the face. Breathing is an automatic, involuntary function, but you can step in and make it voluntary anytime you want. The same ability extends almost everywhere. You can voluntarily induce the stress response by going to a horror movie. You can alter your metabolism by exercising or changing your diet. The dividing line between what happens automatically and what happens voluntarily is not fixed. Choices matter, and thus the healing self comes into play. On its own the body knows how to survive; it's up to us to teach it how to thrive.
사람의 인식에 의해 영향을 받을 수 있는 과정 중에서, 치유는 가장 중요한 것 중 하나이다. 세포는 이미 그것 자체 형태의 화학적 의식을 사용한다. 면역 반응은 끊임없이 자신을 감시하고, 있을 수 있는 그 어떤 침입자나 다른 외부 위협에 대해 경계하는 상태를 유지하면서 항상 깨어 있고 의식한다. 면역 반응은 누군가의 심장 박동이냐 호흡만큼이나 자급자족이 가능하다. 그러나 타고난 반응으로서의 면역력은 매우 큰 결함을 내포하고 있다. 그 결함을 찾으려면, 잠시 멈추고 그저 숨을 깊이 들이쉬라. 모든 사람이 알아차린 건 아니지만 매우 분명한 결함이 있다. 호흡은 무의식적이고 비자발적인 기능이지만, 여러분이 원할 때 언제든지 개입해서 그것을 자발적으로 만들 수 있다. 동일한 능력이 거의 모든 곳까지 뻗친다. 여러분은 공포 영화를 보러 감으로써 자발적으로 스트레스 반응을 유도할 수 있다. 여러분은 운동하거나 식단을 바꿈으로써 신진대사를 바꿀 수 있다. 무의식적으로 일어나는 것과 자발적으로 일어나는 것을 구분하는 경계선은 정해져 있지 않다. 선택이 중요하며, 따라서 치유하는 자아가 작동하기 시작한다. 자기 스스로 몸은 생존하는 법을 알고 있고, 몸에게 튼튼해지는 법을 가르치는 것은 우리에게 달려 있다.
8강 11~12번
Because early primitive life depended on an environment with little or no oxygen, the eventual rise of early photosynthetic (relating to use of radiant energy to create new compounds) plant life resulted in the emission of large quantities of a highly reactive, and therefore toxic air pollutant, oxygen. This period (the Proterozoic era) would have been catastrophic for many of the established life forms, even producing some total extinctions. Thus, the Proterozoic era produced the first, and greatest, air pollution disaster. The new oxygen-rich atmosphere eventually stabilized with an oxygen content of about 20 percent, which led to the flourishing of more of the new forms of life. This life included complex plants and animals. The current oxygen content in the atmosphere is about 20.9 percent at sea level under dry conditions. Should the oxygen content increase to, say 30 percent, extensive uncontrollable fires would result. Flammable materials, such as wood and other organic materials, ignite easily and bum rapidly at high oxygen concentrations. Low oxygen levels, less than 15 percent, would threaten the existence of complex animal life. The abundant life we know today fortunately serves to stabilize our current atmosphere. As a result, atmospheric oxygen levels have gone back and forth around the current level for hundreds of millions of years.
초기 원시 생명체는 산소가 거의 또는 전혀 없는 환경에 의존했기 때문에, 그 결과로 일어난 (새로운 화합물을 만들기 위한 복사 에너지의 사용과 관련된) 초기 광합성 식물의 출현은 매우 반응성이 높고, 따라서 유독한 대기 오염 물질인 산소를 대량으로 방출하는 결과를 낳았다. 이 시기(원생대)는 이미 자리를 잡은 생명체 중 많은 것에 파멸적이었을 것이며, 심지어 일부의 완전한 멸종을 유발하기도 했을 것이다. 따라서, 원생대는 최초의 가장 큰 대기 오염 재앙을 일으켰다. 산소가 풍부한 새로운 대기는 결국 약 20퍼센트의 산소 함량을 가진 채 안정되었고, 이것은 더 많은 새로운 생명체의 번성을 가져왔다. 이 생명체에는 복잡한 동식물이 포함되었다. 현재 대기의 산소 함량은 건조한 환경에서 해수면 기준으로 약 20.9퍼센트이다. 산소 함량이 예를 들어 30퍼센트까지 증가하면, 걷잡을 수 없는 대규모의 화재가 발생할 것이다. 목재와 다른 유기 물질과 같이 불에 잘 타는 물질은 높은 산소 농도에서 쉽게 불이 붙고 빠르게 탄다. 15퍼센트 미만의 낮은 산소 수치는 복잡한 동물의 생존을 위협할 것이다. 우리가 오늘날 알고 있는 풍부한 생물은 다행히 우리의 현재 대기를 안정시키는 데 도움을 준다. 그 결과, 대기 중의 산소 수치는 수억 년 동안 대략 현재 수치에서 왔다 갔다 해 왔다.
9강 1번
Just like plants, algae absorb carbon dioxide as they photosynthesize and lock it into the molecules of their bodies. Like bacteria, many algae are so delicate that they decompose quickly after they die, so they do not keep carbon dioxide out of air for long. However, microscopic algae, called coccolithophorids (or just coccoliths), make a shell of calcium carbonate. This shell is so dense that as soon as the coccoliths die, their bodies sink to the bottom of the oceans. The cold temperatures there slow decay to such a degree that the shells do not break down for thousands., even millions of years. Consequently, as these microscopic algae grow and then die, carbon dioxide is removed from the atmosphere for very long times. One of the possibilities for combating global warming is to make these algae grow faster and more abundantly by fertilizing the oceans in areas where coccoliths already live. The hypothesis is that by adding just enough of the right kinds of nutrients, coccoliths will grow rapidly enough to start removing large amounts of carbon dioxide that will offset much of the damage we do by burning petroleum and coal. So far, experimental trials have been encouraging.
식물과 꼭 마찬가지로, 조류도 광합성을 하면서 이산화탄소를 흡수하여 그것을 자신들의 몸체 분자 속에 가둔다. 박테리아처럼, 많은 조류는 매우 연약해서 죽고 나면 곧 분해되므로, 그것들은 이산화 탄소를 공기에서 오래 떨어져 있게 하지 않는다. 하지만 코콜리토포리드(혹은 간단히 코쿨리스)라고 불리는 미세 조류는 탄산 칼슘으로 껍질을 만든다. 이 껍질은 매우 밀도가 높아서 코쿨리스가 죽자마자, 그 몸체가 해양 바닥으로 가라앉는다. 그곳의 차가운 온도는 그 껍질이 수천 년 심지어는 수백만 년 동안 분해되지 않을 정도로 부패를 느리게 한다. 결과적으로, 이 미세 조류가 자라서 그런 다음 죽을 때 이산화 탄소가 매우 오랜 기간에 걸쳐 대기권에서 제거된다. 지구 온난화를 방지하기 위해 실행할 수 있는 수단 중 하나는 코콜리스가 이미 살고 있는 지역의 바다를 비옥하게 함으로써 이 조류들이 더 빨리 더 풍부하게 자라게 하는 것이다. 가설은, 꼭 충분한 양의 적절한 종류의 영양소를 더해 줌으로써, 우리가 석유와 석탄을 태움으로써 일으키는 손상의 많은 부분을 상쇄할 다량의 이산화 탄소 제거를 시작할 만큼 충분히 빨리 코콜리스가 자랄 것이라는 것이다. 지금까지 실험적 시도는 고무적이었다.
9강 2번
Throw a bunch of Pseudomonas fluorescens bacteria in a beaker, and they will rapidly reproduce until they become starved for oxygen. At this point, the survival advantage shifts to a mutant type known as the "wrinkly spreader," which can create a film that binds them together into a floating colony with access to oxygen from above and nutrients from below. Cooperation allows the group to thrive. However, within this cooperative colony there may be some defectors; they produce none of the sustaining film, but instead free-ride on that produced by others. With the energy they save by not producing the film, they are able to have more offspring than the cooperative Pseudomonas. Competitive individuals (i.e., defectors) within the group outcompete cooperative ones. However, if there are too many defectors, the colony can no longer stay afloat and plunges to the depths of the beaker, losing its relative fitness. Colonies with fewer defectors will continue to thrive and leave more descendants than others. What we see is two distinct types of evolutionary pressure, at the individual and group level. The basic rule is that "Selfishness beats altruism within single groups. Altruistic groups beat selfish groups."
'슈도모나스 플루오레센스' 박테리아 한 덩어리를 비커에 던져 넣으면 그것들은 산소가 부족해질 때까지 빠르게 번식한다. 이 시점에서 생존 이득은 '주름진 확산체'라고 알려진 돌연변이의 유형으로 옮겨 가는데, 그것은 그 박테리아를 함께 묶어 위쪽으로부터는 산소, 아래쪽으로부터는 영양소에 접근할 수 있는 떠다니는 군체를 형성하는 막을 만들 수 있다. 협동을 통해 그 집단은 번성한다. 그러나 이 협동 군체 내에 일부 이탈자들이 있을 수도 있다. 그들은 지탱막을 하나도 만들지 않고, 그 대신 다른 것들이 만든 것에 무임승차한다. 그들은 막을 만들지 않음으로써 아낀 에너지로, 서로 협력하는 '슈도모나스' 보다 더 많은 자손을 가질 수 있다. 집단 내에서 경쟁하는 개체들(즉 이탈자들)이 협동하는 개체들을 경쟁에서 이긴다. 그러나 이탈자가 너무 많으면, 그 군체는 더 이상 떠 있을 수 없고, 비커의 깊은 곳으로 떨어져서 자체의 상대적인 건강함을 잃는다. 더 적은 이탈자를 가진 군체는 계속해서 번성하고 다른 것들보다 더 많은 자손을 남길 것이다. 우리가 보는 것은 개체 수준과 집단 수준에서의 두 가지 서로 다른 유형의 진화 압력이다. 기본적인 원칙은 '단일 집단 내에서는 이기심이 이타심을 이긴다. 이타적인 집단이 이기적인 집단을 이긴다.'라는 것이다.
9강 3번
From a semiotic perspective, designers can work with intentionally charging the design object with surprising moments and ambiguous signals, thus prolonging the time it takes the recipient to decode the object. Products cau be coded in such a way as to make the decoding process comparatively difficult for the recipient ― for example, by attaching a contradictory linguistic message to the object or concept. A clothing collection or series of interior designs might be given a title that is not immediately obvious to recipients, because it appears ambiguous, or perhaps because it consists of a compound word or term of one's own invention. It might also be that an unconventional onomatopoetic word, such as kapow or shhh, has been used in the marketing material or in the emblem of the collection in an effort to anchor the sound in the recipient's consciousness. In this way, it is possible to associate playful elements with a perhaps more serious design universe ― and it is possible that doing so captures a different mood for the recipient than what would otherwise be expected.
기호학적인 관점에서 보면, 디자이너들은 디자인하는 물건을 의도적으로 놀라운 순간과 모호한 신호로 '채우는' 일을 할 수 있고, 그러면 그것은 수령인이 그 물건을 해독하는 데 걸리는 시간을 연장한다. 제품은 그 수령인이 해독 과정을 비교적 어려워하도록 만드는 방식으로 암호화될 수 있는데, 예컨대 그 물건이나 개념에 상반되는 언어적 메시지를 부여함으로써 그렇게 될 수 있다. 의상 컬렉션이나 일련의 인테리어 디자인에 수령인에게 즉시 명백하지는 않은 명칭이 주어질 수도 있는데, 그것이 모호하게 보이기 때문이거나 혹은 아마도 그것이 자신이 만들어 낸 합성어나 용어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일 것이다. 또한 kapow나 shhh 같은 색다른 의성어가 수령인의 의식 속에 그 소리를 고정하려는 노력의 일환으로 마케팅 자료나 컬렉션의 상징에 사용되어 왔을 수도 있을 것이다. 이런 방식으로 재미있는 요소를 어쩌면 더 진지한 디자인 세계와 연관시킬 수 있으며, 그렇게 함으로써 그 수령인을 위하여 그렇게 하지 않을 경우에 예상될 것과는 다른 분위기를 담는 것도 가능한 일이다.
9강 4번
The difference of effect between books which are not literature and those which are is that while the former amuse, entertain, and glance over the surface of the mind, the latter touch the deepest springs of being. Literature books touch us aesthetically, it is true. The emotion aroused is impersonal, and thus removed from the keen thrill which is born of actual experiences; but it depends upon the same passions, the same characteristics, the same humanity, that underlie the joy s and sorrows of real life. It is because we are capable of passion and of disappointment that we are moved by the love and anguish of Romeo and Juliet, of Francesca and Paolo. Our emotion is not identical with that with which the heart throbs in personal love and grief; yet art which is genuine awakes emotion thoroughly genuine. Books of sensationalism and sentimentality may excite curiosity, or wonder, or amusement, or sham feelings; but they must have at least some spark of sacred fire before they can arouse in the intelligent reader this inner throb of real feeling.
문학 작품이 아닌 책과 문학 작품인 책 사이의 영향력의 차이는 전자는 마음의 표면을 재미있게 하고, 즐겁게 하고, 대충 훑어보게 하는 반면 후자는 존재의 가장 깊은 근원을 건드린다는 것이다. 문학 책은 미적으로 우리를 감동시키는데, 그 말은 사실이다. 유발되는 감정은 특정 개인과 상관없으며 따라서 실제 경험에서 나오는 강렬한 전율과는 다르다. 그러나 그것은 실제 삶의 기쁨과 슬픔의 기저를 이루는 것과 동일한 열정, 동일한 특성, 동일한 인간성에 의존한다. 우리가 Romeo와 Juliet, Francesca와 Paolo의 사랑과 고뇌에 감동받는 것은 우리가 열정과 실망을 느낄 능력이 있기 때문이다. 우리의 감정은 개인적인 사랑과 슬픔에서 심장이 고동치는 그것[감정]과 동일하지 않다 그렇기는 하나 진정한 예술은 철저하게 진실한 감정을 불러일으킨다. 선정적이고 감상적인 책은 호기심이나 궁금증이나 즐거움이나 거짓 감정을 일으킬 수도 있을 것이다. 그러나 그것들은 적어도 어느 정도의 신성한 불꽃이 있어야 지적인 독자에게서 이런 내적인 진짜 감정의 고동을 일으킬 수 있다.
9강 5~7번
In my senior year in college, one of the classes that I took was Professor Collin's. The teaching assistant arrived early and dragged dozens of desks into a huge circle around the room, giving each of us a front-row seat. I remember feeling conspicuous, usually preferring a spot in the middle of a lecture hall. Professor Collin lectured without notes, citing studies as easily as if listing what she had for breakfast. I watched and listened, fascinated, but never raised my hand, a fact that weighed increasingly heavily on my shoulders as the semester wore on. In the last few weeks of the semester, Professor Collin announced at the end of one class, "If you have trouble speaking in front of a group, come to my office and let me know." I was astonished. I had never encountered this from a professor before. She gave no further explanation. I wasn't sure whether I would be told not to worry about it or that I had better speak up soon. All I knew was that she meant me. So I went. I arrived at Professor Collin's door. She motioned for me to come in. After I told her in a tiny voice my reason for being there, she took off her glasses and looked at me. "Okay," she said, after a moment. "Thanks for letting me know." I'm sure she also asked me about how the class was going and stuff, but I don't remember. What I do remember is that through my anxious filter I thought she was disappointed in me or annoyed that I couldn't muster the courage to speak up. Now I know better. It wasn't until researching her paper, discovering Professor Collin's research roots and interviewing her directly that I learned why she invited me (and others ━ though at the time it felt like me alone) to disclose my difficulty. Simply put, she understood. When she took off her glasses and looked at me, I now realize, it wasn't a look of accusation. It was recognition. It was understanding.
대학교 4학년 때, 내가 들였던 수업 중 하나는 Collin 교수의 수업이었다. 조교는 일찍 도착해서 수십 개의 책상을 끌어서 교실 안에 큰 원모양으로 빙 둘렀고, 우리들 각자에게 앞자리를 주었다. 나는 눈에 잘 띈다고 느꼈던 것을 기억하는데, 내가 보통 강의실 중간쯤에 있는 자리를 선호하기 때문이다. Collin 교수는 (강의) 원고도 없이 강의했고, 자신이 아침 식사로 먹은 것을 나열하는 것처럼 쉽게 연구를 인용했다. 나는 매료된 채로 보고 들었지만 결코 손을 들지는 않았는데, 그 사실은 학기가 흘러갈수록 점점 더 무겁게 내 어깨를 짓눌렀다. 학기의 마지막 몇 주에, Collin 교수는 한 수업이 끝날 때 "무리 앞에서 말하는 데 어려움이 있으면, 내 사무실로 와서 알려 주세요."라고 공지했다. 나는 깜짝 놀랐다. 나는 과거에 교수로부터 이런 식의 말을 접해 본 적이 없었다. 그녀는 더 이상의 설명을 하지 않았다. 나는 내가 그것에 대해 걱정하지 말라는 말을 들을지 아니면 머지않아 내가 자신 있게 말해야 한다는 말을 들을지 확신할 수 없었다. 내가 아는 것이라고는 그녀가 나에게 뜻을 두고 한 말이라는 점이었다. 그래서 나는 갔다. 나는 Collin 교수의 문 앞에 도착했다. 그녀는 나에게 들어오라고 몸짓을 했다. 내가 그곳에 온 이유를 작은 목소리로 말하자, 그녀는 안경을 벗고 나를 쳐다보았다. "알겠어요."라고 잠시 후에 그녀가 말했다. "나에게 알려 줘서 고마워요." 나는 그녀가 수업은 어떤지와 같은 것들도 또한 나에게 물어봤을 거라고 확신하는데, 기억이 나지는 않는다. 내가 확실히 기억하는 것은, 내가 큰 소리로 말할 용기를 내지 못해서 그녀가 나에게 실망했거나 화가 났다고 나의 불안 필터를 통해 내가 생각했다는 것이다. 지금은 내가 그 정도로 어리석지는 않다. 내가 Collin 교수의 논문을 연구하고, 그녀의 연구의 뿌리를 발견하고, 그녀를 직접 인터뷰한 후에야 비로소 나는 그녀가 왜 나를 (그리고 당시에는 나뿐이라고 느껴졌지만, 다른 사람들도) 오라고 불러서 나의 어려움을 털어놓게 했는지를 알게 되었다. 간단히 말해서, 그녀는 이해했던 것이다. 그녀가 안경을 벗고 나를 보았을 때, 내가 이제야 깨닫기로는 그것은 비난의 눈길이 아니었다. 그것은 알아줌이었다. 그것은 이해였다.
9강 8번
By the 1970s, an entire generation had become immersed in immediate and ubiquitous forms of visual and audio communication. By the end of the decade, Alvin and Heidi Toffler had published Future Shock and The Third Wave, as well as other books and articles predicting our transition from an industrial-based society to an information-based one. The Tofflers speculated on the dangers that might occur when changes happened too fast, and the possible disruption they would bring. They were the first to use the phrase "information overload." The Tofflers saw knowledge as the essential commodity of a rapidly changing society that was fast decentralizing into niche networks, where information was becoming more valuable than labor or capital. They predicted that the speed of change would overwhelm and fragment us. In the past, a truth or an untruth could endure for centuries or millennia without challenge. Now, information could become outdated in a matter of moments.
1970년대쯤에는 전 세대가 즉각적이고 도처에 있는 형태의 시각 및 오디오 통신에 몰두하게 되었다. 70년대 말쯤에는, Alvin Toffler와 Heidi Toffler가 Future Shock과 The Third Wave에 더해, 산업 기반 사회에서 정보 기반 사회로의 전환을 예측하는 다른 책과 논문도 출판했다. Toffler 부부는 변화가 너무 빨리 일어났을 때 발생할 수 있는 위험과 그것들이 가져올 가능한 혼란에 대해 추측했다. 그들은 '정보 과부하'라는 어구를 처음으로 사용했다. Toffler 부부는 지식을 특정 분야의 네트워크로 빠르게 분산되는 신속히 변화하는 사회의 필수적인 상품으로 보았는데, 거기서는 정보가 노동이나 자본보다 가치가 더 커지고 있었다. 그들은 변화의 속도가 우리를 압도하고 해체할 것이라고 예측했다. 과거에, 진실이나 거짓은 설명의 요구를 받지 않고 수 세기 혹은 수천 년 동안 지속될 수 있었다. 이제, 정보는 순식간에 구식이 될 수 있다.
9강 9번
Within many communities in our complex media culture, hierarchies remain. But there is no single hierarchy; there are no principles acknowledged across all the various cultural communities. The communities that create and enjoy rock music or comics no longer regard their work as inferior to the much smaller communities that follow classical music or "serious" fiction. This becomes clear when we consider what has happened to the names that were used to designate the activities of elite art and culture, which began to float freely through our culture, sometimes reclaimed by traditional arts and sometimes appropriated by popular entertainment of all kinds. The traditional, honorific meaning of the term "elite" became embarrassing. Few today claim to be part of elite culture, not even those authors of serious fiction, classical musicians, composers, and painters who had seemed to constitute a class apart in the past. Instead, the term is used to designate the best in almost any field, particularly sports: elite tennis players, elite quarterbacks, elite bowlers. And the term "artist" can be used for almost any kind of creative performer or maker: from painters and sculptors to those who inscribe tattoos (body art).
우리의 복잡한 미디어 문화의 많은 공동체 안에 계급이 남아 있다. 그러나 단일한 계급은 존재하지 않는데, 모든 다양한 문화 공동체에 걸쳐서 인정되는 원칙이 없기 때문이다. 록 음악이나 만화를 창작하고 즐기는 공동체는 더 이상 클래식 음악이나 '엄숙한' 소설을 추구하는 훨씬 더 작은 공동체보다 자신들의 작품이 열등하다고 여기지 않는다. 이것은 엘리트 예술과 문화의 활동을 가리키기 위해 사용되었던 명칭들에 어떤 일이 일어났는지를 고려할 때 명백해지는데, 그것은 우리의 문화 이곳저곳을 자유롭게 떠다니기 시작하여, 때로는 전통 예술에 의해 재생되기도 하고, 때로는 모든 종류의 대중 오락에 의해 전용되기도 하였다. '엘리트'라는 용어의 전통적인 경칭적 의미는 당혹스러워졌다. 오늘날 엘리트 문화의 일부라고 주장하는 사람은 거의 없는데, 심지어 과거에 별도로 계급을 구성하는 것처럼 보였던 진지한 소설의 작가, 클래식 음악 연주자, 작곡가 및 화가들조차도 그러지 않는다. 대신, 그 용어는 거의 어떤 분야에서든, 특히 엘리트 테니스 선수, 엘리트 쿼터백, 엘리트 볼링 선수처럼 스포츠에서, 최고를 가리키는 데 사용된다. 그리고 '예술가'라는 용어는 화가와 조각가에서부터 문신을 새기는 (보디 아트) 사람들에 이르기까지 거의 모든 종류의 창조적인 행위자나 제작자에 대해 사용될 수 있다.
9강 10번
Commentators today lament the fact that we no longer share popular cultural references, as we did when there were only three television networks. In the 1960s, the argument goes, everyone could discuss around the water cooler what happened that week on Doctor Kildare. In the 1959-1960 season, for example, 40.3 percent of all televisions in use on Saturday night at 10:00 p.m. were turned to Gunsmoke on CBS. By comparison, in 2016―2017 the hit Big Bang Theory had a viewership of 11.5 percent. Cable television, the VCR, and the DVD player all had a role in fragmenting viewing audiences for film and television, turning what might once have been a single community into many. More recently Internet streaming has completed the transformation. With the exception of some of the leading pop singers and a few actors (George Clooney or Angelina Jolie), there is no performer, television show, or movie that "everyone" has seen or can even name.
오늘날의 방송 해설자들은 텔레비전 방송국이 3개밖에 없었던 시절에 그랬던 것 같이 우리가 대중적인 문화적 언급 대상을 더는 공유하지 않는다는 사실에 한탄한다. 그 주장에 따르면, 1960년대에는 모든 사람이 냉수기 주변에서 그 주에 Doctor Kildare에서 일어난 일에 대해 토론할 수 있었다고 한다. 예를 들어 1959년부터 1960년까지의 시즌에는, 토요일 밤 10시에 이용된 모든 텔레비전의 40.3퍼센트가 CBS의 Gunsmoke로 돌려졌다. 그에 비해, 2016년에서 2017년에 히트작인 Big Bang Theory는 11.5퍼센트의 시청률을 기록했다. 케이블 텔레비전, VCR, 그리고 DVD 플레이어는 모두 영화와 TV 시청자들을 분열시키는 역할을 하여, 한때 단일한 공동체였을 수도 있었던 것을 다수의 공동체로 바꾸었다. 보다 최근에는 인터넷 스트리밍이 그 전환을 완료했다. 몇몇 주요 팝 가수들과 몇몇 배우들(George Clooney나 Angelina Jolie를 제외하고, '모든 사람'이 본 적이 있거나 심지어 이름을 댈 수 있는 연예인, 텔레비전 쇼, 또는 영화는 없다.
9강 11번
Over a century of psychological research has shown that memory is constructive and reconstructive. In contrast to lay notions, scientists know from extensive research that memory does not work like a recording device. All memories, including special event memories, are mediated by similar cognitive processes. A special event may be better remembered by witnesses in that the gist of the information, as well as some core details of the event, might be recalled relatively well. However, special memories are malleable, subject to distortion, and affected by the damaging effects of forgetting, just like everyday memories are. Psychologists have been able to identify a number of socio-cognitive factors that can negatively affect memory and undermine its reliability. In the context of these factors, there are individual differences that make some witnesses more susceptible to false memories.
한 세기가 넘는 심리학 연구는 기억력이 구성적이고 재구성적이라는 것을 보여 주었다. 비전문적인 생각과는 대조적으로, 과학자들은 광범위한 연구를 통해 기억이 기록 장치처럼 작동하지 않는다는 것을 알고 있다. 특별한 사건 기억을 포함한 모든 기억은 유사한 인지적 과정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특별한 사건은 목격자들에게 더 잘 기억될 수도 있는데, 그 사건의 일부 핵심적인 세부 사항뿐만 아니라 그 정보의 요지가 비교적 잘 회상될 수도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일상의 기억과 마찬가지로 특별한 기억도 잘 변하고, 왜곡되기 쉽고, 망각의 해로운 효과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심리학자들은 기억력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기억의 신뢰성을 약화시킬 수 있는 여러 가지 사회 인지적 요인을 알아낼 수 있었다. 이러한 요인의 상황에서 보면, 일부 목격자들을 거짓 기억에 더 영향받기 쉽게 만드는 개인적인 차이가 있다.
9강 12~14번
It was a very hot Sunday morning. The church was so crowded that morning that Mary and Betsy could hardly see over the heads of the people in front of them. During the service, they became impatient and bored and started to wiggle. Betsy slid way down on her spine and rested that way for a while. Mary watched her, and then she tried sitting that way too. When Mother frowned and shook her head, the girls sat up straight. Betsy tap-tap-tapped on the back of the seat in front of her until the woman sitting there turned around and looked at her. Then Betsy stopped. Mary opened her small pocketbook to take out her handkerchief. Then she took all the rest of the things out of her purse and lined them up on the seat beside her. When Mother noticed and frowned again, Mary hurried to put everything back in her pocketbook, but she dropped two pennies and a pink comb. By the time she picked them up her face was red with embarrassment ━ several people had turned to look disapprovingly at her. Next Betsy slumped down in her seat again and put her feet up on the hymnbook rack. She blew noisily at the unruly hair that hung down over her nose. Oh, it was a hot and tiresome morning! The girls were glad and relieved when the service was finally over. They started to jump up, but Mother put a firm hand on each girl's arm. Everybody else was leaving the church, but Mother didn't move. "Wait a few minutes, girls," she said quietly. Mary and Betsy looked at each other in wonder. Most of the people had left, but some still stood in the back of the church talking to the minister. Then Mother did a most unusual thing. She slid down in the church chair until her head was below the back of the seat. The girls stared. Mother looked so funny! Then Mother wiggled about on her spine and stuck her feet way under the bench in front of her. Her pretty blue hat was pushed crooked. "Mother, don't!" Mary whispered. She looked around to see if anyone was noticing her mother's odd actions. Then, Mother opened her purse and started to take things out of it and line them up on the seat beside her. Now both the little girls' faces were red with shame. "Please fix your hat, Mother," Betsy begged. "All the people are looking at us." Mother looked straight at her two daughters. "People looked at us quite often during the service," she stated simply. "Was it any worse for them to look at you girls then than it is for them to look at me now?" The girls looked at each other in dawning understanding. "Did we look like that?" Mary asked. Mother nodded. "I see what you mean," Betsy stammered.
매우 더운 일요일 아침이었다. 그날 아침에 교회는 너무 붐벼서 Mary와 Betsy는 그들 앞에 있는 사람들의 머리 너머를 거의 볼 수 없었다. 예배 중에 그들은 인내심을 잃어 가고 지루해져서 꼼지락거리기 시작했다. Betsy는 등을 대고 쭉 미끄러져 내려갔고 얼마 동안 그대로 있었다. Mary는 그녀를 지켜보았고, 자신도 그렇게 앉아 보았다. 어머니가 얼굴을 찡그리며 고개를 가로젓자, 소녀들은 똑바로 앉았다. Betsy가 앞 좌석의 등받이를 톡톡톡 두드렸고, 마침내 거기 앉아 있던 여자가 몸을 돌려 그녀를 바라보았다. 그러자 Betsy는 멈췄다. Mary는 손수건을 꺼내려고 자신의 작은 손가방을 열었다. 그런 다음 그녀는 손가방에서 나머지 물건을 모두 꺼내 옆자리에 일렬로 늘어놓았다. 어머니가 알아차리고 다시 얼굴을 찡그리자 Mary는 서둘러 모든 것을 손가방에 다시 넣으려 했지만, 1페니 동전 두 개와 분홍색 빗을 떨어뜨렸다. 그녀가 그것들을 주워 들었을 때에는 당황해서 얼굴이 붉어져 있었는데 몇몇 사람들이 몸을 돌려 그녀를 못마땅하게 쳐다보았기 때문이었다. 다음으로 Betsy는 다시 자리에 푹 쓰러져 앉아서 찬송가집 받침대에 발을 올려놓았다. 그녀는 자기 코 위에 늘어져 있는 제멋대로인 머리카락을 향해 시끄럽게 입으로 바람을 불어댔다. 아, 덥고 지루한 아침이었다! 마침내 예배가 끝나자 소녀들은 기쁘고 안도했다. 그들은 벌떡 일어나려고 했으나, 어머니는 각 소녀의 팔에 단단히 손을 얹었다. 다른 사람들은 모두 교회를 떠나고 있었지만, 어머니는 움직이지 않았다. "잠시만 기다려, 얘들아." 그녀가 조용히 말했다. Mary와 Betsy는 의아해하며 서로를 바라보았다. 사람들 대부분이 떠났지만, 일부는 여전히 교회 뒤편에 서서 목사님에게 이야기를 하고 있었다. 그때 어머니는 아주 이례적인 일을 했다. 그녀는 머리가 교회 의자 등받이 아래로 내려갈 때까지 그 의자에서 몸을 미끄러 내렸다. 소녀들은 눈을 동그랗게 뜨고 바라보았다. 어머니가 너무 우스꽝스러워 보였다! 그런 다음 어머니는 등을 대고 이리저리 꼼지락거렸고 앞의 의자 한참 밑으로 발을 내밀었다. 그녀의 예쁜 파란색 모자가 밀려서 비뚤어져 있었다. "어머니, 하지 마세요!" Mary가 속삭였다. 그녀는 누군가 어머니의 이상한 행동을 주목하고 있지 않은지 보려고 주위를 둘러보았다. 그 후 어머니는 자신의 손가방을 열고 안에서 물건을 꺼내 자신의 옆자리에 일렬로 늘어놓기 시작했다. 이제 두 어린 소녀들의 얼굴은 부끄러움으로 붉어져 있었다. "어머니, 모자를 고쳐 써 주세요."라고 Betsy가 간청했다. "모든 사람이 우리를 보고 있어요." 어머니는 두 딸을 똑바로 바라보았다. 그녀는 "예배 시간에 사람들이 우리를 상당히 자주 쳐다봤단다."라고 간단히 말했다. "그들이 지금 나를 보는 것보다 그때 그들이 너희들을 본 것이 좀 더 나빴니?" 소녀들은 분명히 이해하기 시작하며 서로를 바라보았다. "저희가 그렇게 보였나요?" Mary가 물었다. 어머니는 고개를 끄덕였다. "무슨 말씀인지 알겠어요." Betsy가 더듬거리며 말했다.
10강 1번
When you work with perfectionistic athletes, one challenge is that the athletes, once determined to work on their perfectionism, are very likely to try to be "the perfect client" during the intervention. Thus, from the therapist/consultant's view it is important to be aware of subtle warning signs, such as if the intervention seems to run too smoothly and the athlete seems to be capable of carrying out exercises you agreed on a little bit too well. In these situations you yourself might very well feel like the "best therapist ever" because you are unknowingly being reinforced by the athlete's apparent success. It is, however, important that you do not allow yourself to be deceived by the athlete. At this point, not only have you failed to help the athlete, you may have actually begun to reinforce the perfectionistic behaviors you should actually be working on. Maintaining a dialog with the athlete about their progress and continually exploring their goals within the intervention is therefore crucial. In many cases, it can even be considered progress if the athlete "fails" to some extent in completing the homework assignment. This is because it provides an opportunity to discuss failure.
여러분이 완벽주의적인 운동선수들과 함께 일할 때, 하나의 난제는 운동선수들은 일단 그들의 완벽주의 해결을 위해 노력하고자 굳게 결심하고 나면, 개입[치료] 기간 동안 '완벽한 의뢰인'이 되려고 노력할 가능성이 매우 크다는 것이다. 따라서 치료사/상담사의 관점에서는, 미묘한 경고 징후, 가령 개입이 너무 순조롭게 진행되는 것 같지는 않은지, 그리고 운동선수가 여러분이 동의한 과제를 약간 너무 잘 수행할 능력이 있는 것 같지는 않은지를 인식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러한 상황에서는 여러분 스스로가 '역대 최고의 치료사'인 것처럼 느끼는 것도 전혀 무리가 아닌데, 그것은 여러분이 자신도 모르게 그 운동선수의 겉으로 보이는 성공으로 강화되고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여러분이 스스로 그 운동선수에게 속지 않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 시점에서 여러분은 그 운동 선수를 돕지 못했을 뿐만 아니라, 여러분이 실제로 해결을 위해 노력해야 할 (그 선수의) 완벽주의적인 행동을 실제로 강화하기 시작했을지도 모른다. 선수와 그의 진전 상황에 관한 대화를 유지하고 개입 과정 내에서 끊임없이 그의 목표를 탐색하는 것이 따라서 중요하다. 많은 경우에 선수가 과제를 완료하는 데 어느 정도 '실패한다'면 그것은 심지어 진전인 것으로 여겨질 수 있다. 이는 그것이 실패를 논할 기회를 제공하기 때문이다.
10강 2번
One of the ideas many scientists take as an ethical principle is that scientists should remain, like journalists, "objective" and not take sides on policy controversies. Indeed, historically, scientists such as the late astronomer Carl Sagan who appear to have become "too" public have risked losing the respect, of other scientists. Under normal circumstances, some scientists might reasonably choose to avoid (as scientists) championing specific policy solutions, even on something like climate, lest they be mistaken for self-appointed (or media-appointed) authorities over what society should do. But scientists are also citizens, who may also reasonably choose to speak out, as citizens, on policy issues. To avoid involvement altogether can itself be seen as irresponsible. Scientists have the same rights and duties as other citizens, including the right and the duty to give thought to public issues and, on appropriate occasions, to take positions on them. For a climate scientist not to support appropriate action on climate might be likened to a medical doctor's not supporting routine cancer screening or prenatal nutrition initiatives.
많은 과학자가 윤리적 원칙으로 받아들이는 생각 중 하나는, 과학자들은 기자들처럼 계속 '객관적'이어야 하면서 정책 논쟁에 있어 편을 들지 말아야 한다는 것이다. 실제로 역사를 살펴보면, 고인이 된 천문학자 Carl Sagan과 같이 '너무' 대중적으로 된 것처럼 보이는 과학자들은 다른 과학자들의 존중을 잃을 위험을 무릅써 왔다. 보통의 상황에서 일부 과학자들은 사회가 무엇을 해야 하는지에 대해 자기 혼자 정한 (혹은 언론에서 정한) 권위자로 오인되지 않도록 심지어 기후와 같은 것에서도 특정한 정책 해결책을 옹호하는 것을 (과학자로서) 피하고자 하는 것이 당연할 수도 있다. 하지만 과학자들도 시민이며, 그들은 또한 시민으로서 정책 문제에 대해 목소리를 내고자 하는 것이 당연할 수도 있다. 관여를 완전히 피하는 것 자체는 무책임한 것으로 보일 수 있다. 과학자들은 다른 시민들과 같은 권리와 의무를 지니고 있는데, 공공 문제에 대해 생각해 보고 그리고 적절한 경우에 그것에 대해 입장을 취할 수 있는 권리와 의무도 (여기에) 포함된다. 기후 과학자가 기후에 관한 적절한 조치를 지지하지 않는 것은 의사가 정기적인 암 검사 또는 태아기 영양 계획을 지지하지 않는 것에 비유될 수 있다.
10강 3번
In a study conducted by Griskevicius and his colleagues on behavioural cues, university students read a short story about a successful university graduate who obtained a high-status first job and was, relative to others, promoted quickly. Students in the control group read a neutral story of similar length. In subsequent experimental tasks, students could choose between different green and non-green hypothetical consumer products (car, household cleaner, dishwasher). Each time the products were equal in price, but the non-green product was more luxurious and had better performance than the green product, which was pro-environmental. The study showed that, in the treatment group, in which an activation of status motives occurred, 55 per cent chose the green car; in the control group, 37 per cent chose the green car. The corresponding figures for the household cleaner and dishwasher were 42 per cent versus 26 per cent, and 49 per cent versus 35 per cent, respectively.
Griskevicius와 그의 동료들이 행동 단서에 관해 수행한 연구에서, 대학생들은 높은 (사회적) 지위의 첫 직장을 얻어 다른 사람들에 비해 빠르게 승진한 한 성공한 대학 졸업자에 관한 짧은 이야기를 읽었다. 통제 집단의 학생들은 비슷한 길이의 평범한 이야기를 읽었다. 뒤이은 실험 과제에서 학생들은 다양한 가상의 친환경 및 비친환경 소비자 제품들(자동차, 가정용 세제, 식기 세척기) 사이에서 선택할 수 있었다. 매번 제품 가격은 같았지만, 비친환경 제품이 환경친화적인 친환경 제품보다 더 고급스럽고 성능도 더 우수했다. 이 연구는 지위 동기의 활성화가 발생한 처치 집단에서는 55퍼센트가 친환경 자동차를 선택하고 통제 집단에서는 37퍼센트가 친환경 자동차를 선택한다는 것을 보여 주었다. 가정용 세제와 식기 세척기의 해당 수치는 각각 42퍼센트 대 26퍼센트, 그리고 49퍼센트 대 35퍼센트였다.
10강 4번
Perhaps the variable found in research to distinguish entrepreneurs from others is self-efficacy ━ individuals' belief that they can successfully accomplish whatever they set out to accomplish. This is one reason why, despite the odds being highly stacked against them, many start new ventures: they believe that they can effectively complete the tasks needed to make these companies a success. Thus, self-efficacy is one characteristic that helps entrepreneurs get started and also persist in their efforts to succeed. Self-efficacy, however, has a downside. It may lead individuals to undertake tasks for which, in reality, they lack the required resources, leading to what can be disastrous results. In a sense, they have chosen to play in a game they cannot win, with negative results virtually guaranteed. These negative effects can be magnified by a high level of optimism ━ a general, and often unjustified belief that ultimately all will turn out well. In combination, high levels of optimism and high levels of self-efficacy can prove deadly for entrepreneurs with limited resources.
아마도 연구에서 발견된 사업가와 그 외 다른 사람들을 구분하는 변인은 자기 효능감, 즉 성취하려고 나선 것이 어떤 것이든 그것을 성공적으로 성취할 수 있다는 개인의 믿음일 것이다. 이것이 바로 자신이 성공할 가능성이 크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많은 사람이 새로운 벤처 사업을 시작하는 한 가지 이유인데, 그들은 자신들이 이 회사들을 성공한 것으로 만드는 데 필요한 과업을 효과적으로 완수할 수 있다고 믿는다. 따라서, 자기 효능감은 사업가가 시작하고 또한 성공하기 위한 노력을 지속할 수 있도록 돕는 하나의 특징이다. 그러나 자기 효능감에는 부정적인 면이 있다. 그것은 개인이 사실상 필요한 자원이 부족한 과업에 착수하도록 만들어, 비참한 결과가 될 수 있는 것을 초래할 수도 있다. 그들은 어떤 의미에서는 부정적인 결과가 거의 확실한 상황에서 자신들이 이길 수 없는 게임에 출전하기로 선택한 것이다. 이러한 부정적인 영향은 결국 모든 것이 잘될 것이라는 막연하고, 그리고 흔히 근거가 없는 믿음인 높은 수준의 낙관에 의해 확대될 수 있다. 서로 결합되면 높은 수준의 낙관과 높은 수준의 자기 효능감은 제한된 자원을 가진 사업가들에게 치명적인 것으로 판명될 수 있다.
10강 5~7번
During her last year of community college, Krista worked as a full-time nanny to take care of Delia's four kids. Krista was the first person in her family to go to college and felt pressure all around, especially as her long days became consumed by her job as well as writing assignments for her classes. These, along with some other things to take care of, were a real struggle for Krista. Delia, Krista's boss at the time, had her own struggles. Just before Krista began working for her family, Delia's career in law enforcement was cut short when she'd broken her hip at work. Krista marveled at her attitude. She had endured surgery to replace her hip and was left with metal in her leg ━ rods that would remain in her bones forever. But nothing stopped her. She remained positive, day in and day out. One day when Delia saw Krista struggling with school and writing and general life pressures, she explained how she coped. She told her that the only thing Krista could do was to take "one day at a time." Delia's attitude made little sense to Krista. She wanted to deal with everything all at once, but that just made her stress even worse. Delia's one-day-at-a-time motto seemed nice in theory but impossible in reality. As the days and weeks of the year melted by, Delia listened to Krista as Krista shared about life and how she was working through it. After a year with Delia's family, Krista transferred to Ridge University and her job ended. Krista and Delia stayed in touch, but Krista lived a few hours away on campus so they didn't see each other very often. One day, after a tense situation with one of the girls who lived in her dorm, Krista found herself overcome with major anxiety. She took a deep breath, looked at herself in the mirror, and said, "It's okay, Krista. Just get through today." Krista shocked herself, because it was the first time she truly believed that she could survive one day at a time. That is a gift Krista has carried with her over all the years since then. She's so thankful for Delia's Words.
지역 전문대학의 마지막 해 동안에 Krista는 Delia의 네 아이를 돌보는 전일제 아이 돌보미로서 일했다. Krista는 자기 가족 중에서 대학에 간 첫 번째 사람이었는데, 특히 그녀의 긴[힘든] 하루가 수업을 위한 쓰기 과제뿐만 아니라 그녀의 일로 소모되었으므로, 모든 면에서 압박을 느꼈다. 이것들은 처리할 몇 가지 다른 일들과 더불어 Krista에게 정말 힘든 일이었다. 당시에 Krista의 고용주였던 Delia도 그녀 자신의 힘든 일이 있었다. Krista가 그녀의 가족을 위해 일하기 바로 전에 직장에서 자신의 고관절[엉덩이뼈]이 부러진 후 법률 집행 분야에서 Delia의 경력은 갑자기 끝났다. Krista는 그녀의 태도에 경탄했다. 그녀는 자신의 고관절을 교체하는 수술을 견디어 냈는데, 그녀의 다리에는 금속이, 즉 영원히 자기 뼛속에 있을 막대가 남아 있게 되었다. 하지만 아무것도 그녀를 멈추게 하지 못했다. 그녀는 매일매일 긍정적인 상태를 유지했다. Krista가 수업과 글쓰기와 일반적인 생활의 압박으로 힘들어하는 것을 본 어느 날, Delia는 자신이 어떻게 대처하는지를 설명했다. 그녀는 그녀에게 Krista가 할 수 있는 유일한 것은 '한 번에 하루씩' 처리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Delia의 태도는 Krista에게 거의 이해가 되지 않았다. 그녀는 모든 것을 동시에 처리하고 싶었지만, 그것은 그녀의 스트레스를 훨씬 더 악화시켰을 뿐이었다. Delia의 한 번에 하루 좌우명은 이론상 근사하지만 실제로는 불가능해 보였다. 그 해의 여러 날과 여러 주가 지나감에 따라, Delia는 Krista가 삶과 삶을 다루는 방식에 관해 이야기할 때 Krista의 말에 귀를 기울였다. Delia의 가족과 함께한 일 년 후에, Krista는 Ridge University로 편입하였고 그녀의 일은 끝이 났다. Krista와 Delia는 계속 연락은 했지만, Krista는 몇 시간 거리로 떨어져 대학 내에서 살았고 그래서 그들은 서로 그다지 자주 만나지 못했다. 어느 날 그녀의 기숙사에 사는 친구들 중 한 명과 긴장 상황이 있고 나서, Krista는 자신이 큰 걱정으로 압도된 것을 알게 되었다. 그녀는 심호흡을 하고 거울 속 자신을 바라보고는 "괜찮아, Krista. 오늘을 헤쳐 나가기만 하자."라고 말했다. Krista는 깜짝 놀랐는데, 처음으로 그녀가 자신이 '한 번에 하루씩' 넘길 수 있다고 진정으로 믿었기 때문이었다. 그것은 그때 이후로 여러 해에 걸쳐 Krista가 그녀의 몸에 지니고 다녔던 선물이다. 그녀는 Delia의 말에 매우 고마워한다.
10강 8번
Do bacteria speak? Do they use sound to communicate with one another just as they use chemicals to send information from one cell to another? Given that communication among cells is one of the fundamental activities of bacteria, sound would at first seem a likely means of communication. Bacteria are social beings. They live in films and clusters that are so tightly woven that they are often invulnerable to chemical and physical attacks that easily kill solitary cells. Bacterial success depends on networked teamwork and, at the genetic and biochemical levels, bacteria are constantly exchanging molecules. But to date, there are no documented examples of sonic signaling among bacteria, although their increased growth rates when exposed to the sounds of their own kind may be a form of eavesdropping. Sonic communication may be ill-suited to bacterial societies. They live at a scale so tiny that molecules can zip from one cell to another in a fraction of a second. Bacteria use tens of thousands of molecules within their cells, an extensive, complex, and ready-made language. For them, chemical communication may be cheaper, faster, and more nuanced than sound waves.
박테리아가 말을 하는가? 한 세포에서 다른 세포로 정보를 보내기 위해 화학 물질을 사용하는 것처럼 서로 교신하기 위해 그것들은 소리를 사용할까? 세포 간의 교신이 박테리아의 필수적인 활동 중 하나라는 것을 고려할 때, 소리가 처음에는 교신의 그럴싸한 수단인 것처럼 보일 것이다. 박테리아는 무리를 이루어 사는 존재이다. 그것들은 매우 촘촘하게 짜여서, 고립된 세포를 쉽게 죽이는 화학적, 물리적 공격을 많은 경우 안전하게 막아 주는 얇은 막과 무리 속에서 산다. 박테리아의 성공은 네트워크로 연결된 협력에 달려 있으며, 유전적, 생화학적 수준에서 박테리아는 끊임없이 분자를 교환하고 있다. 그러나 지금까지는, 비록 박테리아가 자기 자신의 종의 소리를 접할 때 증가되는 생장률이 엿듣기의 한 형태일 수도 있지만, 박테리아들 사이의 음파 신호 전달에 대한 기록된 예가 없다. 음파 교신은 박테리아 사회에 적합하지 않을 수도 있다. 그것들은 아주 작은 규모로 살아서 분자들이 한 세포에서 다른 세포로 순식간에 빠르게 이동할 수 있다. 박테리아는 그것들의 세포 내에서 수만 개의 분자를 사용하는데, 이는 광범위하고 복잡하며 이미 만들어진 언어이다. 그것들에게, 화학적 교신이 음파보다 더 저렴하고, 더 빠르고, 더 미묘한 차이가 있을 수 있다.
10강 9번
Different listeners will have different interpretations. On hearing Brahms's Fourth Symphony, Elisabeth von Herzogenberg (among his closest friends, whose opinion he valued) wrote to say: "It is a walk through exquisite scenery at sunset, when the colours deepen and the crimson glows to purple." Her response is even more interesting juxtaposed with that of Richard Strauss, who "received an unforgettable impression of the new Brahms Symphony, the Andante of which 'reminded him of a funeral procession moving in silence across moonlit heights.'" It doesn't matter that the same movement evoked "moonlight" for Strauss and "sunset" for Herzogenberg. Moonlight and sunset may not be the same, but they have aspects in common, both invoking heavenly bodies, both striving for expression beyond words, and it is the similarities that tell us more about the music than the differences. The music could never, for instance, characterize a chase or a battle or a cartoon. If someone were to offer such an interpretation he would be subject to suspicion himself.
듣는 사람이 다르면 해석도 달라질 것이다. 브람스의 교향곡 4번을 듣자마자, (브람스가 의견을 존중하는 그의 가장 가까운 친구 가운데 한 사람인) Elisabeth von Herzogenberg는 다음과 같이 썼다. "그것은 해질녘에 더없이 아름다운 경치 속으로 들어가는 산책인데, 그 시간에는 색이 짙어지고 진홍빛이 타올라 자줏빛이 된다." 그녀의 반응은 Richard Strauss의 반응과 나란히 놓일 때 훨씬 더 흥미로운데, 그는 "그 새로운 브람스 교향곡에 대한 잊을 수 없는 인상을 받았는데, 그것의 안단테 악장은 '그에게 달빛이 비치는 고원을 가로질러 고요히 이동하는 장례 행렬을 생각나게 했다.'" 같은 악장이 Strauss에게는 '달빛'을, Herzogenberg에게는 '일몰'을 불러일으켰다는 것은 중요하지 않다. 달빛과 일몰이 똑같지 않을지는 모르나, 둘 다 천체를 상기시키고 둘 다 말로 나타낼 수 없는 표현을 추구하면서 공통적인 면을 가지고 있는데, 우리에게 그 차이점보다 음악에 대해 더 많은 것을 말해 주는 것은 바로 그 유사점이다. 예를 들어, 그 음악은 결코 추격이나, 전투나, 만화의 특징을 나타낼 수는 없을 것이다. 만약 누군가 그런 해석을 내놓는다면 그 자신이 의심을 면하기 힘들 것이다.
10강 10번
In general, two approaches to learning have been distinguished ━ a surface approach and a deep approach to learning. A student with a surface approach to learning sees the work or task as an unwelcome external imposition, a hurdle they want to clear with as little time and effort as possible. One of the most common strategies for the surface approach is rote learning content without understanding, in order to subsequently reproduce the material. Students with a deep approach to learning, on the other hand, have the intention of comprehending the material, and activating conceptual analysis. Learning strategies that characterize a deep approach to learning can vary in terms of the characteristics and requirements of the task. Possible strategies are reflecting, discussing, using various information sources, relating ideas to previous knowledge, looking for patterns, checking evidence, and critically examining arguments.
일반적으로 학습에 대한 두 가지 접근법, 즉 학습에 대한 표면 접근법과 심층 접근법이 구분되어 왔다. 학습에 표면 접근법을 취하는 학생은 공부나 과제를 달갑지 않은 외적인 부담, 즉 가능한 한 적은 시간과 노력으로 치워 버리고 싶은 장애물로 본다. 표면 접근법에 대한 가장 일반적인 전략 중 하나는 이후에 자료를 상기하기 위해, 이해하지 않고 내용을 무턱대고 암기하는 것이다. 반면 학습에 대한 심층 접근법을 취하는 학생은 자료를 이해하고 개념 분석을 활성화하려는 의도를 가지고 있다. 학습에 대한 심층 접근법의 특징이 되는 학습 전략은 과제의 특성과 요구 사항의 측면에서 차이가 있을 수 있다. 가능한 전략으로는 곰곰이 생각해 보기, 토론하기, 다양한 정보 출처 사용하기, 아이디어를 이전 지식과 연관시키기, 패턴 찾아보기, 증거 확인하기, 주장을 비판적으로 검토하기가 있다.
10강 11번
So many of our feelings can be made so much easier to manage, and perhaps more fun to experience, just by saying them aloud and letting them build a bridge between us and another person. Exposing our fears makes them much less frightening; affirming our triumphs makes them much more real; revealing our grief relieves us of carrying the burden completely alone. A compassionate and empathetic friend, much like a therapist, can give us and our emotions a foundation to cling to. It's the reason that merely having someone listen can be such a powerful experience, even if that person was secretly paying more attention to the cheerleaders at the halftime show. All jokes about therapists' fees aside, it is no shame that part of their ability to help lies in just being there, in the moment and attuned ━ those nods can be meaningful. A quality friend understands this and runs with it, knowing just how to validate their buddy's emotional state ━ whether that state stems from a hard-won personal triumph or just a particularly arduous commute home.
우리의 감정 가운데 아주 많은 것이 그저 그것을 (남이 들을 수 있게) 소리 내어 말해 우리와 다른 사람 사이에 다리를 놓게 함으로써, 관리하기 훨씬 더 쉽고, 아마도 겪기가 더 재미있어질 수도 있을 것이다. 우리의 두려움을 드러내는 것은 그것을 훨씬 덜 두렵게 만들고, 우리의 승리를 긍정하는 것은 그것을 훨씬 더 현실적으로 만들고, 우리의 슬픔을 드러내는 것은 그 짐을 완전히 혼자 짊어지고 가는 것에서 우리를 해방한다. 인정이 많고 이해심이 있는 친구는 치료 전문가와 마찬가지로, 매달릴 수 있는 토대를 우리와 우리의 감정에 줄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단지 어떤 사람에게 이야기를 들려주는 것만으로도 매우 강력한 경험이 될 수 있는데, 그가 하프타임 쇼에서 몰래 치어리더들에게 더 많은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 하더라도 그렇다. 치료 전문가의 치료비에 관한 모든 농담은 차치하고라도, 도움을 줄 수 있는 그들의 능력 일부가 그 순간에 이해를 해 주며 그저 그 자리에 존재한다는 데 있다는 것은 유감스러운 일이 아니며, 그런 고개 끄덕임이 유의미할 수 있다. 좋은 친구는 이것을 이해하고 받아들이며, 자기 벗의 감정 상태가 어렵게 얻은 개인적 승리에서 비롯되는 것이든, 그저 특히 힘든 귀갓길에서 비롯되는 것이든, 그것을 그저 인정하는 법을 안다.
10강 12~14번
To understand connection regrets, let me tell you the story of two women. In the late 1980s, Cheryl attended Drake University in Des Moines, where she became fast friends with Jen. Cheryl and Jen belonged to the same sorority and lived in a house with about forty other women. Among the group, these two stood out for their seriousness and ambition. Cheryl became president of the sorority; Jen was elected president of the entire student body. They supported each other's enthusiasms and aspirations. Shortly after graduation in 1990, Jen married ━ Cheryl was a bridesmaid ━ and moved to Virginia. And shortly after that, Jen invited Cheryl to visit her at her new home. Jen said that she wanted Cheryl to meet a friend of Jen's husband, who she thought might be a good romantic match. Cheryl was taken aback. She'd been dating another Drake student for two years. "I thought he was the one." Jen knew the guy, but Cheryl said, she "clearly did not think he was the one." Cheryl politely declined the invitation to visit. Over the next few years, Cheryl and Jen, living in different parts of the country at a time before widespread email, exchanged letters and cards. Cheryl eventually ditched the boyfriend, whom she refers to today only as "Mr. Wrong," and says, "Now that I've matured into the person I am, I can see what Jen s1w." Within a couple of years, the letters dwindled. Then they stopped. Cheryl hasn't talked to Jen for twenty-five years. "We didn't have a falling-out of any kind. I just let it kind of drift away," she told me. "I regret not having that relationship in my life. I've missed having another person in my life who could share with me the kind of growth I've experienced over the years." The absence disquiets Cheryl. I asked Cheryl, "If you're going to die in a month, are there things you would want tied up?" Cheryl said, "I would like her to know that the friendship feels significant to me even twenty-five years later." During a conversation one spring afternoon, I asked Cheryl if she'd consider trying to revive the friendship ― or at least to call, email, or write Jen. "I think the door's open," she replied. "If I were not a coward, I would reach out."
관계에 대한 후회를 이해하기 위해, 두 여성의 이야기를 해 보겠다. 1980년대 후반에 Cheryl은 Des Moines에 있는 Drake University에 다녔고 그곳에서 그녀는 Jen과 절친한 친구 사이가 되었다. Cheryl과 Jen은 같은 여학생 사교 클럽에 속해 있었고 약 40명의 다른 여자들과 한 건물에 살았다. 그 집단에서 이 두 사람은 진지함과 야망이 두드러졌다. Cheryl은 여학생 클럽의 회장이 되었고 Jen은 전체 학생회 회장으로 선출되었다. 그들은 서로의 열정과 열망을 응원했다. 1990년에 졸업한 후 얼마 안 되어 Jen은 결혼했고 ㅡ Cheryl이 신부 들러리였다 ㅡ Virginia로 이사했다. 그리고 그 후 얼마 지나지 않아 Jen은 Cheryl을 자신의 새집에 방문하도록 초대했다. Jen은 Cheryl이 자기 남편의 친구를 만나길 원한다고 말했는데 그녀는 남편의 친구가 훌륭한 연애 상대가 될 수도 있을 것이라고 생각했다. Cheryl은 깜짝 놀랐다. 그녀는 2년 동안 다른 Drake 학생과 데이트를 해 왔었다. "저는 그가 운명적인 제 짝이라고 생각했어요." Jen은 그 남자를 알고 있었지만, Cheryl의 말로는, 그녀는 "분명 그가 운명적인 제 짝이라고 생각하지 않았어요." Cheryl은 방문 초대를 정중하게 거절했다. 그 후 몇 년 동안 Cheryl과 Jen은, 이메일이 널리 퍼지기 전의 시기에 나라의 다른 지역에 살았으므로 편지와 카드를 주고받았다. Cheryl은 자신이 오늘날 단지 "Mr. Wrong"이라고 언급하는 그 남자 친구를 결국 차 버렸고, "이제 제가 성숙하여 현재의 제가 되고 보니, Jen이 본 것이 저에게도 보입니다."라고 말한다. 몇 년 안에 편지가 줄어들었다. 그러더니 편지는 중단되었다. Cheryl은 25년 동안 Jen과 이야기하지 않았다. "우리는 어떤 형태로도 사이가 틀어진 것은 없었습니다. 저는 그냥 상황이 약간 흘러가도록 내버려 두었습니다."라고 그녀는 내게 말했다. "저는 제 인생에서 그런 관계를 갖지 못한 것을 후회합니다. 오랜 세월 동안 겪어 온 그런 종류의 성장을 저와 나눌 수 있는 다른 사람을 제 인생에서 가지지 못했습니다." 그 부재가 Cheryl을 불안하게 한다. 나는 Cheryl에게 물었다. "만약 당신이 한 달 후에 죽는다면, 연결되도록 하고 싶은 것이 있습니까?" Cheryl은 "25년이 지난 후에도 우정이 나에게 중요하게 느껴진다는 것을 그녀가 알았으면 좋겠어요."라고 말했다. 어느 봄날 오후 대화하는 동안 나는 Cheryl에게 그 우정을 되살리려고 애써 보는 것, 즉 적어도 Jen에게 전화를 걸거나, 이메일을 보내거나, 편지를 쓰려고 애써 보는 것을 고려할 것인지를 물었다. "문은 열려 있다고 생각해요."라고 그녀가 대답했다. "제가 겁쟁이가 아니라면 연락을 취하려 할 텐데요."
11강 1번
The ocean is important as a surface, as a channel for travel. As anyone who has jumped into the ocean knows, seawater is buoyant ━ it supports your weight much better than the air around you. This greatly reduces the amount of fuel required to move goods from place to place. Moving a 20-foot container from Shanghai to Frankfurt by ship costs a mere third as much as shifting it by plane. It is no surprise, therefore, that four-fifths of international trade in goods depends on sea freight. The emergence of enormous container ships has meant that fewer and fewer people now work in shipping, but it remains very big business ━ the biggest ocean industry of all in terms of total income. Every day, huge quantities of goods pass through major bottlenecks like the Panama and Suez Canals. The world was given a stark reminder of the importance of these bottlenecks in March 2021, when one of the world's largest container ships, the Ever Given, blocked the Suez Canal for six days, prompting widespread concern about the consequences for world trade.
대양은 수면으로서, 이동의 경로로서 중요하다. 대양에 뛰어들어 본 사람은 누구나 알듯이, 바닷물은 부력이 있어서 여러분의 체중을 주변의 공기보다 훨씬 더 잘 떠받친다. 이것은 이리저리 상품을 이동시키기 위해 필요한 연료의 양을 크게 줄여 준다. 20피트의 컨테이너를 상하이에서 프랑크푸르트로 배로 이동시키는 것은 비용이 그것을 비행기로 옮기는 것의 겨우 1/3밖에 들지 않는다. 그러므로 국제 상품 무역의 4/5가 해상 화물 운송에 의존하는 것은 놀라운 일이 아니다. 거대한 컨테이너선들이 출현하는 것은 이제는 점점 더 적은 사람들이 해상 운송에서 작업하는 것을 의미하게 됐지만, 그것은 여전히 매우 큰 사업으로 총수입의 측면에서 모든 것 중에서 가장 큰 해양 산업이다. 매일 엄청난 양의 상품이 파나마 운하와 수에즈 운하 같은 주요 병목 지역을 통과한다. 세계는 2021년 3월에 이 병목 지역들의 중요성을 냉혹하게 상기하게 되었는데, 그때 세계의 가장 큰 컨테이너선들 중 하나인 Ever Given호가 6일 동안 수에즈 운하를 막아서, 세계 무역에 미치는 결과에 관하여 광범위한 우려를 유발했다.
11강 2번
When the new coronavirus arrived in the United States in January 2020, it hit an economy, society, and constitutional democracy fundamentally unprepared. As the scale of the challenge became clear, the country simply could not deliver what was needed to confront it. There was a solution, one identified by scholars and policy experts as early as the middle of March and publicly disseminated by the middle of April. That solution was a large-scale program of rapid testing of patients, tracing and testing their contacts, and tracing and testing their contacts again in turn. Such testing also needed reinforcement from a culture of sticking to universal precautions such as mask-wearing, hand and bathroom hygiene, and robust practices of infection control. The massive, rapid buildup of such a public health campaign, as well as the necessary systems and services to support it, would have interrupted transmission of the virus sufficiently to eliminate it even while keeping the economy open. But the country did not have the relevant infrastructure ready to go and was not able to deliver this mobilization.
새로운 코로나바이러스가 2020년 1월 미국에 도착했을 때, 그것은 기본적으로 준비되지 않은 경제, 사회, 그리고 입헌 민주 국가를 타격했다. 그 문제의 규모가 명백해졌을 때, 국가는 그것에 맞서기 위해 필요한 것(정책이나 조치 등)을 전혀 내놓을 수가 없었다. 한 해결책이 있었는데, 벌써 3월 중순에 학자들과 정책 전문가들이 확인하고 4월 중순까지는 공공연하게 전파된 것이었다. 그 해결책은 환자를 신속히 검사하고, 그들의 접촉자를 추적하고 검사하며, 다시 차례차례 그들의 접촉자를 추적하고 검사하는 대규모 계획이었다. 그런 검사는 또한 마스크 착용, 손 위생과 화장실 위생, 그리고 강력한 감염 관리 실행과 같은 보편적 예방책을 충실히 지키는 문화에서 오는 보강이 필요했다. 그런 공중위생 캠페인을, 그것을 지원하는 필수적 시스템 및 서비스와 함께, 대규모로 신속하게 강화했다면, 경제를 개방된 상태로 유지하면서도 바이러스를 제거할 만큼 충분히 바이러스의 전염을 차단했을 것이다. 그러나 국가는 관련된 사회 기반 시설을 작동하도록 준비하지 못했고 이 동원을 해낼 수 없었다.
11강 3번
The only way to produce crystal-clear writing is to know how a reader will respond to the choices you make in composing text! and graphics. You need to know which sentence structures are most easily understood, which organization of material into sections is most easily followed, and so on. It's certainly possible to offer some general rules along these lines: for example, "use the active voice," "divide the paper into Introduction, Methods, Results, and Discussion sections," and "use a figure instead of a table when quantities are to be compared." In principle, you could tape a long list of such rules above your computer and treat it as the voice of authority on how to reach readers. But long lists of rules are boring. Besides, using them makes writing mechanical, and good writing sometimes entails knowing when to bend the rules instead of following them. Furthermore, using a list of rules is oddly indirect: instead of relying on rules you've been told will produce clear text, surely it would be more effective to understand how readers think, and write to that understanding.
아주 명료한 글쓰기를 하는 유일한 방법은 글과 그래픽을 작성할 때 여러분이 하는 선택에 독자가 어떻게 반응할지를 아는 것이다. 여러분은 어떤 문장 구조가 가장 쉽게 이해되는지, 자료를 섹션으로 어떻게 조직해야 (독자가) 가장 쉽게 따라올 수 있는지 등을 알아야 한다. 다음과 같은 몇몇 일반적인 규칙을 제공하는 것이 확실히 가능한데, 예를 들면 '능동태를 사용하기', '논문을 '서론', '연구 방법', '연구 결과' 및 '토의' 섹션으로 나누기', 그리고 '양이 비교되어야 할 때는 표 대신에 도표를 사용하기'이다. 원칙적으로 여러분은 그런 규칙의 긴 목록을 여러분의 컴퓨터 위에 테이프로 붙여 놓고 그것을 독자들에게 닿는 방법에 관한 권위 있는 목소리로 취급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러나 긴 규칙 목록은 지루하다. 게다가 그것을 사용하는 것은 글쓰기를 기계적으로 만드는데, 좋은 글쓰기는 때로 언제 그 규칙을 따르는 대신에 그것들을 유연하게 적용할지를 아는 것을 수반한다. 더욱이, 규칙 목록을 사용하는 것은 이상하게도 간접적인데, 여러분이 명료한 텍스트를 만들어 낼 것이라고 들었던 규칙에 의존하는 것 대신에, 독자가 사고하는 방식을 이해하고 그 이해에 부합하게 글을 쓰는 것이 분명히 더 효과적일 것이다.
11강 4번
Masting is the synchronized production of large crops of acorns across a broad geographic range of a species, alternating with one or more years of little or no acorn production. This is an adaption to increase acorn survival and dispersibility. Populations of some specialist seed consumers crash following non-mast years so that more acorns survive following the mast years. This works pretty well, but when crops of acorns fluctuate dramatically across years, it can send shock waves through the animal community. Acorn mast is an important resource in the community for a wide variety of animals far beyond those that serve as agents of acorn dispersal. Deer, bear, woodpeckers, turkeys, mice, and many other animals direct their attention to the acorn mast during mast years. People are also sometimes affected by masting. When mouse populations increase in mast years, so do the populations of ticks and the incidence of Lyme disease.
대량 결실이란 종의 광범위한 지리적 범위에 걸쳐서 대규모 수확량의 도토리가 동시에 생산되는 것인데, 일 년 이상 동안 도토리 생산이 거의 또는 전혀 없는 해와 번갈아 발생한다. 이것은 도토리의 생존과 분산 가능성을 증가시킬 수 있는 적응이다. 대량 결실이 없는 해 다음에는 일부 전문적으로 씨앗을 먹는 동물들의 개체 수가 급감하여 대량 결실이 있는 해 다음에 더 많은 도토리가 살아남는다. 이것은 매우 잘 작용하지만 여러 해에 걸쳐 도토리 수확량이 극적으로 변동할 때, 동물 군집 전체에 걸쳐 충격파를 보낼 수 있다. 도토리 열매는 도토리 분산의 행위자 역할을 하는 동물들을 훨씬 넘어서 매우 다양한 동물들에게 군집 내의 중요한 자원이다. 사슴, 곰, 딱따구리, 칠면조, 생쥐, 그리고 다른 많은 동물은 대량 결실이 있는 해 동안에는 도토리 열매로 관심을 돌린다. 사람들 또한 때때로 대량 결실로 영향을 받는다. 대량 결실이 있는 해에 생쥐 개체 수가 증가할 때, 진드기 개체 수와 라임병 발생률도 그렇게 된다.
11강 5~7번
Early one morning the doorbell rang. "How can I help you?" Vera asked the child who was standing there. "My mother is ill. She needs some medicine," he said. "Who's your mom?" Vera asked. "Charity," he answered. Charity was the woman who cleaned their house each week. Vera's mom came to talk to Washington, Charity's son, "I will take you home and we can take some medicine to her." "But Mom," Vera objected, "you promised to take me to the mall today!" "I know," her mom replied. "But Charity seems to be seriously ill. We can go shopping later on." Vera frowned. Newtown was far from where they lived. There won't be time to go to the mall after this, she realized. "Come with me!" her mom invited. After a while they turned off onto a dirt road. Children in old clothes and no shoes were playing in the dust. Washington asked Vera's mom to stop outside a run-down house. The house was neat and clean. Faded red linoleum covered the floor and pictures cut from magazines were pasted against the walls. A small stove stood in the front room, and in front of it was a table and three old chairs. Charity was in the bedroom. She coughed when she greeted them. Vera's mom gave her some medicine and put a carrier bag filled with groceries onto the table. Vera went outside and looked over the top of the run-down houses in the squatter camp to the blue mountains in the distance. "Lord, forgive me for being so ungrateful," she said. Back home she took out a suitcase and packed it full of clothes and other things that she didn't need any more. She put her favorite blue T-shirt on top of everything. That's for Washington, she thought. She felt a lot of respect for the young boy who had walked for more than two hours without complaining to get some medicine for his mother.
어느 이른 아침 초인종이 울렸다. "무슨 일이니?" 거기 서 있는 아이에게 Vera가 물었다. "엄마가 아파. 약이 필요해." 그가 말했다. "너네 엄마가 누구야?" Vera가 물었다. "Charity야." 그가 대답했다. Charity는 매주 그들의 집을 청소하는 여자였다. Vera의 엄마가 Charity의 아들 Washington에게 다가와서 말했다. "내가 너를 집에 데려다주고, 우리가 그녀에게 약을 좀 가져다줄 수 있어." "하지만 엄마, 오늘 쇼핑몰에 데려가겠다고 제게 약속하셨잖아요!"라고 Vera가 반대했다. "알아." 그녀의 엄마가 대답했다. "하지만 Charity가 심하게 아픈 것 같아. 우리는 나중에 쇼핑하러 갈 수 있어." Vera는 뚱한 표정을 지었다. Newtown은 그들이 사는 곳에서 멀리 떨어져 있었다. '이 일이 끝나면 쇼핑몰에 갈 시간이 없을 거야.' 그녀는 깨달았다. "함께 가자!"라고 그녀의 엄마가 권했다. 잠시 후 그들은 비포장 도로로 들어갔다. 낡은 옷을 입고 신발을 신지 않은 아이들이 먼지 속에서 놀고 있었다. Washington은 Vera의 엄마에게 한 낡고 허름한 집 밖에서 세워 달라고 부탁했다. 그 집은 깔끔하고 깨끗했다. 색이 바랜 붉은 리놀륨이 바닥을 덮고 잡지에서 오려낸 그림들이 벽에 붙여져 있었다. 앞방에는 작은 스토브가 서 있었고, 그 앞에는 테이블과 낡은 의자 세 개가 놓여 있었다. Charity는 침실에 있었다. 그들에게 인사할 때 그녀는 기침을 했다. Vera의 엄마는 그녀에게 약을 좀 주고 식료품으로 가득 찬 캐리어 가방을 테이블 위에 놓았다. Vera는 밖으로 나가서 빈민가에 있는 황폐한 집들의 꼭대기 너머 멀리 있는 푸른 산들을 바라보았다. "하느님, 제가 너무 감사할 줄 모르는 것을 용서해 주세요."라고 그녀는 말했다. 집으로 돌아온 그녀는 여행 가방을 꺼내 더 이상 필요 없는 옷과 다른 물건들로 가득 채웠다. 그녀는 자신이 가장 좋아하는 파란색 티셔츠를 모든 것 위에 올렸다. '그건 Washington을 위한 거야'라고 그녀는 생각했다. 그녀는 어머니에게 드릴 약을 얻기 위해 불평하지 않고 두 시간 이상 걸어온 그 어린 소년에게 많은 존경심을 느꼈다.
11강 8번
Recent advances in electronic media and computer networks have allowed the creation of large and distributed repositories of information. However, the immediate availability of extensive resources for use by broad classes of computer users gives rise to new challenges in everyday life. These challenges arise from the fact that users cannot exploit available resources effectively when the amount of information requires prohibitively long user time spent on acquaintance with and comprehension of the information content. Thus, the risk of information overload of users imposes new requirements on the software systems that handle the information. One of these requirements is the incorporation into the software systems of mechanisms that help their users when they face difficulties during human-computer interaction sessions or lack the knowledge to make decisions by themselves. Such mechanisms attempt to identify user information needs and to personalize human-computer interactions. (Personalized) Recommender Systems (RS) provide an example of software systems that attempt to address some of the problems caused by information overload.
최근 전자 미디어와 컴퓨터 네트워크의 발전으로 대규모의 분산된 정보 저장소를 만들 수 있게 되었다. 그러나 넓은 부류의 컴퓨터 이용자가 사용할 수 있는 광범위한 자원의 즉각적인 가용성은 일상생활에서 새로운 난제를 야기한다. 이러한 난제가 발생하는 것은, 정보의 양 때문에 그 정보 내용을 알고 이해하는 데 엄청나게 긴 이용자 시간이 요구될 때 이용자가 가용 자원을 효과적으로 활용하지 못한다는 사실 때문이다. 따라서 이용자의 정보 과부하에 대한 위험은 정보를 처리하는 소프트웨어 시스템에 새로운 요구 사항을 부과한다. 이러한 요구 사항 중 하나는, 이용자가 인간과 컴퓨터가 상호 작용을 하는 시간에 어려움에 직면하거나 스스로 의사 결정을 내릴 수 있는 지식이 없을 때 그들에게 도움이 되는 메커니즘을 소프트웨어 시스템에 통합하는 것이다. 이러한 메커니즘은 이용자의 정보 요구를 식별하고 인간과 컴퓨터의 상호 작용을 개인에게 맞추려고 시도한다. (개인화된) 추천 시스템(RS)은 정보 과부하로 인해 야기되는 문제들의 일부를 해결하려고 시도하는 소프트웨어 시스템의 예를 제공한다.
11강 9번
Trade deregulation has brought down barriers to the movement of capital and jobs, but it has not freed up movement of people in pursuit of a better livelihood. The result is that work is allowed to circulate around the globe with impunity, but workers themselves are not ━ in fact, many are criminalized if they cross borders. The higher up the skills curve, the less strictly this rule applies, if only because it has not proven so easy to separate skills from employees. Nonetheless, corporate strategies loosely known as "knowledge transfer" have been devised to migrate brainpower from the heads of well-paid employees to a cheaper labor pool offshore. Increasingly sophisticated work-flow technologies can now slice up the contents of a job into work tasks, assign them to different parts of the globe, and reassemble the results into a meaningful whole. Most recently, trade liberalization, in India and China in particular, has enabled large amounts of skilled, professional work to be performed in discount offshore locations. As more and more countries strive to enter the upper reaches of industry and services, the competition to attract high-tech investment has intensified, and so these skill-intensive sectors are now seen as key to the game of catch-up.
무역 규제 완화는 자본과 일자리의 이동에 대한 장벽을 무너뜨렸지만, 그것은 더 나은 생계 수단을 추구하는 사람들의 이동을 자유롭게 해 주지 못했다. 그 결과 일은 전 세계로 퍼지는 것이 처벌되지 않고 허용되지만 노동자 자체는 그렇지 않아서, 사실 많은 사람이 국경을 넘으면 법으로 처벌된다. 단지 기술을 직원과 분리하기가 그리 쉽지 않다는 것이 입증되었다는 이유 때문이라 해도, 기술 향상 곡선에서 위치가 더 높아질수록 이 규칙은 덜 엄격하게 적용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고임금 직원의 머리로부터 해외의 더 저렴한 노동력으로 지력을 이전하기 위해 '지식 이전'이라고 막연히 알려진 기업 전략이 고안되었다. 점점 더 정교한 작업 흐름 기술이 이제 일의 내용을 업무 과제로 분할하고, 그것들을 세계의 여러 지역으로 할당하고, 그 결과를 의미 있는 전체로 다시 모을 수 있다. 가장 최근에 무역 자유화는, 특히 인도와 중국에, 많은 양의 숙련된 전문적인 업무가 더 싼 해외 지역에서 이루어질 수 있게 해 주었다. 점점 더 많은 나라들이 산업과 서비스의 상층부에 진입하기 위해 노력함에 따라, 첨단 기술 투자를 유치하기 위한 경쟁이 심해졌고, 따라서 이러한 기술 집약적인 부문이 이제 격차 해소 게임의 비결로 간주되고 있다.
11강 10번
From the time that dogs evolved from wolves, they have developed numerous behavioral traits that have supported and enhanced their interactions with humans. Science is now discovering that dogs seem to have more advanced cognitive skills than previously thought, skills that have helped them coexist with humans. For example, it was once believed that dogs were not capable of understanding verbal communication but rather relied on their advanced nonverbal abilities to help them understand human gestures and behavior. However, Andics and Miklosi reported in Science that research now suggests that some dogs may be capable of recognizing more than 1,000 words. This capability is definitely an asset in their interactions with humans. Furthermore, research by Udell and Vonholdt suggests that one of the biggest transformations of dogs in the process of domestication from the wolf may be due to two genes (GTF2I and GTF2IDI). These genes appear to have a direct impact on dogs' intense ability and desire for social contact. They are considered the "friendly genes" and help foster positive interactions with people.
늑대로부터 진화했을 때부터, 개는 인간과의 상호 작용을 지원하고 증진시킨 수많은 행동적 특성을 발달시켰다. 과학은 이제 개가 이전에 생각되었던 것보다 더 높은 수준의 인지 기술, 즉 그들이 인간과 공존하는 데 도움을 준 기술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는 점을 발견하고 있다. 예를 들어, 한때는 개가 언어적 의사소통을 이해할 수 있는 능력이 있는 것이 아니라 인간의 몸짓과 행동을 이해하는 것을 돕는 그들의 발달된 비언어적 능력에 의존한다고 믿어졌다. 그러나 Andics와 Miklosi가 Science지에 보고한 바에 따르면 연구는 이제 일부 개들이 1,000개가 넘는 단어를 인식할 수 있을지도 모른다는 것을 시사한다. 이 능력은 분명히 그들이 인간과 상호 작용을 할 때 유용한 것이다. 나아가, Udell과 Vonholdt의 연구는 늑대로부터 가축화되는 과정에서 개들의 가장 큰 변화 중 하나가 두 개의 유전자(GTF21와 GTF21D1) 때문일 수도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이 유전자들은 개의 사회적 접촉에 대한 강한 능력과 열망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인다. 그것은 '친절한 유전자'로 여겨지고 사람들과의 긍정적인 상호 작용을 촉진하는 데 도움을 준다.
11강 11번
The way cultures differ regarding external societal constraints is captured by the tightness-looseness dimension. South Asian and Confucian nations are among the tightest whereas Latin American and Eastern European nations are the least tight. Tightness is associated with strong norms and low tolerance of deviant behavior, which restricts the range of behavior deemed appropriate across everyday situations and settings. By contrast, looseness is associated with weak norms and high tolerance of deviant behavior, affording a wider range of permissible behavior across everyday situations. The strength (or weakness) of everyday recurring situations within nations simultaneously reflects and supports the degree of order and coordination in the larger cultural context. Compared to individuals in loose cultures, individuals in tight cultures are more concerned with conforming to normative rules and have psychological qualities that promote social order.
외부의 사회적 제약에 관하여 문화가 상이한 방식은 경직성과 유연성의 관점으로 포착된다. 남아시아와 유교 국가들은 가장 경직된 국가에 속하지만, 라틴 아메리카와 동유럽 국가들은 가장 덜 경직된 국가이다. 경직성은 강한 규범과 일탈 행동에 대한 낮은 관용과 관련이 있는데, 이는 일상적인 상황과 환경 전반에서 적절하다고 여겨지는 행동의 범위를 제한한다. 이와 대조적으로, 유연성은 약한 규범과 일탈 행동에 대한 높은 관용과 관련이 있고, 일상적인 상황 전반에서 허용되는 더 넓은 범위의 행동을 갖게 한다. 국가 내에서 매일 되풀이되는 상황의 강함(또는 약함)은 더 큰 문화적 상황에서 질서와 조직화의 정도를 반영하고 동시에 뒷받침한다. 유연한 문화의 개안에 비해, 경직된 문화의 개인은 규범적인 규칙을 따르는 것에 더 관심을 두며 사회 질서를 조성하는 심리적 특성을 가지고 있다.
11강 12~14번
My father was an Air Force master sergeant stationed in Ohio. The Cincinnati Reds offered tickets at a discounted price to military personnel, and my father decided to take me and a group of airmen to a baseball game between the hometown Reds and the Pittsburgh Pirates. I was thrilled at finally being able to see a big-league game. Although I was a New York Yankees fan, one of my favorite baseball players, Roy Face, was a star pitcher for the Pirates and I was hoping to get his autograph. My father even bought me a brand-new baseball just in case I ran into him. I could hardly contain myself on the drive to Cincinnati. We arrived at the stadium a few minutes before the players were due to take the field, and I lined up with other fans at the entrance to the Pirates locker room to see the players. As the players came out to enter the runway to the dugout, I looked anxiously for Roy Face. I finally saw him coming and in my best manners asked him for his autograph. He calmly ignored me and proceeded down the runway. I was shocked! One of my favorite heroes had brushed me off! I stood there pondering what to do next when a large arm appeared around my shoulders and a hand took the ball from my grasp. I looked up to see a broad smile beneath a Pirates hat and a large 21 on the uniform. The man handed me the ball with a wink and headed onto the field. I looked down at the ball and could not believe that it now proudly bore the name ROBERTO CLEMENTE in black ink. Roy Face's spot on my hero list had just been filled by one of the greatest players in the game. Clemente played an important part in the Pirates' win on that day and helped lead his team to a World Series victory over my Yankees that October. Despite that, he remained one of my greatest heroes until his death in a 1972 airplane crash while flying relief supplies to earthquake victims in Nicaragua. When I learned of Clemente's death, I could only marvel that the man who had helped find me a hero had been a true hero trying to help an entire nation.
아버지께서는 Ohio에 배치된 공군 1등 중사이셨다. Cincinnati Reds는 군인들에게 할인된 가격으로 (경기) 입장권을 제공했고, 아버지는 나와 항공 대원 몇 명을 홈팀인 Reds와 Pittsburgh Pirates의 야구 경기에 데려가기로 결정하셨다. 나는 마침내 메이저 리그 경기를 볼 수 있게 되어서 정말 신이 났다. 비록 나는 New York Yankees의 팬이었지만, 내가 가장 좋아하는 야구 선수 중 한 명인 Roy Face는 Pirates의 스타 투수였고 나는 그의 사인을 받기를 바라고 있었다. 아버지께서는 혹시라도 내가 그와 우연히 마주칠 때를 대비해서 심지어 새 야구공까지 사 주셨다. 나는 Cincinnati로 가는 차 안에서 거의 감정을 자제할 수 없었다. 우리는 선수들이 경기장으로 나가기로 예정된 시간 몇 분 전에 야구장에 도착했고, 나는 선수들을 보기 위해 다른 팬들과 함께 Pirates 탈의실 입구에 줄을 섰다. 선수들이 선수 대기석으로 가는 통로에 진입하기 위해 나올 때 나는 애타게 Roy Face를 찾았다. 나는 마침내 그가 오고 있는 것을 보았고, 가장 예의 바르게 그에게 사인을 요청했다. 그는 조용히 나를 무시하고 통로를 따라 내려갔다. 나는 충격을 받았다! 내가 가장 좋아하는 영웅 중 한 명이 나를 매정하게 무시해 버렸다! 나는 거기에 서서 다음에 무엇을 해야 할지를 곰곰이 생각하고 있었는데, 그때 어깨 언저리에 커다란 팔이 나타나더니 손 하나가 꽉 쥔 내 손에서 공을 가져갔다. 내가 고개를 들어보니 Pirates 모자 아래 함박웃음과 유니폼 위의 커다란 21이라는 숫자가 보였다. 그 남자는 나에게 윙크를 하며 공을 건네주고 경기장으로 향했다. 나는 그 공을 내려다보았고 이제 그것에 ROBERTO CLEMENTE라는 이름이 위풍당당하게 검정 잉크로 적혀져 있다는 것이 믿기지 않았다. 내 영웅 목록에서 Roy Face의 자리는 바로 그 순간 그 게임[야구]에서 가장 위대한 선수 중 한 명에 의해 채워졌다. Clemente는 그날 Pirates의 승리에 중요한 역할을 했고 그의 소속팀이 그해 10월 나의 Yankees를 꺾고 월드 시리즈에서 우승하는 데 기여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는 1972년에 니카라과의 지진 피해자들을 위한 구호물자를 공수하던 중 비행기 사고로 죽을 때까지 나의 위대한 영웅 중 한 명으로 남아 있었다. Clemente의 죽음을 알게 되었을 때, 나는 내가 한 영웅을 찾도록 도와준 사람이 한 나라 전체를 도우려고 애썼던 진정한 영웅이었다는 것에 단지 경탄할 뿐이었다.
12강 1번
Perhaps one of the greatest challenges is to find the will, the courage, and the undefeatable attitude to persist. To challenge oneself to exceed the comfort zone and to push beyond one's self-perceived outer limits is to practice with firm faith and devotion. Reaching beyond anything done previously, always knocking on that door of a new record, a farther reach than ever reached before what Daniel Coyle called "reachfulness" ━ is what "peaking" involves. Reachfulness is the constant pounding in one's head to stretch and stretch and stretch to that new limit, no matter how minuscule. It is a new high. The role of the teacher, coach, or mentor is to keep tipping the learner forward from passivity toward reachable action. It is a continuous cycle that maintains and sustains skillfulness, yet also scores a plus within the learner for the new mark that has been reached. This requires constant dissatisfaction with the current specs or data and a yearning to do one's personal best, each and every outing. It is exhausting on the one hand, and on the other it is thrilling and truly invigorated by the tiny, barely noticeable successes that keep the learner moving ever forward.
아마도 가장 큰 도전 중 하나는 끝까지 해낼 의지와 용기, 그리고 난공불락의 태도를 찾는 것일 것이다. 안락한 지대를 넘어 자신이 인식하는 외적 한계를 벗어나도록 자신에게 도전한다는 것은 확고한 신념을 가지고 전념하여 실천하는 것이다. 무엇이든 이전에 수행한 것 너머에 도달하는 것, 항상 새로운 기록의 그 문을 두드리는 것, 이전에 도달한 적이 있는 것보다 더 멀리 도달하는 것 ㅡ Daniel Coyle이 'reachfulness'라고 부른 것 ㅡ 은 '절정에 이르는 것'이 수반하는 것이다. Reachfulness는 아무리 미미하더라도 그 새로운 한계까지 뻗어 나가고, 뻗어 나가고, 또 뻗어 나가기 위해 머릿속에서 끊임없이 두드리는 것이다. 그것은 새로운 정점이다. 교사, 코치 또는 멘토의 역할은 학습자를 계속 살짝 건드려서 수동성에서 도달 가능한 행동을 향해 앞으로 나아가도록 하는 것이다. 그것은 숙련도를 유지하고 지속하면서도, 도달된 새로운 기록에 대하여 학습자의 마음 속에 플러스 점수를 매기는 끊임없는 순환이다. 이를 위해서는 현재의 (역량에 대한) 상세한 기록이나 자료에 대한 끊임없는 불만족과 모든 출전에서 자신의 개인 최고 기록을 내고자 하는 열망이 필요하다. 그것은 한편으로는 고단하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짜릿하며 학습자를 계속 끊임없이 앞으로 나아가게 하는 아주 작고, 거의 눈에 띄지 않는 성공에 의해 진정으로 고무된다.
12강 2번
Every time that a cell multiplies, there is risk of an error at the time when the DNA is copied. Consequently, as multicellular animals increased in complexity and size and the lifespan got longer and longer, the risk of cancer was expected to grow in direct proportion; the larger and longer-lived the animal, the higher the number of mitosis occurring in its body, and therefore the higher the chance of DNA damage to occur. However, this turned out not to be the case as large dimensions and longer life do not necessarily mean increased risk of cancer: this is the 'Peto's paradox', which gets its name from a study published in 1995 by Richard Peto and his colleagues. In this experiment, a large group of mice of different ages were exposed to topical application of a carcinogen. The rate of appearance by epithelial tumours was related to the duration of exposure to the chemical but not to the mouse's age. That is, it was the time of exposure to the carcinogen agent that dictated the risk of developing cancer and not the age of the exposed mouse ━ and neither the span of survival after the exposure. This study demonstrated that, against the then current wisdom, increased lifespan in itself can be irrelevant as far as increase in cancer risk is concerned.
세포가 증식할 때마다 DNA가 복제되는 시점에서 오류가 발생할 위험이 있다. 결과적으로, 다세포 동물의 복잡성과 크기가 증가하고 수명이 점점 길어짐에 따라 암의 위험이 정비례하여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었는데, 즉 동물이 더 크고 오래 살수록 몸에서 일어나는 체세포 분열의 수가 더 많아지고, 따라서 DNA 손상이 발생할 가능성이 더 높아진다는 것이었다. 그러나 이것은 사실이 아닌 것으로 밝혀졌는데, 큰 크기와 더 긴 수명이 반드시 암 위험 증가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기 때문이다. 이것이 'Peto의 역설'인데, 이는 Richard Peto와 그의 동료들이 1995년에 발표한 연구에서 그 이름을 가져온다. 이 실험에서 나이가 다른 쥐들의 대규모 집단이 발암 물질의 국소적 도포에 노출되었다. 상피 종양의 발생 비율은 그 화학 물질에 노출된 기간과 관련이 있었지만, 쥐의 나이와는 관련이 없었다. 즉, 암 발병 위험을 결정한 것은 발암 물질에 노출된 시간이지 노출된 쥐의 나이가 아니었고, 노출 후 생존 기간도 아니었다. 이 연구는 당시의 지식에 반하여, 암 위험 증가에 관한 한, 증가한 수명 그 자체는 무관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 주었다.
12강 3번
A large repertoire and proficient song performance can only be acquired by an individual bird that grew up in a secure nest, was subsequently unencumbered by disease and parasites, and ― in possession of sharp faculties, memory capacity, foraging ability, and predator watchfulness - engaged in hundreds of hours of successful singing practice. Whatever impairs the post-hatching growth of a bird's system of song nuclei, and whatever keeps the bird from attending to and practicing song is later evident as deficits in the size and perfection of its mature song repertoire. This makes, a large repertoire of complex song a direct causal reflection of an individual's successful passage through a demanding and varied obstacle course. The more demanding the performance to be acquired, the more comprehensive a measure of an individual's personal history and qualities lies implicit in the perfected, mature song performance. An individual's song proficiency tells its audience, in a way impossible to counterfeit, that the singer comes from, as it were, "a good background." Potential mates and rivals thus do well to take a singer displaying mastery and virtuosity seriously.
풍부한 레퍼토리와 능숙한 노래 솜씨는 안전한 둥지에서 자랐으며, 그 후에 질병과 기생충의 방해가 없었고, 기민한 기능, 기억력, 먹이 찾기 능력, 포식자 경계력을 가진 상태에서, 수백 시간의 성공적인 노래 연습을 한 새 개체에 의해서만 습득될 수 있다. 무엇이든 부화 후 새의 노래 핵 체계의 성장을 손상시키는 것은, 그리고 무엇이든 새가 노래에 주의를 기울이고 노래를 연습하는 것을 방해하는 것은, 나중에 새의 원숙한 노래 레퍼토리의 크기와 완벽성의 부족으로 명백해진다. 이 때문에 복잡한 노래의 풍부한 레퍼토리는 개체가 힘들고 다양한 장애물 코스를 성공적으로 통과한 것을 직접적이며 인과 관계적으로 반영한다. 습득되어야 할 솜씨가 더 노력을 요할수록, 개체의 개별적인 이력과 자질의 척도는, 완벽하고 원숙한 노래 솜씨에 내재된 채, 더 포괄적이게 된다. 한 개체의 숙달된 노래 솜씨는 듣는 개체들에게 노래하는 그 새가 이를테면 '좋은 배경' 출신이라는 것을 위조가 불가능한 방식으로 말해 준다. 따라서 잠재적인 짝과 경쟁자들은 숙달된 솜씨와 기교를 보여 주는 노래하는 새를 진지하게 받아들이는 것이 현명하다.
12강 4번
Are you Othello or Hamlet? Are you more likely to think ━ and act ━ too fast, or to get mired in analysis paralysis? While jumping to conclusions and actions is a widespread fault in individuals, analysis paralysis is frequent in large, bureaucratic organizations that pile up studies and reports before taking any action or no action at all. On the one hand, being fast or lazy in our thinking allows us to economize on scarce and expensive mental resources, but the resulting solutions are often poor and ineffective. On the other hand, slow thinking and thorough investigation are necessary to tackle complex business problems but the reflection process might create delays in decision-making and frustrate action. For organizations and institutions to be both effective and efficient, they need people who can overcome these challenges to solving complex business problems. These people must be as thorough as Hamlet and as action oriented as Othello, without jumping to conclusions like the latter or being stuck in a loop of endless questioning like the former.
여러분은 Othello인가, 아니면 Hamlet인가? 여러분은 너무 빨리 생각할, 그리고 행동할, 가능성이 더 높은가, 아니면 (정보 과다로 인한) 분석 불능의 수렁에 빠질 가능성이 더 높은가? 성급하게 결론을 내리고 행동을 취하는 것은 개인들에게서 널리 퍼진 잘못인 반면, (정보 과다로 인한) 분석 불능은 어떤 조치를 취하기 전에 혹은 전혀 조치를 취하지 않기 전에 연구와 보고서를 쌓아 두는 거대한 관료 조직들에서 흔하다. 한편으로는, 생각이 빠르거나 태만한 것은 우리가 부족하고 비용이 많이 드는 정신적 자원을 절약하게 해 주지만, 그 결과로 생기는 해결책은 흔히 부실하고 효과적이지 못하다. 다른 한편으로는 복잡한 비즈니스 문제를 다루려면 느린 사고와 철저한 조사가 필요하지만, 심사숙고의 과정은 의사 결정에서 지연을 초래하고 행동을 방해할 수도 있을 것이다. 조직과 기관이 효과적이고 효율적이기 위해서는 복잡한 비즈니스 문제를 해결하는 것에 대한 이러한 도전을 극복할 수 있는 사람들이 필요하다. 이 사람들은 Hamlet처럼 철저해야 하고 Othello처럼 행동지향적이어야 하며, 후자처럼 성급하게 결론을 내리거나 전자처럼 끝없는 질문의 고리에 갇히지 않아야 한다.
12강 5~7번
One day in the spring of 2011, San Francisco resident Tina Case finally agreed to allow her daughter Danielle to acquire a dog of her own if she promised to take care of it, and saved up the money necessary in order to bring one home. After receiving her permission, Danielle got busy, knocking on neighbors' doors to offer her pet- and babysitting services. Once she had saved up enough money, off she went to pick out a suitable dog. She found Koa, a golden retriever, who quickly settled into her new home. Koa set her mind to becoming an integral part of the family, offering companionship to the Cases who in tum provided her with plenty of opportunity to pursue more doggy pursuits. Soon Koa's favorite activity became chasing lizards in the backyard, and to Danielle's relief, the dog always let the reptiles go after providing them with a little bit of exercise. One day, Koa was on her usual lizard hunt when she became obsessed with exploring a raised spot of dirt alongside the house. Danielle came to investigate what her beloved dog was so intent on investigating, and to her great surprise, she found a nest full of wild baby rabbits. She rushed them to a neighbor who was also a vet, who diligently checked them over. After a thorough examination and clean bill of health, the baby rabbits were returned to the Case family along with instructions on how to care for them. Danielle and her mom were prepared to take care of the baby rabbits themselves, but then Koa stepped in to help care for and nurture her discoveries. It was an unusual situation, because many breeds of dogs would rather chase rabbits than nuzzle them, but she was determined to protect them. After some initial hesitation, Tina Case decided to allow the dog to exercise her maternal instincts. "Koa has never been a mother, so she thinks these are her little puppies," she said. "They hop all over her and always find their way to the crook of her leg and find warmth and shelter."
2011년 봄의 어느 날, 샌프란시스코 주민 Tina Case는 개를 돌보겠다고 약속하고 개를 집으로 데려오기 위해 필요한 돈을 모은다면 딸 Danielle이 개를 사는 것을 허락하는 데 마침내 동의했다. 그녀의 허락을 받은 후, Danielle은 자신에게 반려동물과 아기 돌보는 일자리를 제공해 달라고 이웃집 문을 두드리느라 바빠졌다. 일단 돈을 충분히 모은 다음, 그녀는 적당한 개를 고르러 갔다. 그녀는 골든 리트리버 Koa를 발견했는데, 그 개는 금세 그녀의 새집에 정착했다. Koa는 Case 가족에게 동료애를 보여 주면서 그 가족의 없어서는 안 될 일부가 되는 데 전념하였으며, 이에 그 가족도 개와 관련된 더 많은 놀거리를 쫓아다닐 수 있는 많은 기회를 그녀에게 제공했다. 곧 Koa가 가장 좋아하는 활동은 뒷마당에서 도마뱀을 쫓아다니는 것이 되었고, Danielle에게는 다행히도, 그 개는 그 파충류에게 약간의 운동을 제공한 후에 그들을 항상 놓아주었다. 어느 날, Koa가 늘 하던 도마뱀 사냥을 하다가 그녀는 집 옆에 흙이 솟아오른 곳을 탐험하는 데 사로잡히게 되었다. Danielle은 자신이 사랑하는 개가 무엇을 그렇게 열중해서 조사하려고 했는지 살피러 왔는데, 매우 놀랍게도 그녀는 야생 새끼 토끼가 가득한 보금자리를 발견했다. 그녀는 그것들을 수의사이기도 한 이웃에게 급히 데려갔고, 그 이웃은 토끼들을 공들여 검사했다. 철저한 검사와 건강 증명서를 받은 후, 그 새끼 토끼들은 그들을 돌보는 방법에 대한 지침과 함께 Case 가족에게 돌려보내졌다. Danielle과 그녀의 엄마는 새끼 토끼들을 직접 돌볼 준비가 되어 있었지만, 그때 Koa가 자신이 발견한 것들을 돌보고 양육하는 것을 돕기 위해 개입했다. 많은 품종의 개들이 토끼를 코로 문지르기보다는 뒤쫓으려 하기 때문에 그것은 특이한 상황이었지만, 그녀는 토끼를 보호하기로 결심했다. 처음에 약간 망설인 후에, Tina Case는 그 개가 자신의 모성 본능을 발휘하도록 허락하기로 결정했다. "Koa는 엄마가 되어 본 적이 없어서, 이것들이 자신의 작은 강아지라고 생각하죠."라고 그녀가 말했다. "그들은 그녀의 온몸 위를 뛰어다니고 항상 그녀의 다리 안쪽을 찾아가서 온기와 보호를 얻는답니다."
12강 8번
With the rise of the Internet, particularly in the light of on-line auctions, it is easier for customers to establish the lowest price of any product. However, the destabilizing effect this has on prices affects commodities more than brands. Indeed, it is interesting to note that it is the major brand leading organizations who have embraced e-commerce, not just to reduce transaction costs, but also to create added values for customers. For example, the travel specialists at Thomas Cook have used the Internet to make it easier for customers to contact them using whatever medium suits them best. This is a far cry from the traditional approach of viewing the customer as a passive entity to absorb whatever the supplier decides to do to them. Indeed, in the electronic age, given that customers today have as much information about suppliers as they have about them, the most powerful brands will be customer-centric. Successful companies will know the customer and will be the customer's advocate.
인터넷의 출현과 함께, 특히 온라인 경매의 관점에서, 고객들이 모든 제품에 대해 가장 낮은 가격을 확인하기가 더 쉽다. 그러나 이것이 가격을 불안정하게 만드는 효과는 브랜드보다 상품에 더 많은 영향을 미친다. 실제로, 거래 비용을 절감하기 위해서뿐만 아니라 고객을 위한 부가 가치를 창출하기 위해 전자 상거래를 수용해 온 이들이 바로 주요 브랜드 선도 기관이라는 점에 주목하는 것은 흥미롭다. 예를 들어, Thomas Cook 그룹의 여행 전문가들은 고객이 어떤 매체이든지 자신에게 가장 적합한 매체를 사용하여 그들에게 더 쉽게 연락할 수 있도록 인터넷을 사용해 왔다. 이것은 공급 회사가 고객에게 어떻게 하기로 결정하든지 간에 그것을 받아들이는 수동적인 존재로 고객을 바라보는 전통적인 접근법과는 전혀 다르다. 실제로, 전자 시대에는 공급 회사가 고객에 대해 가지고 있는 정보만큼이나 오늘날에는 고객도 공급 회사에 대한 정보를 가지고 있다는 점을 고려할 때 가장 강력한 브랜드는 고객 중심의 브랜드일 것이다. 성공적인 기업은 고객을 이해하고 있을 것이고 고객의 옹호자가 될 것이다.
12강 9번
In order to be meaningful, the claim concerning wholeness and coherence must have a cognitive function, which may be related to economy of time as well as to the communication itself. Irrelevant elements take up valuable time and disturb comprehension, as the reader assumes at the outset that they have a function and tries to interpret the whole in such a way that they fit in. It is a convention of non-fiction to contain only relevant elements, and traditional views of literature have transferred this convention to literary fiction. We crave logical coherence and relevance because we do not want to waste time on something that is unnecessary. However, fictional literature leaves room for other priorities, for we read not only to receive information but also for entertainment or to pass the time. Although entertainment and the passing of time are products of the cognitive content, the reader often regards reading primarily as a way of passing the time and not as cognition. Consequently, independent of coherence and relevance, he is ready to accept every aspect of the work that makes time pass in an agreeable or at least meaningful way.
통일성과 일관성에 관한 주장이 의미를 가지기 위해서는 인지적 기능을 가져야 하는데, 그 기능은 내용 전달 자체뿐만 아니라 시간의 절약과도 관련이 있을 수도 있다. 상관없는 요소들이 귀중한 시간을 잡아먹고 이해를 방해하는데 이는 독자가 처음에 그것들이 기능을 가지고 있다고 가정하고 전체를 그것들이 들어맞는 그런 방식으로 해석하려고 노력하기 때문이다. 관련 있는 요소만 담는 것이 논픽션의 관례인데, 문학에 대한 전통적인 견해는 이 관례를 문학적 허구에 이입했다. 우리는 불필요한 것에 시간을 낭비하고 싶지 않기 때문에 논리적 일관성과 관련성을 갈망한다. 하지만 허구의 문학은 다른 우선 사항들을 위한 여지를 남겨 두는데, 왜냐하면 우리가 정보를 얻기 위해서뿐 아니라 오락이나 시간을 보내기 위해서도 읽기 때문이다. 비록 오락이나 시간을 보내는 것이 인지적 내용의 산물이긴 하지만, 독자는 흔히 독서를 주로 시간을 보내는 방법으로 여기지 인지로 여기지는 않는다. 결과적으로 일관성 및 관련성과는 관계없이 그는 기분 좋은 혹은 적어도 의미 있는 방식으로 시간을 보내게 해 주는 작품의 모든 측면을 받아들일 준비가 되어 있다.
12강 10번
Ten years ago, when search engines were powered by data mining (rather than by machine learning), if a person searched for "gourmet restaurants," then for "clothing," his or her search for the latter would be independent of his or her search for the former. Both times, a search engine would collect as much information as possible, then provide the inquirer options - something like a digital phone book or catalog of a subject. But contemporary search engines are guided by models informed by observed human behavior. If a person searches for "gourmet restaurants," then searches for "clothing," he or she may be presented with designer clothing rather than more affordable alternatives. Designer clothing may be what the searcher is after. But there is a difference between choosing from a range of options and taking an action ━ in this case, making a purchase; in other cases, adopting a political or philosophical position or ideology ━ without ever knowing what the initial range of possibilities or implications was, entrusting a machine to preemptively shape the options.
10년 전에 검색 엔진이 (기계 학습에 의해서라기보다는) 데이터 마이닝에 의해 작동되었을 때 어떤 사람이 '고급 식당'을 검색한 다음 '옷'을 검색하면, 후자에 대한 그 사람의 검색은 전자에 대한 그 사람의 검색과는 무관한 것이었다. 두 번 모두, 검색 엔진은 가능한 한 많은 정보를 수집하고, 그런 다음 문의자에게 디지털 전화번호부 혹은 주제별 카탈로그와 같은 선택 사항을 제공하곤 했다. 하지만 요즘의 검색 엔진은 관찰된 사람의 행동에 의해 정보를 받은 모형에 의해 처리된다. 어떤 사람이 '고급 식당'을 검색한 다음 '옷'을 검색하면, 그 사람은 더 저렴한 가격의 대안보다는 오히려 유명 디자이너 의류를 제시받을 수도 있다. 유명 디자이너 의류가 검색자가 찾는 것일 수도 있다. 그러나 다양한 선택 사항 중에서 고르는 것과, 기계에게 우선적으로 선택 사항을 만들도록 위임하면서 초기 범위의 가능성이나 함의가 무엇인지 전혀 알지 못한 채로 행동을 취하는 것 ━ 이번 경우에는 구매하는 것이지만, 다른 경우에는 정치적 혹은 철학적 입장이나 이데올로기를 받아들이는 것일 수도 있는데 ━ 사이에는 차이가 있다.
12강 11번
Throughout nature, the process of natural selection seldom favours organisms that lack the capacity to disperse to new areas. Even among sedentary plants, evolution has found ways for species to spread from one place to another, 'hitchhiking' on animals or using the wind to scatter their seeds and pollen. Almost all species have some mechanism for exploratory movement ━ and the longest of these movements are often vital for the longterm survival of populations, for a whole suite of reasons. In the absence of long-distance dispersal, populations will invariably become threatened by inbreeding, as local gene pools become more and more impoverished over time through the lack of mixing with individuals elsewhere. Dispersal can also be essential in allowing populations to persist when environmental conditions change, or when population densities within a local area grow to the point that competition for resources limits survival chances.
자연계를 통틀어 자연 선택의 과정이 새 지역으로 분산하는 능력이 결여된 유기체에 유리한 경우는 드물다. 정착하여 사는 식물 사이에서까지도 진화를 통해 종들은 씨앗과 꽃가루를 퍼뜨리기 위해 동물에 '편승하면서' 혹은 바람을 이용하면서 한곳에서 다른 곳으로 퍼지는 방법을 알아냈다. 거의 모든 종은 탐사 이동을 위한 어떤 기제를 가지고 있는데, 보통 이 이동 중 가장 장거리인 것이 모든 일련의 이유로 개체군의 장기 생존에 매우 중요하다. 장거리 분산이 일어나지 않는 경우, 개체군은 예외 없이 동계 교배로 멸종의 위기에 처하게 될 것인데, 그 이유는 다른 곳에 사는 개체와의 교배의 결여 때문에 국지적인 유전자 풀이 시간이 지나면서 점점 더 빈약해지기 때문이다. 환경의 조건이 변할 때, 혹은 자원 경쟁이 생존 가능성을 제한할 정도로 국지적인 영역 안에서 개체군의 밀도가 증가할 때, 분산은 또한 개체군이 존속하도록 하는 데 필수적일 수도 있다.
12강 12~14번
It was three days before Christmas. My sister Sherry and I were so excited. Every time another commercial came on TV, we ran to our lengthy Christmas list and added another toy or game. Finally Mom had enough, and she sat us down and gave us "the speech." She asked us if we had considered anyone besides ourselves. "Did either of you buy a gift for your little brother, your grandmother or your father?" she asked. I felt ashamed. Sherry and I made a list of our family, pooled our meager allowance, and walked to the dollar store. At home we wrapped and labeled each gift, chatting and laughing together. Our French poodle, Jacques, was right up under us the whole time. Finally Sherry and I looked down, really noticing him for the first time. "The dog!" we exclaimed together. We had forgotten to put the dog on our Christmas list. "What do you think he would like?" I asked Sherry. "What about a bone?" she whispered with her hand to her mouth so Jacques wouldn't hear. Out we went again to the meat market to get a bone. We wrapped this gift and placed the bone under the tree. The next day as we piled into the car for church, we noticed our damp, drippy dog standing in the rain. "Can't we let him into the warm house?" I begged. "He has a doghouse," Mom reminded us, but we could tell she thought he was pitiful too. "Pleeeeeaaaaase," we begged together. "OK." Mom caved in. Sherry hurried to undo his chain and lead him in the front door. A few hours later, when we got home, we didn't expect the scene that greeted us. I stood in the front doorway and gasped. There was ripped gift paper scattered all over the living room floor. Sherry and I rushed to the tree to count the presents. It looked as if all of them were still there. Mom looked for the dog. "Come and see," she shouted. Jacques was crouched under a bed busily chewing his bone. We couldn't believe it. He had opened only one present ... his present. How did he know which one to open? "He must have read the gift tag and knew it was his!" I exclaimed. Our dog could read! Our dog was the smartest dog I'd ever heard of. I started planning TV shows for him. Maybe we could get him on America 's Funniest Home Videos or Good Morning America because our dog could read! Mom waited till after Christmas to break the news. It was quite a blow when she told me, "You know, he probably just smelled the bone." I felt as deflated as last year's birthday balloons. I guess there will be no America's Funniest Home Videos prize in our future. But still, I think there will never be a Christmas to beat that one. I still smile when I think that for two whole days I was sure we owned the smartest dog on earth.
크리스마스 3일 전이었다. 여동생 Sherry와 나는 매우 신이 났다. TV에 다른 광고가 나올 때마다 우리는 우리의 긴 크리스마스 선물 리스트로 달려가 다른 장난감이나 게임을 추가했다. 마침내 엄마는 참을 만큼 참으셨고, 우리를 앉히고 '연설'을 하셨다. 그녀는 우리가 우리 자신 외에 다른 사람을 고려했는지 물으셨다. "너희 둘 중 누구라도 남동생, 할머니, 혹은 아버지를 위한 선물을 샀니?" 그녀가 물으셨다. 나는 부끄러움을 느꼈다. Sherry와 나는 우리 가족의 리스트를 작성하고 우리의 얼마 안 되는 용돈을 모아 염가 판매점으로 걸어갔다. 집에서 우리는 함께 수다를 떨고 웃으며 각각의 선물을 포장하고 이름표를 붙였다. 우리의 프랑스 푸들 Jacques는 내내 우리 바로 밑에 있었다. 마침내 Sherry와 나는 아래를 내려다보았고 처음으로 진정 그를 알아차렸다. "개!" 우리는 함께 외쳤다. 우리는 개를 우리의 크리스마스 선물 리스트에 넣는 것을 잊었던 것이었다. "그가 무엇을 원할 것 같니?" 나는 Sherry에게 물었다. "뼈는 어때?" 그녀는 Jacques가 듣지 않도록 손을 입에 대고 속삭였다. 우리는 뼈를 사기 위해 다시 나가 정육점에 갔다. 우리는 이 선물을 포장해서 그 뼈를 나무 아래에 놓았다. 다음 날 우리가 교회로 가기 위해 우르르 차에 탔을 때, 우리는 우리의 개가 축축하게 젖어, 물방울을 떨어뜨리며, 빗속에 서 있는 것을 알아차렸다. "그를 따뜻한 집 안에 들어오게 하면 안 돼요?" 나는 간청했다. "그는 개집이 있어." 엄마가 우리에게 상기시키셨지만 우리는 그녀도 그가 불쌍하다고 생각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제...바...알...요." 우리는 함께 간청했다. "알았어." 엄마가 항복하셨다. Sherry는 서둘러 그의 사슬을 물고 그를 현관문 안으로 이끌었다. 몇 시간 후, 우리가 집에 도착했을 때 우리는 우리를 맞이한 장면을 예상하지 못했다. 나는 현관 출입구에 서 있었고, 말을 제대로 하지 못했다. 거실 바닥에는 찢어진 선물 포장지가 여기저기 사방으로 흩어져 있었다. Sherry와 나는 선물을 세기 위해 나무로 달려갔다. 그것들 모두 여전히 거기 있는 것처럼 보였다. 엄마는 개를 찾고 계셨다. "이리 와서 봐."라고 그녀가 소리치셨다. Jacques는 침대 밑에 웅크린 채 바쁘게 자신의 뼈를 씹고 있었다. 우리는 그것을 믿을 수 없었다. 그는 단 하나의 선물만, '자신의 선물'만 풀어 놓았던 것이었다. 그는 어떤 것을 풀어야 하는지 어떻게 알았던 것일까? 나는 "그는 틀림없이 선물 태그를 읽었을 것이고 그래서 그것이 자신의 것이라는 것을 알았어!"라고 외쳤다. 우리 개는 글을 읽을 줄 알아! 우리 개는 내가 여태껏 들어 본 개 중에서 가장 똑똑해. 나는 그를 위해 TV 쇼를 계획하기 시작했다. 우리 개는 글을 읽을 수 있으므로 어쩌면 America's Funniest Home Videos나 Good Morning America에 그를 데려갈 수도 있을 거야! 엄마는 나쁜 소식을 전하기 위해 크리스마스가 끝날 때까지 기다리셨다. 그녀가 나에게 "있잖아, 그는 아마도 단지 뼈 냄새를 맡았을 거야."라고 말씀하셨을 때 그것은 상당한 타격이었다. 나는 작년의 생일 풍선처럼 바람이 빠진[위축된] 기분이 들었다. 나는 우리의 미래에 America's Funniest Home Videos 상이 없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나는 그 크리스마스를 능가할 수 있는 크리스마스는 결코 없을 거라고 생각한다. 나는 이틀 내내 우리가 지구상에서 가장 똑똑한 개를 가졌다고 확신했던 것을 생각할 때면 여전히 웃음이 나온다.
TEST1강 1번
To whom it may concern, I am a graduate student majoring in political science. I am writing this letter to tell you about the inconvenience students experience on campus. An increasing number of students are riding their bicycles to school. However, since there are not enough bicycle racks on campus, students have trouble finding places to park their bicycles. Often we spend a lot of time looking for a place for our bicycles, which often leads us to be late for class. It gets even worse on rainy or snowy days. Last month, I heard that five bicycles parked on the roadside due to the lack of bicycle facilities on campus had been stolen. So I hope you take this matter very seriously and take necessary action to resolve it. More than anything, I ask you to create more bicycle racks. Sincerely, Michael Lovelace
관계자분께 저는 정치학을 전공하고 있는 대학원생입니다. 저는 학생들이 교정에서 겪고 있는 불편함에 대해 말씀드리려고 이 편지를 쓰고 있습니다. 점점 더 많은 수의 학생이 자전거를 타고 등교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교정에 자전거 보관대가 충분하지 않기 때문에 학생들은 자신들의 자전거를 주차할 장소를 찾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자주 저희는 자전거를 둘 장소를 찾느라 많은 시간을 보내고 있고, 이는 자주 저희가 수업에 늦는 결과를 초래합니다. 비가 오거나 눈이 오는 날에는 상황이 훨씬 더 나쁩니다. 지난달 저는 교정에 자전거 관련 시설이 부족해서 길가에 주차해 둔 5대의 자전거가 도난당했다고 들었습니다. 그래서 저는 관계자분께서 이 문제를 매우 심각하게 받아들이시고 그것을 해결하는 데 필요한 조치를 취해 주시기를 바랍니다. 무엇보다 저는 더 많은 자전거 보관대를 만들어 주시기를 요청드립니다. Michael Lovelace 드림
TEST1강 2번
I was working through college selling children's books door to door in Florida. One particularly blistering day nothing was going right. I had knocked on every door without a single answer; I was hot, tired, and felt like a total failure. Then, I looked down the street at a small white house and was drawn toward it. I had barely knocked on the door when an older woman opened it and immediately asked me in. She gave me a drink and invited me to share a meal with her and her husband. It was obvious that they did not have much money. During the two hours I was there, the woman and her husband shared stories of the hardships and experiences in their lives and told me that it was very important to always love and care deeply about others ― even strangers. As I left, the man gave me money and said he just wanted to help me out and that he had no need for my books . As I walked back down the street I broke into tears and kept crying for blocks. These people who at first seemed to have so little had given me more than I could ever have asked for.
나는 플로리다에서 집집마다 돌아다니며 아동 도서를 판매하면서 고학으로 대학을 다니고 있었다. 특히나 지독히 더웠던 어느 날에 어느 것도 제대로 되는 것이 없었다. 나는 모든 문을 노크했으나 아무 응답이 없었다. 나는 덥고, 피곤하고, 완전한 실패자처럼 느껴졌다. 그러다가 나는 길을 따라 있는 작은 하얀 집을 보았고 그 집에 이끌렸다. 내가 문을 노크하자마자 연로한 여성이 문을 열고 즉시 나에게 들어오라고 했다. 그녀는 내게 마실 것을 주고 자신과 자기 남편과 함께 식사를 하자고 내게 권했다. 그들은 돈이 많지 않은 것이 분명했다. 내가 그곳에 있었던 두 시간 동안 그 여자와 그녀의 남편은 자신들 삶에서 겪었던 고난과 경험의 이야기를 해 주었고 항상 다른 사람, 심지어 낯선 사람까지도 깊이 사랑하고 보살피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고 내게 말했다. 내가 떠날 때 그 남자는 나에게 돈을 주었고 그는 단지 나를 돕고 싶을 뿐이며 내 책은필요하지 않다고 말했다. 다시 거리를 따라 걸으면서 나는 울음을 터뜨렸고 몇 블록을 가는 동안 계속 울었다. 처음에는 가진 것이 거의 없는 것처럼 보였던 이 사람들이 내가 요청할 수도 있었던 것보다 더 많은 것을 내게 주었다.
TEST1강 3번
It's probably worth mentioning that Socrates was put to death for his beliefs ― and for spreading those beliefs too widely to the youth of Athens. So it's safe to say that challenging established thinking doesn't always sit well with people. But I'd argue it's not only a good idea to harness constructive conflict, it's critical to the decision-making process. You can't effectively set a strategy or decide direction if you're unwilling to grapple with tough questions and have some disagreement over ideas. Thoughtful leaders thrive on disagreement because it gives them the information they need to improve their ideas before they reach the world. We all have our own personal threshold of comfort around conflict. Some people thrive on lively debate; others find it deeply stressful. But if the boss can't be challenged safely, then no one can. I believe it's your job as a leader to invite good criticism. By constructively harnessing disagreements within your team, you improve ideas and fuel productivity.
소크라테스가 자신의 신념 때문에, 그리고 그 신념들을 아테네의 젊은이들에게 너무 널리 전파해서 죽임을 당했다는 것은 아마도 언급할 만한 가치가 있을 것이다. 따라서 기성의 사고에 도전하는 것이 항상 사람들에게 받아들여지는 것은 아니라고 말하는 것에 무리는 없다. 하지만 나는 건설적인 갈등을 활용하는 것이 좋은 생각일 뿐만 아니라 그것이 의사 결정 과정에 매우 중요하다고 주장하고자 한다. 만약 여러분이 어려운 문제를 해결하려고 노력하기를 꺼리거나 아이디어에 대해서 어떤의견 차이를 수용하기를 꺼린다면 효과적으로 전략을 세우거나 방향을 정할 수 없다. 사려 깊은 리더들은 의견 차이를 즐기는데 이는 그것이 그들에게 자신들의 아이디어들이 세상에 나아가기 전에 그것들을 발전시키는 데 필요한 정보를 주기 때문이다. 우리 모두는 갈등에 대해서 편안함을 느끼는 개인적인 한계점을 가지고 있다. 어떤 사람들은 활기찬 토론을 즐기는 반면 다른 사람들은 그것이 매우 스트레스를 준다고 생각한다. 하지만 상사에게 안전하게 이의를 제기할 수 없다면 어느 누구에게도 할 수 없다. 나는 건전한 비판을 청하는 것이 리더로서 여러분이 할 일이라고 믿는다. 팀 내의 의견 차이를 건설적으로 활용함으로써 여러분은 아이디어를 발전시키고 생산성을 증가시킨다.
TEST1강 4번
Antiracist educator and author Debby Irving uses an often-cited headwinds and tailwinds metaphor to explain the invisibility of the systemic, group-level differences that treat different groups of people differently. Headwinds are the challenges ― some big, some small, some visible, some invisible ― that make life harder for some people, but not for all people. When you run against a headwind, your speed slows down and you have to push harder. You can feel the headwind. When you have a tailwind pushing you, it is a force that propels you forward. It is consequential but easily unnoticed or forgotten. In fact, if you are like me when I jog with a tailwind, you may glow with pride at your great running time that day, as if it were your own athletic prowess. When you have the tailwind, you will not notice that some runners are running into headwinds. They may be running as hard as, or even harder than, you, but they will appear lazier and slower to you. When some of them grow tired and stop trying, they will appear self-destructive to you.
반인종주의 교육자이자 저술가인 Debby Irving은 자주 인용되는 역풍과 순풍의 비유를 사용하여, 서로 다른 집단의 사람들을 다르게 취급하는 조직적인 집단 수준의 눈에 보이지 않는 차이를 설명한다. 역풍은 크기도 하고 작기도 하며, 눈에 보이기도 하고 눈에 보이지 않기도 하는 힘든 문제로서 일부 사람들에게 삶을 더 힘들게 하지만, 모든 사람들에게 다 그렇지는 않다. 역풍을 맞으며 달리면 속도가 느려져서 더 세게 밀고 나아가야 한다. 여러분은 그 역풍을 느낄 수 있다. 순풍이 여러분을 밀고 있을 때, 그것은 여러분을 앞으로 나아가게 하는 힘이다. 그것은 중요하지만 쉽게 간과되거나 잊혀진다. 사실, 여러분이 순풍에 조깅을 할 때의 나와 같다면 여러분은 마치 그것이 자신의 운동 기량인 양 그날의 뛰어난 달리기 시간에 자부심으로 가슴이 뿌듯할 수도 있다. 여러분은 순풍을 타고 있을 때, 일부 주자가 역풍을 맞고 있다는 사실을 눈치채지 못할 것이다. 그들은 여러분만큼 혹은 여러분보다 더 열심히 달리고 있을 수도 있지만, 여러분에게는 더 게으르고 더 느리게 보일 것이다. 그들 중 일부가 지쳐서 시도를 중단하면, 그들은 여러분에게 자멸적으로 보일 것이다.
TEST1강 5번
Like in the early days of industrialization, workers today are no longer reaping the gains of progress. Worse, many have been left behind in the backwaters of progress. In the same way that opportunity dried up for middle-income artisans as a consequence of the industrialization process, the age of automation has meant diminishing opportunities for the American middle class. Like the victims of the early factories, many Americans have adjusted to the computerization of work by unwillingly shifting into lower-paying jobs or have failed to adjust and dropped out of the workforce completely. And similar to the victims of the factories, the losers to automation have primarily been men in the prime of life. Up until the 1980s, manufacturing jobs allowed ordinary working men to attain a middle-class lifestyle without going to college. As employment opportunities in manufacturing receded, a path of upward mobility was closed to many citizens.
산업화 초기처럼, 오늘날의 노동자들은 더 이상 진보의 이익을 거두지 못하고 있다. 더욱 심각한 것은, 많은 이들이 진보의 변두리에 남겨진 채로 있어 왔다는 것이다. 산업화 과정의 결과로 중간 소득 계층의 장인에게 기회가 고갈된 것과 같은 방식으로 자동화의 시대는 미국 중산층에게 기회의 감소를 의미했다. 초기 공장의 희생자들처럼 많은 미국인들은 마지못해 저임금 직업으로 옮겨 노동의 컴퓨터화에 적응했거나 적응에 실패하여 노동 인구에서 완전히 탈락하였다. 그리고 공장의 희생자들과 비슷하게, 자동화의 패배자들은 주로 인생의 전성기에 있는 남성들이었다. 1980년대까지만 해도 제조업은 평범한 직장인들이 대학에 가지 않고도 중산층 생활을 이룰 수 있도록 했다. 제조업의 고용 기회가 줄어들면서, 많은 시민들에게 상향 이동의 길이 막혔다.
TEST1강 6번
We do not have an environmental problem so much as we have a story problem. Or so says David Korten, who argues that the grave environmental challenges we face today have been set in motion by the predominating cultural lens of what he calls the "sacred money and markets story." This has been a story with catastrophic outcomes, contends Korten. Is there a way to fix it? Korten thinks there is: intervene. Change the Story, Change the Future, Korten proclaims in his book on creating more sustainable and just earth economies. Intervening in the "sacred money and markets story" and supplanting it with the "sacred life and living earth story" as the prevailing story of our time, he argues, will result in changing the human cognition and behavior that got us into our current environmental mess. Change the story, and we will climb our way out of destruction and despair and begin the repair and recovery of life systems on the planet. Permit the dominant "sacred money and markets story" instead to proceed on its current trajectory uninterrupted, with no effective intervention, and we seal our own doom.
우리는 환경 문제라기보다는 '이야기' 문제를 가지고 있다. 혹은 David Korten이 그렇게 말하는데, 그는 오늘날 우리가 직면하고 있는 심각한 환경적 난제가 그가 '신성시되는 돈과 시장 이야기'라고 부르는 것인 지배적인 문화적 렌즈에 의해 시작되었다고 주장한다. 이것은 파멸적인 결과를 가져온 이야기였다고 Korten은 주장한다. 그것을 고칠 방법이 있는가? Korten은 있다고 생각하는데, 그것은 바로 개입하는 것이다. '이야기를 바꾸고, 미래를 바꾸라'고 Korten은 더 지속 가능하고 공정한 지구 경제를 만드는 것에 관한 자신의 저서에서 선언한다. '신성시되는 돈과 시장 이야기'에 개입하여 그것을 우리 시대의 지배적인 이야기로서 '신성시되는 생명과 살아있는 지구 이야기'로 대체하는 것은 우리를 현재의 환경적 혼란에 빠지게 한 인간의 인식과 행동을 바꾸는 결과를 가져올 것이라고 그는 주장한다. 이야기를 바꾸면, 우리는 파괴와 절망에서 빠져나와 지구상의 생명 시스템의 복구와 회복을 시작할 것이다. 그렇게 하지 않고 지배적인 '신성시되는 돈과 시장 이야기'가 효과적인 개입 '없이', 아무런 방해도 받지 않고, 현재의 궤도로 진행되도록 허용한다면, 우리는 우리 자신의 파멸을 확정한다.
TEST1강 7번
Imagination often seems unbounded and without constraint. However, if this were the case then it would be more likely to generate falsehoods than truths. Imagination must be constrained in order to provide knowledge. On the other hand, if we want to generate any new knowledge, what we imagine cannot be entirely "up to us," as it must go beyond what we already know. The knowledge-generating capacity of the imagination can be explained by suggesting that some constraints on the imagination are fixed and within our control, allowing for exploratory activity within these constraints. For example, if one wants to know whether a sofa will fit through a door, one must constrain one's imagination to keep the relevant shapes and sizes and the laws of physics fixed, while allowing for exploration of various possible ways of manipulating the sofa.
상상력은 흔히 무한하고 제약이 없는 것처럼 '보인다'. 하지만 만약 이것이 사실이라면, 그렇다면 그것은 진실보다 거짓말을 만들어 낼 가능성이 '더' 클 것이다. 지식을 제공하려면 상상력이 제한되어야 한다. 반면에, 만약 우리가 어떤 새로운 지식을 생성하고 싶다면, 우리가 상상하는 것은 그것이 우리가 이미 알고 있는 것을 넘어서야 하기 때문에 전적으로 '우리에게만 달려' 있을 수는 없다. 상상력의 지식 생성 능력은 상상력에 대한 몇 가지 제약이 고정되어 있고 우리가 통제할 수 있는 범위 내에 있으므로 이러한 제약 내에서 탐색적 활동을 허용한다고 말함으로써 설명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파가 문을 통과할 수 있는지 알고 싶다면, 소파를 조작하는 여러 가지 가능한 방법의 탐색을 허용하면서도 관련된 모양과 크기 및 물리학 법칙을 고정시켜 두기 위하여 우리의 상상력을 제한해야 한다.
TEST1강 8번
The table above shows the average rainfall and the total water consumption in Australia in six financial years. During these six financial years, the highest average rainfall was recorded in financial year 2016-2017, and total water consumption reached its peak in financial year 2017-2018, with more than 15,000 gigaliters used. From financial year 2014-2015 to 2015-2016, the average rainfall increased, but during the same period, the total amount of water used fell by more than 1,000 gigaliters. However, from financial year 2016-2017 to 2017-2018, the total water consumption showed an increase, whereas average rainfall dropped by more than 200 millimeters. From financial year 2017-2018 to 2019-2020, the total amount of water consumed in Australia steadily declined. The average rainfall in financial years 2018-2019 and 2019-2020 was just below 350 millimeters in both periods.
위의 표는 호주의 여섯 회계 연도 동안의 평균 강수량과 총 물 소비량을 보여 준다. 이 여섯 회계 연도 동안 2016~2017 회계 연도에 가장 높은 평균 강수량이 기록되었고, 총 물 소비량은 2017~2018 회계 연도에 1만 5,000기가리터 넘게 사용되며 최대량을 기록했다. 2014~2015 회계 연도부터 2015~2016 회계 연도까지 평균 강수량은 증가했지만 같은 기간에 총 물 사용량은 1,000기가리터 넘게 감소했다. 하지만 2016~2017 회계 연도부터 2017~2018 회계 연도까지는 총 물 소비량이 증가를 보였고, 반면에 평균 강수량은 200밀리미터 넘게 감소했다. 2017~2018 회계 연도부터 2019~2020 회계 연도까지 호주에서 소비된 총 물의 양은 꾸준히 감소했다. 2018~2019 회계 연도와 2019~2020 회계 연도의 평균 강수량은 두 기간 모두에서 350밀리미터를 약간 밑돌았다.
TEST1강 9번
Zhang Heng was born in Henan, China in 78 CE. In his youth, he traveled to Chang'an and Luoyang to receive his education. Zhang Heng showed an early aptitude for literary pursuits and achieved fame for his poetry in his 20s. His work To Live in Seclusion is considered a masterpiece of the late Han dynasty. While most educated young men in China at the time sought to obtain government posts, Zhang Heng spent many years learning mathematics and astronomy instead. His accomplishments in these fields are extremely noteworthy and rival his literary fame. He was able to create an accurate chart of the stars, which assisted in keeping the imperial calendar accurate. He also invented a flying machine, which was able to leave the ground, though only for a few moments. In 132, he invented the first seismograph, which traced the direction of earthquakes and their seismic waves. It was only later in his life that Zhang Heng held a series of important government positions in the capital and remote regions, beginning in 116 and continuing until his death.
Zhang Heng(장형)은 중국 Henan(허난)에서 서기 78년에 태어났다. 어린 시절에 그는 교육을 받기 위해 Chang'an(장안)과 Luoyang(낙양)으로 갔다. Zhang Heng은 문학 활동에 일찍이 소질을 보였고 20대에 시로 명성을 얻었다. 그의 작품 To Live in Seclusion(귀전부)은 한 왕조 후기의 걸작으로 여겨진다. 당시 중국에서 대부분의 교육받은 젊은이들이 관직을 얻기 위해 노력했지만 Zhang Heng은 대신 수학과 천문학을 배우며 여러 해를 보냈다. 이들 분야에서의 그의 업적은 매우 주목할 만하고 그의 문학적 명성에 필적한다. 그는 정확한 성도(星圖)를 만들 수 있었는데, 그것은 황실의 달력을 정확하게 유지하는 데 도움이 되었다. 그는 또한 비행 장치를 발명했는데, 그것은 비록 잠깐 동안이었지만 이륙할 수 있었다. 132년에 그는 최초의 지진계를 발명했는데, 그것은 지진의 방향과 지진파를 추적할 수 있었다. 말년이 되어서야 비로소 Zhang Heng은 116년부터 죽을 때까지 계속 수도와 외진 지역에서 일련의 중요한 관직을 맡았다.
TEST1강 12번
When we are young, we see our parents as people who always know the answers. That's probably why as soon as we can think independently, around the ages of 4-5, we start asking a lot of questions. Parents try to answer these questions in a way that a young mind can comprehend. However, when it comes to learning lessons about money, our parents' answers to these questions get written into a money blueprint. Even worse, a passing comment about money in the kitchen or at the dinner table can have a lasting effect. For example, a common phrase used by parents in response to a child's request for something is "No, we can't afford that." Think for a moment about how a young mind might interpret that. The message could be interpreted as "we don't have enough money" or "there isn't enough money." These beliefs about money can lead to an entire life designed around making sure there is always enough money through an obsession around work. It could lead to someone feeling deprived and a propensity for overspending in adulthood to avoid the feeling of deprivation.
어릴 때, 우리는 부모를 항상 정답을 아는 사람으로 생각한다. 아마도 그것이 우리가 4~5세 무렵에 독립적으로 생각할 수 있게 되면 곧 많은 질문을 하기 시작하는 이유일 것이다. 부모는 이러한 질문에 대해 어린 아이가 이해할 수 있는 방식으로 답하려고 노력한다. 하지만 돈에 대한 교훈을 얻는 것에 관한 한, 이러한 질문에 대한 우리 부모의 대답은 돈의 청사진에 기록된다. 설상가상으로, 부엌이나 저녁 식탁에서 이루어지는 돈에 관한 지나가는 말이 지속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언가에 대한 아이의 요구에 대응하여 부모가 흔히 사용하는 구절은 "안 돼, 우리는 그럴 여유가 없다."이다. 어린아이가 그것을 어떻게 해석할지 잠시 생각해 보라. 그 메시지는 "우리는 돈이 충분치 않다." 또는 "충분한 돈이 없다."로 해석될 수 있다. 돈에 관한 이러한 믿음은 일에 대한 집착을 통해 반드시 돈이 항상 충분히 있게 하는 것을 중심으로 설계된 평생의 삶으로 이어질 수 있다. 그것은 누군가가 박탈감을 느끼고 그 박탈감을 피하기 위해 성인이 되었을 때 과소비를 하는 경항을 초래할 수 있다.
TEST1강 13번
The idea that zebra stripes work to confuse predators while the zebra is in motion is a relatively early theory. This is a plausible possibility; zebras have the high-contrast patterning generally thought to promote dazzle effects, and as herd animals they might benefit from an interaction between dazzle effects and confusion effects created when targeting individuals in groups. They also have visually oriented lions and hyenas as their main predators, and as large animals that live in the open, they might find camouflaging via other mechanisms difficult. The motion dazzle hypothesis has been studied in zebras by modelling the motion signals created by moving zebra stripes. This analysis shows that zebra stripes create strong motion signals in directions other than the true direction of movement, supporting the hypothesis that zebra stripes make movement processing difficult. While most recent work focuses on whether zebra stripes function as protection against biting insects rather than mammalian carnivores, this idea is not necessarily mutually exclusive with the dazzle hypothesis. Rather than (or in addition to) lions and hyenas, stripes may target the motion processing of much smaller but no less fitness-reducing flies instead.
얼룩말이 움직이는 동안 얼룩말 줄무늬가 작용하여 포식자를 혼란스럽게 한다는 생각은 비교적 초기 이론이다. 이것은 그럴듯한 가능성인데, 왜냐하면 얼룩말은 일반적으로 현혹 효과를 촉진하는 것으로 생각되는 고대비 무늬를 가지고 있으며, 무리 동물로서 그들은 집단 속의 개체를 표적으로 삼을 때 생성되는 현혹 효과와 혼란 효과의 상호 작용으로부터 이익을 얻을 수도 있기 때문이다. 그들은 또한 시각 위주의 사자와 하이에나를 자신들의 주요 포식자로 가지고 있는데, 야외에 사는 대형 동물로서 다른 방법을 통한 위장이 어렵다는 것을 알고 있을지도 모른다. 움직임 현혹 가설은 움직이는 얼룩말 줄무늬에 의해 생성되는 움직임 신호의 모형을 만들어 얼룩말에서 연구되었다. 이 분석은 얼룩말 줄무늬가 실제 이동 방향이 아닌 방향으로 강한 움직임 신호를 생성한다는 것을 보여 주고, 이는 얼룩말 줄무늬가 이동 정보 처리를 어렵게 만든다는 가설을 뒷받침한다. 아주 최근의 연구는 얼룩말 줄무늬가 포유류 육식 동물보다 무는 곤충에 대한 보호 기능을 하는지 여부에 초점을 맞추지만, 이 견해가 현혹 가설과 반드시 상호 배타적인 것은 아니다. 줄무늬는 사자와 하이에나보다는 (혹은 사자와 하이에나뿐만 아니라), 대신 훨씬 더 작지만 못지않게 적응도를 감소시키는 파리의 움직임 정보 처리를 겨냥할 수도 있다.
TEST1강 14번
It is interesting to reflect on the possible connection between increasing individualism and rising mental ill-health. This is discussed at length in Oliver James's book Afjluenza, in which he points out that the United States, the world's most individualist society, is also on the top of the league for mental disorders (as recorded by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s World Mental Health Survey). Several other countries that rate highly on individualism also figure highly in this league table. Comparing just 14 countries, including New Zealand (2nd), France (4th) and the Netherlands (7th), James defines 'affluenza' as 'the placing of a high value on money, possessions, appearances (physical and social) and fame', and he attributes this to what he calls 'selfish capitalism'. It could certainly be argued that the relative importance attached to materialistic factors related to self-esteem are particularly important in cultures where 'selfish capitalism' is strong.
증가하는 개인주의와 늘어나는 정신 질환 사이에 있을 수도 있는 연관성에 관해 생각해 보는 것은 흥미롭다. 이는 Oliver James의 저서 Affluenza에서 상세히 다루어지는데, 여기에서 그는 세계에서 가장 개인주의적인 사회인 미국이 (세계보건기구의 세계정신건강조사에 의해 기록된 바와 같이) 정신 질환의 범주에서도 최고라는 점을 지적한다. 개인주의가 높다고 평가되는 몇몇 다른 나라들 또한 이 비교 일람표에서 높게 나타난다. 뉴질랜드(2위), 프랑스(4위), 그리고 네덜란드(7위)를 포함하여 정확히 14개국을 비교해 본 뒤에, James는 '부자병'을 '돈, 소유물, (신체적, 사회적) 외양과 평판에 높은 가치를 두는 것'으로 정의하며, 이것을 자신이 '이기적 자본주의'라고 부르는 것 때문으로 여긴다. '이기적 자본주의'가 강한 문화에서는 자존감과 관련된 물질적 요소에 부여되는 상대적 중요성이 특히 중요하다고 확실히 주장할 수 있을 것이다.
TEST1강 15번
Sensors are opening vast new windows on the cosmos. Thanks to the constant advance of sensors and effectors in the form of adaptive optics, discovery of extrasolar planets moved from science fiction to commonplace with breathtaking speed. In the near future, sensor advances will allow us to analyze exoplanetary atmospheres and look for signatures of civilization. The same trends will open new horizons for amateur astronomers, who will soon enjoy affordable technical means to match the Kepler space telescope in planet-finding skills. Sensors are thus as much about democratizing amateur science as the creation of ever more powerful instruments. The Kepler satellite imaged a field of 115', or a mere 0.25 percent of the sky. Planet-finding amateurs using digitally empowered backyard scopes could put a serious dent in the 99.75 percent of the sky yet to be examined.
센서는 우주를 이해할 방대한 새로운 창을 열고 있다. 적응 제어 광학의 형태로 센서와 이펙터가 지속적으로 발전한 덕분에 태양계 밖에 있는 행성의 발견은 놀라운 속도로 공상 과학 소설에서 흔히 있는 일로 이동했다. 가까운 미래에 센서의 발전으로 우리는 태양계 밖에 있는 행성의 대기를 분석하고 문명의 표시를 찾을 수 있을 것이다. 동일한 추세가 아마추어 천문학자들에게 새로운 지평을 열어 줄 것인데, 이들은 곧 행성을 찾는 기량에서 '케플러' 우주 망원경에 필적할 만한 적당한 가격의 기술적 수단을 누리게 될 것이다. 따라서 센서는 더욱더 강력한 도구를 만드는 것만큼이나 아마추어 과학을 대중화하는 것과 관련이 있다. '케플러' 위성은 115'의 시계, 즉 단지 하늘의 0.25퍼센트의 이미지를 촬영했다. 디지털 방식으로 작동되는 뒷마당의 관찰용 기구[망원경]를 사용하여 행성을 찾는 아마추어들은 아직 조사되지 않은 하늘의 99.75퍼센트에서 큰 진척을 이루어 낼 수 있을 것이다.
TEST1강 16번
Basic manners fit into the category of fundamentally important social phenomena we tend to overlook. When I moved to Vancouver from California, one of the first things that struck me was that the natives, when exiting public buses through the back door, always shouted out a loud and cheerful Thank you! to the bus driver. It initially struck me as a bit excessive, but I've since come to see it not only as an expression of a fundamentally more pleasant populace but also as a ritual that probably helps to create more pleasant people. The bus driver, whether she realizes it or not, feels better having been thanked; she is now more inclined to drive courteously, or to remain at the stop that extra second to allow someone running late to hop on the bus. This behavior ripples out across my rainy city in subtle waves, inclining people toward virtue like wind blowing over the grass.
기본 예절은 우리가 간과하는 경향이 있는 근본적으로 중요한 사회 현상의 범주에 꼭 들어맞는다. 내가 캘리포니아에서 밴쿠버로 이사했을 때 가장 먼저 나에게 특별한 인상을 준 것 중 하나는 그곳 주민들이 뒷문으로 공공 버스에서 내릴 때 버스 기사에게 항상 크고 쾌활하게 '감사합니다!'라고 외친 것이었다. 처음에는 다소 과하다는 느낌이 들었지만, 그 이후로 나는 그것을 근본적으로 더 유쾌한 주민들의 말투일 뿐만 아니라 아마도 더 즐거운 사람들을 만들어 내는 데 도움이 되는 의식으로도 보게 되었다. 버스 기사는, 그녀가 깨닫든 그렇지 않든, 감사를 받아 더 기분이 좋아서, 이제 친절하게 운전하거나 늦게 도착하는 사람이 버스에 탈 수 있도록 조금 더 정류창에 머무르고 싶어 하는 생각이 더 든다. 이 행동은 비가 많이 오는 우리 도시 전역에 미묘한 파장으로 파문처럼 퍼져서, 바람이 풀 위로 불어가는 것처럼 사람들의 마음을 선으로 기울게 한다.
TEST1강 17번
It matters to us how things are. But how things are not can be equally important. It matters when something you want is not there. In a variety of circumstances, it matters that a drink is sugar-free. A migraine sufferer might want any pudding as long as it is not chocolate. Anyone with an allergy or intolerance will have a similar type of negative preference. It could matter to someone that a particular train does not stop in Wakefield, if they were planning to get off there. Bereavement matters too. When a loved one is no longer around, the feeling of their absence is profound. Some fear their own non-existence more than anything else. In other cases, things not being a certain way can be entirely mundane. Someone might regret not being six-feet tall or not being a better chess player. But some cases of what is not are of great, even cosmic importance. It matters enormously that the planet Earth is not closer to the sun than it is. It is likely that there would be no human life on the planet if it were.
상황이 어떠한지는 우리에게 중요하다. 하지만 상황이 어떠하지 않은지도 똑같이 중요할 수 있다. 여러분이 원하는 것이 거기에 있지 않을 때, 그것은 중요하다. 여러 상황에서 음료에 설탕이 들어 있지 않다는 것은 중요하다. 편두통 환자는 초콜릿이 아니기만 하면 아무 푸딩이라도 원할지 모른다. 알레르기나 과민증이 있는 사람은 비슷한 종류의 부정의 선호를 갖고 있을 것이다. 누군가에게는 특정한 기차가 Wakefield에서 서지 않는 것이, 그 사람이 거기서 내릴 계획을 하고 있다면 중요할 수 있다. 사별 또한 중요하다. 사랑하는 사람이 더는 존재하지 않을 때, 그 사람의 부재에 대한 느낌은 엄청나다. 어떤 사람은 그 밖의 어떤 것보다 더 자기 자신이 존재하지 않는 것을 두려워한다. 다른 경우에는, 상황이 특정한 방식이 아닌 것이 완전히 평범할 수 있다. 누군가는 키가 육 피트가 안 되는 것이나 더 나은 체스 플레이어가 아닌 것을 유감으로 여길 수 있다. 하지만 그렇지 않은 것의 몇몇 경우는 대단히 심지어 어마어마하게 중요하다. 지구 행성이 현재 (실제로) 그러한 것보다 태양에 더 가깝지 않은 것은 엄청나게 중요하다. 만일 그렇다면[더 가깝다면], 지구에는 어떤 인간 생명체도 없게될 것 같다.
TEST1강 18번
'Mindreading' refers to the cognitive ability to attribute psychological states to other people. It is distinct from 'social cognition' which has the broader referent base of 'the cognitive structures that facilitate our ability to navigate the social world'. Social cognition is a broader category than mindreading because it is possible to successfully interact with other people without attributing psychological states to them. One might have a perfectly successful social interaction with another by responding to their behaviours, without giving any thought to the psychological states that caused them. Alternatively, one might anticipate the behaviours of another person based on social protocols about how one ought to behave in a particular situation, for example, at a pedestrian crossing or waiting in line to get on a bus. Such social protocols extend to how we expect people in different roles to behave, for example, the behaviours we expect of a bus driver and a fellow passenger. These are all instances of interacting with others which do not obviously involve reasoning about their psychological states.
'마음 읽기'는 심리 상태가 다른 사람에게 있다고 생각하는[다른 사람의 심리 상태를 파악하는] 인지 능력을 일컫는다. 그것은 '사회 인지'와는 뚜렷이 다른데, 사회 인지는 '우리가 사회적 세상을 항해하는 것을 용이하게 하는 인지 구조'라는 더 넓은 지시 대상 기반을 가지고 있다. 사회 인지는 마음 읽기보다 더 넓은 범주인데, 심리 상태가 다른 사람들에게 있다고 생각하지 않고 그들과 성공적으로 상호 작용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우리는 다른 사람의 행동을 일으킨 심리 상태를 전혀 생각하지 않고 그 사람의 행동에 반응함으로써 그 사람과 완전히 성공적인 사회적 상호 작용을 할 수도 있을 것이다. 그 대신에, 우리가 특정 상황에서, 예를 들어 횡단보도에서나 버스를 타기 위해 줄을 서서 기다릴 때, 어떻게 행동해야 하는지에 대한 사회적 관습을 토대로, 우리는 다른 사람의 행동을 예상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러한 사회적 관습은 서로 다른 역할을 하는 사람들이 어떻게 행동하리라고 우리가 기대하느냐에까지, 예를 들어 버스 운전사와 동승객에게 우리가 기대하는 행동에까지 확장된다. 이것들은 모두, 명백히 다른 사람들의 심리적 상태에 대한 추론을 수반하지 않는, 다른 사람들과 상호 작용하는 사례들이다.
TEST1강 19번
The problem of free will has real-world implications for our self-understanding, our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our moral and legal practices. The assumption that we have free will lurks behind the justification of many of our everyday attitudes and judgments. For instance, when someone morally wrongs us, not only do we experience resentment and moral anger; we typically feel that we are justified in doing so, since we assume that, absent any excusing conditions, people are free and morally responsible for what they do and are therefore appropriate targets for such responses. We also typically assume that when individuals "act of their own free will," they justly deserve to be praised and blamed, punished and rewarded for their actions since they are morally responsible for what they do. Similar assumptions are made in the criminal law. The US Supreme Court, for instance, has asserted: "A 'universal and persistent' foundation stone in our system of law, and particularly in our approach to punishment, sentencing, and incarceration, is the 'belief in freedom of the human will and a consequent ability and duty of the normal individual to choose between good and evil.'"
자유 의지의 문제는 우리의 자기 이해, 우리의 대인 관계, 그리고 도덕적 법적 관행에 현실적인 영향을 미친다. 우리가 자유 의지를 갖고 있다고 상정하는 것은 우리의 많은 일상적 태도와 판단에 대한 정당화 뒤에 잠재해 있다. 예를 들어, 누군가 우리를 도덕적으로 부당하게 취급할 때, 우리는 분개와 도덕적 분노를 경험할 뿐만 아니라 우리가 그렇게 할 때 '정당화된다'고 보통 느끼는데, 왜냐하면 우리는 변명이 되는 어떤 여건도 없을 때, 사람들이 자유롭고 자신이 하는 일에 도덕적으로 책임이 있으며, 그러므로 그런 반응의 적절한 대상이라고 상정하기 때문이다. 우리는 또한 개인들이 '자기 자신의 자유 의지에 따라 행동할' 때, 자신이 하는 일에 대해 도덕적으로 책임이 있으므로, 자기 행동에 대해 칭찬과 비난, 처벌과 보상을 '마땅히 받을 만하다'고 보통 상정한다. 비슷한 상정이 형사법에서 이뤄진다. 예를 들어, 미국 연방 대법원은 "우리 법체계에서, 그리고 특히 형벌, 선고, 감금에 대한 우리의 접근에서, '보편적이고 지속적인' 토대는 '인간 의지의 자유가 있고 그에따라 평범한 개인에게 선과 악 중에서 선택할 능력과 의무가 있다는 믿음'이다"라고 단언했다.
TEST1강 20번
An aeronautical engineer who sets about the task of developing a new airplane will start by performing theoretical analyses involving thrust, lift, and drag. Next, she will build models and run experiments. And most important, as the plane is built, its components will be assembled, adjusted, and tested while the plane is safely on the ground. Evolution has no such luxury. As a species evolves it always has to be done "in flight." Every sequential modification has to be fully functional and competitive. The neuroscientist David Linden has described the human brain as the progressive accumulation of evolutionary kludges, or quick-and-dirty fixes. During brain evolution, new structures were placed on top of the older functional structures, leading to redundancy, waste of resources, unnecessary complexity, and sometimes competing solutions to the same problem. Furthermore, as new computational requirements emerged, they had to be implemented with the current hardware. There is no switching from analog to digital along the way.
새로운 비행기를 개발하는 일을 시작하는 항공 엔지니어는 추진력, 양력, 항력을 포함한 이론적 분석을 수행함으로써 시작할 것이다. 다음으로 그녀는 모형을 만들고 실험을 할 것이다. 그리고 가장 중요한 것으로서, 비행기가 만들어질 때 그것의 부품이 비행기가 안전하게 땅에 있는 동안 조립되고, 조정되고, 테스트될 것이다. 진화에는 그런 호사가 없다. 종이 진화할 때 그것은 항상 '비행 중에' 행해져야 한다. 모든 순차적인 변이는 충분히 기능적이고 경쟁력이 있어야 한다. 신경 과학자 David Linden은 인간의 뇌를 진화적 클루지, 즉 임시변통의 해결책이 점진적으로 축적된 것으로 묘사했다. 두뇌가 진화하는 동안 새로운 구조물이 더 오래된 기능적 구조물 위에 놓여 불필요한 중복, 자원의 낭비, 불필요한 복잡성, 그리고 때로는 같은 문제에 대한 대립되는 해결책을 가져왔다. 게다가 새로운 계산상의 필요가 생겼을 때 그것들은 현재의 하드웨어를 가지고 실행되어야 했다. 그 과정에서 아날로그에서 디지털로 바뀌는 것은 불가능하다.
TEST1강 21번
Self-presentation and/or impression management have been long identified as motivators for SNS use. Specific to image sharing, Facebook users choose certain profile pictures to portray themselves as attractive or fun-loving, as popular, or to show their relationship status, which aim to create a particular image of the individual and to shape others' impressions of them. Instagram users also report posting images to express themselves or present a particular image to others. In line with this, Facebook users also report untagging themselves from images posted by others if those photos are unattractive or portray them doing something they don't want others to know about. However, this is not to say that Facebook identities are completely divorced from who the person is offline. Researchers compared self-ratings of individuals' actual personality and their idealized self with ratings made by observers of their Facebook profile. Observer ratings corresponded more closely with actual personality than idealized personality, suggesting that although people can use social media to influence others' perceptions of them, the images presented are not wildly different from their actual selves.
자기표현 그리고/또는 인상 관리는 SNS 사용의 동기를 부여하는 것으로 오랫동안 인정되어 왔다. 이미지 공유와 관련하여 Facebook 사용자는 자신을 매력적이거나 재미를 추구하는 사람으로, 혹은 인기 있는 사람으로 나타내거나 자신의 관계 상태를 보여 주기 위해 특정 프로필 사진을 선택하는데, 이는 개인의 특정 이미지를 만들고 자신에 대한 다른 사람들의 인상을 형성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Instagram 사용자도 자신을 표현하거나 특정 이미지를 다른 사람에게 보여 주기 위해 이미지를 게시한다고 말한다. 이와 비슷하게 Facebook 사용자는 또한 다른 사람들에 의해 게시된 사진들이 매력적이지 않거나 다른 사람들이 알기를 원하지 않는 것을 자신이 하고 있는 것을 나타내는 경우 그 이미지들로부터 자신의 태그를 해제한다고 말한다. 하지만 이것이 Facebook의 정체성이 오프라인에서 그 사람의 모습과 완전히 동떨어져 있다는 의미는 아니다. 연구자들은 개인의 실제 개성과 이상화된 자아에 대한 자체 평가를 그들의 Facebook 프로필의 관찰자들이 한 평가와 비교했다. 관찰자 평가는 이상화된 개성보다 실제 개성과 더 밀접하게 일치하였는데, 이는 사람들이 자신들에 대한 다른 사람들의 인식에 영향을 주기 위해 소셜 미디어를 사용할 수 있지만, 제시된 이미지가 실제 자신과 크게 다르지 않음을 시사한다.
TEST1강 22번
Researchers like Blau, Scott, and Evan acknowledge that the concept of organization set was developed by analogy from Robert K. Merton's concept of role set. Merton noted that a single position such as "mother" is associated with not one, but a cluster of different roles depending on the identity of the counterpositions. Thus, a mother has specific role obligations toward her children, others toward the father, still others toward the child's teachers, and so on. Similarly, a given organization participates in a variety of relations depending on the identity of its specific partners and competitors. For example, a small grocery store will relate in one manner with its suppliers, another with its customers, yet another with city officials, and so on. The fundamental idea is a simple one, but its implications are quite rich. One is led to ask questions regarding, for example, the relative size of the organization set, the extent to which one group of role partners is aware of the demands made by another, and the extent to which expectations held by partners coincide.
Blau, Scott, 그리고 Evan과 같은 연구자는 조직 집합이라는 개념이 Robert K. Merton의 역할 군이라는 개념에서 유추되어 개발되었다는 것을 인정한다. Merton은 '어머니'와 같은 단일 지위는 하나가 아니라, 상대 지위의 정체성에 따라 다양한 역할 군과 연관된다는 점에 주목했다. 따라서, 어머니에게는 자녀에 대한 구체적인 역할 의무가 있고, 아버지에 대해서는 다른 역할 의무가 있으며, 그리고 아이의 선생님에 대해서는 또 다른 역할 의무가 있다는 것 기타 등등이다. 마찬가지로, 특정 조직도 특정 파트너와 경쟁자의 정체성에 따라 다양한 관계에 참여한다. 예를 들어, 작은 식료품점은 공급자와 어느 한 방식으로, 고객들과는 다른 방식으로, 그리고 시 공무원과는 또 다른 방식으로 관계를 맺게 될 것이고, 기타 등등이다. 근본적인 개념은 간단한 것이지만, 그것이 미치는 영향은 상당히 다채롭다. 사람은 예를 들어 조직 집합의 상대적 규모, 한 역할 파트너 그룹이 다른 그룹의 요구를 인지하고 있는 정도, 그리고 파트너가 가지고 있는 기대치가 부합하는 정도에 관한 질문을 하게 된다.
TEST1강 23번
There are arguments about why faith in 'more education' might be misplaced. The entrepreneur Peter Thiel offers the most provocative version of that case. He claims that higher education is a 'bubble', arguing that it is 'overpriced' because people do not get 'their money's worth' but go to college 'simply because that's what everybody's doing'. Thiel does not deny that those who are better educated tend to earn more on average. Instead, he is suspicious that we never get to see the counterfactual: how these students would have done without their education. His sense is that many of them would have earned just as much, and that universities are 'just good at identifying talented people rather than adding value'. Thiel now offers $100,000 grants to young students who choose to 'skip or stop out of college' to start companies instead. The Thiel Foundation, which manages the grants, points out that its recipients have started sixty companies worth a combined total of over $1.1 billion.
왜 '더 많은 교육'에 대한 믿음이 부적절할 수도 있을지에 대한 논쟁이 있다. 기업가 Peter Thiel은 그 사례의 가장 도발적인 견해를 제시한다. 그는 고등 교육은 '거품'이라고 주장하며, 사람들이 '자신들의 돈의 가치를 얻지 못하면서도 '단순히 모두가 그렇게 하고 있기 때문에' 대학에 가는 것이므로 그것은 '너무 비싸다'는 논지를 핀다. Thiel은 더 나은 교육을 받은 사람들이 평균적으로 더 많이 버는 경향이 있다는 것을 부인하지 않는다. 대신에, 그는 우리가 이 학생들이 교육이 없었다면 어떻게 했을지와 같은 사실과 반대되는 것을 보는 기회를 결코 갖지 못하는 것이 아닐까 하고 생각한다. 그의 판단은 그들 중 많은 이들이 그만큼의 돈을 벌었을 것이고, 대학은 '가치를 더하기보다는 인재를 가려내는 데 능숙할 뿐'이라는 것이다. Thiel은 이제 '대학을 건너뛰거나 중퇴하고' 대신에 회사를 설립하기로 선택한 어린 학생들에게 10만 달러의 보조금을 제공한다. 보조금을 관리하는 Thiel 재단은 수령자들이 모두 합해 총 11억 달러 이상의 가치가 있는 60개의 회사를 시작했음을 지적한다.
TEST1강 24~25번
To illustrate the connection between thought and feeling, consider a soft drink dispenser in a self-service restaurant. Our particular model has a row of labeled buttons at the top and spouts underneath that dispense the desired beverage if the corresponding button is pushed. In our case, the buttons represent our interpretations ― Wrong, Unfortunate, Terrible, Right and Shameful (or "I am wrong"). Should I, in any given situation, arrive at the interpretation that something is wrong and consequently push the soda fountain button for "I am wrong," then the machine would ideally dispense the corresponding beverage, namely anger. As long as I have awareness of pushing a certain button, the buttons are labeled correctly and they are properly connected to the corresponding beverage container, the machine will function without a hitch. Unfortunately, most of us are unaware of the connections between interpretations on the mental level and our corresponding reactions on the emotional level, however. Because of this, we often behave like people who continuously push buttons on a soda machine and watch in desperation as the cup overflows. We do not notice that we are pushing the button since we are completely unaware of its existence. We are oblivious to the fact that a particular interpretation is made before anger, for example, arises in our system ― namely, "This is wrong." When we become aware of this interpretation, it is like suddenly watching our own thumb continuously push the soda button despite the fact that we have already filled up our cup or would actually prefer lemonade or water instead.
생각과 느낌 사이의 연관성을 설명하기 위해, 셀프서비스 식당의 청량음료 자판기를 생각해 보자. 우리의 특정 모델은 꼭대기에 라벨이 부착된 일련의 버튼이 있고, 아래에는 해당 버튼을 누르면 원하는 음료를 내놓는 주둥이가 있다. 우리의 경우 그 버튼이 '틀렸다, 불행하다, 끔찍하다, 옳다, 부끄럽다(혹은 "내가 틀렸다")와 같은 우리의 해석을 나타낸다. 만약 내가, 어떤 특정한 상황에서, 무언가가 잘못되었다는 해석에 도달해서 결과적으로 "내가 틀렸다"는 탄산음료가 나오는 버튼을 누르면, 그 기계는 그에 해당하는 음료, 즉 분노를 완벽하게 내놓을 것이다. 내가 특정 버튼을 누르는 것에 대한 의식이 있고, 버튼에 표시가 올바르게 붙어 있고, 그것들이 해당 음료수 통에 적절하게 연결되어 있기만 하면, 그 기계는 문제없이 작동할 것이다. 하지만 불행히도, 우리들 대부분은 정신적인 관점에서의 해석과 감정적인 관점에서의 그에 해당하는 반응 사이의 연관성에 대해 알지 못한다. 이것 때문에, 우리는 자주 탄산음료 기계의 버튼을 계속해서 누르고 컵이 넘쳐 날 때 절망적으로 지켜보는 사람처럼 행동한다. 우리는 버튼의 존재를 전혀 모르기 때문에 우리가 그것을 누르고 있다는 것을 알아차리지 못한다. 우리는 예를 들어 분노가 우리 시스템에서 발생하기 전에 특정한 해석, 즉 "이것은 잘못된 것이다."라는 사실을 알아차리지 못한다. 우리가 이 해석을 알게 되었을 때, 그것은 우리가 이미 잔을 채웠거나 실제로는 그 대신에 레모네이드나 물을 더 선호하리라는 사실에도 불구하고 갑자기 우리 엄지손가락이 계속해서 탄산음료 버튼을 누르는 것을 보는 것과 같다.
TEST1강 26~28번
I was once sitting in Ben Gurion Airport, waiting for my flight to be announced. Suddenly I heard a strange, almost animal-like noise. I looked around and realized that a woman sitting a few rows in front of me was weeping loudly. I was a little thrown and did not know what to do. Should I allow her privacy? Should I approach her? My heart went out to her crying alone in an airport. An older woman, who had also noticed her, went up to her and said something, but then moved away again and I guessed that she had refused an offer of help. She continued with her aching crying, and I continued to wonder if I should do something nonetheless. Eventually I took my courage and went over. Rather than asking if everything was OK, which would probably have elicited a polite rebuttal as in the case of the other woman, I sat down next to her and said, "I don't want to bother you, but I couldn't help noticing that you are in distress." I guess she saw the genuine empathy in my eyes, as she proceeded to pour out her story. Her sister, who was relatively young, had just lost her husband, and this woman had spent the week being the rock upon which her sister could lean. Only now that she was leaving did she allow the flood of grief for her sister to deluge her, to the point where she abandoned her inhibitions and cried her heart out in such a public place. She spoke to me for just a few minutes, but I sensed that she parted from me a little comforted; for somebody else had just for a moment reached out to her and provided a shoulder for her to cry on, in a reversal of her usual role. I am often afraid of rejection and assume that no one would want me specifically to comfort them. But it's not true ― where there is real emotion, there can never be enough warm hands to hold, empathetic eyes to reflect the pain, and shoulders to cry on.
언젠가 나는 Ben Gurion 공항에 앉아서 내 비행편이 방송으로 공지되기를 기다리고 있었다. 갑자기 나는 이상한, 거의 동물과 같은 소리를 들었다. 주위를 둘러보았고 몇 줄 내 앞에 앉아 있던 여자가 큰 소리로 울고 있는 것을 알아차렸다. 나는 약간 충격을 받아서 어떻게 해야할지 몰랐다. 그녀의 사생활을 인정해야 하나? 내가 그녀에게 다가가야 하나? 나의 마음은 공항에서 혼자 울고 있는 그녀에게로 향했다. 역시 그녀를 인지한 한 나이 든 여자가 그녀에게 다가가서 무엇인가를 말했으나, 그러고 나서 물러났는데, 나는 그녀가 도와주겠다는 제의를 거절했다고 추측했다. 그녀는 마음 아픈 울음을 계속했고, 그럼에도 나는 내가 무엇인가를 해 주어야 하는 게 아닐까 계속 생각했다. 결국 나는 용기를 내어 다가갔다. 모든 것이 괜찮은지 묻기보다는, 그랬으면 아마 그 다른 여성의 경우처럼 정중한 항변을 끌어냈을 것인데, 나는 그녀 옆에 앉아서 "당신을 성가시게 하고 싶지는 않지만, 저는 당신이 비탄에 빠져 있다는 것을 눈치챌 수밖에 없었어요."라고 말했다. 그녀가 이어서 자신의 이야기를 쏟아 내기 시작했기에, 나는 그녀가 내 눈에서 진정한 공감을 보았다고 생각한다. 비교적 어렸던 그녀의 여동생이 자신의 남편을 잃은 지 얼마 되지 않았고, 이 여자는 자신의 여동생이 기댈 수 있는 바위가 되어 주며 그 주를 보냈었다. 그녀는 떠나는 지금에서야, 그런 공공장소에서 억제하지 못하고 가슴이 미어지게 소리 내어 울 정도로, 여동생에 대한 슬픔의 홍수가 밀려들도록 두었던 것이었다. 그녀는 단지 몇 분 동안 나에게 말을 했지만, 나는 그녀가 조금 위안을 받고 나와 헤어진다고 느꼈는데, 왜냐하면 다른 누군가가 그녀에게 아주 잠깐이라도 관심을 보이고 그녀의 평소 역할과는 반대로 그녀가 기대어 울 수 있는 어깨를 제공했기 때문이었다. 나는 자주 거절(받는 것)을 두려워하고 아무도 내가 그들을 특별히 위로하기를 원하지 않을 것이라고 추정한다. 하지만 그것은 사실이 아닌데, 진실한 감정이 있는 곳에서, 잡을 수 있는 따뜻한 손, 고통을 비추는 공감하는 눈, 그리고 기대어 울 수 있는 어깨는 아무리 충분해도 지나치지 않은 것이다.
TEST2강 1번
Dear river lovers, Do you enjoy water activities on rivers? With the year coming to a close, make 2024 your year to leave the ordinary behind and venture into extraordinary adventures. Enter the 2024 River Lottery for the chance to be awarded river permits for access to rafting, kayaking, and paddling on some of the most scenic and exciting waterways in the country. The permit lottery process is used for popular destinations and activities. It helps manage the large volume of interest and ensures an enhanced experience on the river. You can submit your application through the Lotteries page on our website or through the "Lotteries" section in the publicwaters.net mobile app.
하천을 사랑하는 분들께, 하천에서의 수상 활동을 즐기시나요? 한 해가 마무리되어 가는데, 2024년을 여러분의 해로 만들어 일상의 것은 뒤로하고 특별한 모험을 감행하세요. 국내에서 가장 경치가 좋고 흥미진진한 몇몇 물길에서의 래프팅과 카야킹과 패들링 이용을 위한 하천 허가증을 받을 기회를 위해 '2024년 하천 추첨'에 참여하세요. 인기 있는 여행지와 활동에는 허가증 추첨 과정이 사용됩니다. 그것은 많은 관심을 다루는 데 도움을 주고, 하천에서의 더 나은 경험을 보장합니다. 저희 웹 사이트의 추첨 페이지를 통해서나 publicwaters.net 이동 전화 앱의 '추첨' 부문을 통해 여러분의 신청서를 제출하실 수 있습니다.
TEST2강 2번
I pitched my tent in the dark and the pouring rain, hoping I'd scrambled far enough up the slope to be out of the range of flash floods. Crawling inside was like entering a washing machine on spin cycle ― wind dashed against the wet fabric inches from my up-turned face, spraying me with a fine mist. As my sleeping bag slowly soaked through, tiredness slowly overcame me. As my eyelids began to feel heavy, I began to second-guess my choice of activities for the spring break holiday. I could have joined friends on a fishing trip, partaking in the sort of beery camaraderie that is more or less expected of college students during the final term of their final year. Instead, I decided at the last minute to throw my camping gear into a backpack, and head out to explore a remote corner of the Southern California desert. It never occurred to me to prepare for a storm!
나는 갑작스러운 홍수의 범위를 벗어날 만큼 충분히 멀리 비탈을 기어 올랐기를 바라면서 어둠 속에서 마구 쏟아지는 빗속에서 텐트를 쳤다. 안으로 기어들어 가는 것은 탈수 사이클에 맞춰진 세탁기에 들어가는 것과 비슷해, 바람이 위쪽을 향한 내 얼굴에서 몇 인치 떨어진 젖은 직물에 세게 부딪히며, 나에게 미세한 안개를 뿌렸다. 내 침낭이 천천히 완전히 젖으면서, 피로가 천천히 나를 압도하였다. 내 눈꺼풀이 무겁게 느껴지기 시작했을 때, 나는 봄 방학 휴일을 위한 나의 활동 선택을 비판하기 시작했다. 나는 낚시 여행에 친구들과 함께하여 대학생들에게 마지막 학년의 마지막 학기 동안 대체로 기대되는 맥주에 취한 우정 같은 그런 종류의 것에 참여할 수도 있었을 것이다. 대신에 나는 마지막 순간에, 캠핑 장비를 배낭에 던져 넣고 남부 캘리포니아 사막의 외딴곳을 탐험하기 위해 출발하기로 결심했다. 폭풍우에 대비하는 것은 나에게 전혀 떠오르지 않았다!
TEST2강 3번
You help other people understand you by creating a secure arena for communication ― on their terms. Then the listener can use his energy to understand rather than to consciously or unconsciously react to your manner of communicating. All of us need to develop our flexibility and so be able to vary our style of communication, adapting it when we speak to people who are different from us. Here we find another truth: No matter what method you choose to communicate with, as an individual, you will always be in the minority. No matter what kind of behavior you have, the majority of people around you will function differently from you. You can't just base your method of communication on your own preferences. Flexibility and the ability to interpret other people's needs is what characterizes a good communicator. Knowing and understanding another person's style of behavior and method of communication will result in more educated guesses about how a person may possibly react in various situations. This understanding will also dramatically increase your ability to get through to the person in question.
여러분은 다른 사람의 방식에 따라 안심되는 의사소통의 장을 만듦으로써 그들이 여러분을 이해하도록 돕는다. 그러면 듣는 사람은 의식적으로 혹은 무의식적으로 여러분의 의사소통 방식에 반응하기보다는 이해하기 위해 자신의 에너지를 사용할 수 있다. 우리 모두는 유연성을 길러서, 우리와 다른 사람들에게 말할 때 우리의 의사소통 방식을 조정하면서 우리의 의사소통 방식을 달리할 수 있을 필요가 있다. 여기서 우리는 또 하나의 사실을 발견한다. 즉 여러분이 어떤 방법을 선택하여 소통하든지 간에 개인으로서 여러분은 항상 소수일 것이다. 여러분이 어떤 행동을 하든지 간에 여러분 주변 대부분의 사람은 여러분과 다르게 움직일 것이다. 여러분은 자신의 의사소통 방법의 근거를 단지 여러분 자신의 선호에만 둘 수 없다. 유연성과 다른 사람들의 요구를 이해하는 능력이 바로 훌륭한 소통가의 특징이다. 다른 사람의 행동 양식과 의사소통 방법을 알고 이해하는 것은 어떤 사람이 다양한 상황에서 아마도 어떻게 반응할 수도 있는지에 대한 더 근거 있는 추측을 하게 할 것이다. 이러한 이해는 또한 (대화의) 당사자를 이해시킬 수 있는 여러분의 능력을 극적으로 증가시킬 것이다.
TEST2강 4번
Seven-tenths of the earth's surface lies under water. The great world ocean represents the vast majority of our planet's habitable space, and we depend on it in ways we may never have paused to reflect on. It is home to perhaps two million species, the bulk of them still unknown to science. But despite all that, anyone keeping track of contemporary politics could be forgiven for wondering if the ocean is there at all. Remarkably few of our governments contain Ministries for the Ocean (South Korea and Canada are rare exceptions), and our politicians rarely campaign on ocean-related issues (though fishing did emerge as an issue during the 2016 Brexit referendum). The ocean is governed by a complex body of international law which the average citizen probably knows little about. Going about your busy life, you might be tempted to file the ocean, its politics and the Law of the Sea in a mental box along with gravity or the internet. Its immense size, and its permanence, might fool you into believing that the ocean is immune to degradation.
지표의 7/10은 수면 아래에 있다. 거대한 세계 해양은 우리 행성에서 살기에 적합한 공간의 대부분에 해당하는데, 우리는 우리가 멈추어 깊이 생각해 본 적이 결코 없을 수도 있는 방식으로 그것에 의존한다. 그것은 대략 200만 종의 서식지인데, 그 종들의 대부분은 아직도 과학계에 알려져 있지 않다. 하지만 그 모든 것에도 불구하고 현대의 정치를 따라가고 있는 사람은 누구나 해양이 도대체 거기에 있기나 한 것인지 의아해하는 것도 무리가 아니다. 우리 정부들 중 놀랄 정도로 극소수만이 '해양부'를 갖고 있고(대한민국과 캐나다는 드문 예외이다), (어업이 2016년 Brexit 국민 투표 동안에 쟁점으로 정말 부각하긴 했지만) 우리 정치가들은 해양 관련 사안에 관해 운동을 벌이는 일이 거의 없다. 해양은 보통의 시민이 아마 거의 알지 못하는 많은 복잡한 국제법에 의해 통제를 받는다. 계속 바쁜 생활을 하면서 여러분은 중력이나 인터넷과 마찬가지로 해양과 그것의 정치와 해양법을 마음 상자에 보관하고 싶어질지도 모른다. 그것의 어마어마한 크기와 그것의 영속성은 여러분을 속여 해양이 악화의 영향을 받지[황폐화되지] 않는다고 믿게 할지도 모른다.
TEST2강 5번
The nature of the task can matter more than the nature of the person. Most of us have heard the theory that we each have a preferred learning style, and the more we can use the one that fits, the more we'll remember. Unfortunately, virtually no evidence supports that theory. That doesn't mean that all approaches to studying are equally effective ― it's just that the strategy that works best often depends more on the task than on the person. Similarly, different parts of our personalities can serve different types of goals. We act extraverted when we want to connect with others or seize an opportunity, and we become disciplined when we want to get something done or avoid mistakes. In one study, conscientiousness especially emerged when the things that needed to get done were difficult and urgent ― even for people who were not especially organized and hardworking in general.
업무의 본질이 사람의 본성보다 더 중요할 수 있다. 우리 대부분은 우리 각자가 선호하는 학습 방식을 가지고 있으며, 잘 맞는 것을 더 많이 사용할 수 있을수록 더 많이 기억할 것이라는 이론을 들어 왔다. 안타깝게도 그 이론을 뒷받침하는 증거는 거의 없다. 그것은 학습에 대한 모든 접근법이 동등하게 효과적이라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다만 가장 효과가 있는 전략은 흔히 사람보다는 과제에 더 달려 있다는 것이다. 비슷하게, 우리의 성격의 서로 다른 부분은 서로 다른 유형의 목적에 도움이 될 수 있다. 우리는 다른 사람들과 친해지고 싶거나 기회를 잡고 싶을 때는 외향적으로 행동하고, 어떤 일을 마무리하거나 실수를 피하고 싶을 때는 통제된 방식으로 행동하게 된다. 한 연구에서, 처리해야 할 일이 어렵고 긴급할 때 특히 성실성이 나타났는데, 대체로 특별히 체계적이지도 않고 근면하지도 않은 사람의 경우에도 심지어 그랬다.
TEST2강 6번
Gifts are one way of defining a private world of love and ritual which is different from, and in contrast to, the impersonal capitalist economy. Yet gift giving in modern society is affected by that economy. This is most obvious in the case of monetary gifts, whose value lies entirely in the capacity to purchase things in the marketplace. However, it also exists in the case of gifts of things where those gifts consist, as most do, of things that are purchased. There is a problem here. In advanced capitalist societies, consumption by individuals of things that they do not produce is a massive activity. There is a danger here that purchased gifts will lose their significance in the face of all the things that individuals purchase for themselves. Gift giving separates a world of love and ritual from the capitalist economy, but in the end the two systems of meaning cannot be entirely separated because they are interconnected.
선물은 비인격적인 자본주의 경제와 다르고 그것과 대조되는 사랑과 의식의 사적 세계를 분명하게 보여 주는 한 가지 방법이다. 하지만 현대 사회에서 선물을 주는 것은 그 경제의 영향을 받는다. 이것은 금전적 선물의 경우에 가장 명백하게 드러나는데, 금전적 선물의 가치는 전적으로 시장에서 물건을 구매하는 능력에 있다. 그러나 그것은 대부분의 선물이 그렇듯이, 그러한 선물이 구입된 물건으로 구성된 경우에도 존재한다. 여기에 문제가 있다. 선진 자본주의 사회에서 자신들이 생산하지 않는 물건을 개인이 소비하는 것은 대규모 활동이다. 구매한 선물은 사람들이 스스로 구매하는 모든 것들 앞에서 그 의미를 잃을 것이라는 위험성이 여기에 있다. 선물을 주는 것은 사랑과 의식의 세계를 자본주의 경제로부터 분리하지만, 결국 그 두 의미 체제는 그것들이 서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완전히 분리될 수는 없다.
TEST2강 7번
We argue that a transition towards more sustainable lifestyles will come from re-visioning the human place in nature, realizing ourselves not as separate, but as part of the whole, with a responsibility to nurture the biosphere forever. It will not occur because we are afraid of weathering the 'perfect storm' of unsustainability. Instead, we believe that what is needed is a deeper and more positive process: a re-visioning of the relationship between people and planet, undertaken in different ways by individuals, families, communities and nations. Such visions will show the potential for reconnection to bring about not just planetary health, but also personal well-being, joy, health and flourishing. There is strong evidence to show that well-being ― the 'good stuff' of life ― is brought about by such reconnection of the human and the natural. It is a vision to find a way towards reconciling our aspirations with the finitudes of our planet.
우리는 더 지속 가능한 생활 양식으로의 전환이 우리 자신을 분리된 존재가 아니라 영원히 생물권을 보살필 책임이 있는 전체의 일부임을 깨달으면서 자연 속에서 인간의 위치를 다시 그려 보는 것으로부터 비롯될 거라고 주장한다. 우리가 지속 불가능이라는 '최악의 상황'을 헤쳐 나가는 것을 두려워한다고 해서 그런 일이 일어나는 것은 아닐 것이다. 대신에, 우리는 더 깊고 더 긍정적인 과정, 즉 개인, 가족, 사회, 국가에 의해 여러 가지 방법으로 시도되는, 사람과 지구 간의 관계를 다시 그려보기가 필요하다고 믿는다. 그러한 비전은 지구의 건강뿐만이 아니라 개인의 행복, 기쁨, 건강 그리고 번영도 가져올 (지구와의) 재연결의 잠재력을 보여 줄 것이다. 인간과 자연의 그러한 재연결에 의해 행복, 즉 삶의 '좋은 것'이 생겨난다는 것을 보여 주는 강력한 증거가 있다. 그것은 우리의 열망을 우리 지구의 유한성과 조화시키는 방법을 찾기 위한 비전이다.
TEST2강 8번
The above graph shows the 2022 survey results of more than 2,500 journalists on what they think makes a story shareable. According to the survey, the factor that was most likely to help make a story shareable was the subject, with 71% saying that a shareable piece is one in which the subject is connected to a trending story. Containing an image or infographic was the second most cited factor in making a story shareable at 65%, with exclusive and/or surprising data (57%) next on the list. More than a third of the journalists who participated in the survey considered containing a video to be the factor that makes a story shareable. Journalists who said that involving a relevant social media influencer makes a story shareable accounted for 12%. The percentage of journalists who responded that including quotes from a company spokesperson is what makes a story shareable was less than half of the percentage of those who said that brevity will do the job.
위의 도표는 2,500명이 넘는 언론인을 대상으로 그들이 생각하기에 기사를 공유하기에 적절하게 만드는 것이 무엇인지에 관한 2022년 설문 조사 결과를 보여 준다. 설문 조사에 따르면, 기사를 공유하기에 적절하게 만드는 것에 도움이 될 가능성이 가장 많은 요인은 주제였으며, 71퍼센트가 공유하기에 적절한 기사는 그 주제가 사람들의 입에 많이 오르내리는 기사와 연결된 것이라고 말했다. 이미지 또는 인포그래픽을 포함하는 것을 기사를 공유하기에 적절하게 만드는 것에 있어 두 번째로 많이 인용되는 요인으로 65퍼센트를 기록했고, 독점적인 그리고/또는 놀라운 데이터(57퍼센트)가 목록에서 그다음을 차지했다. 설문 조사에 참여한 언론인의 3분의 1이 넘는 사람들이 영상을 포함하는 것이 기사를 공유하기에 적절하게 만드는 요인이라고 여겼다. 관련된 소셜 미디어 인플루언서를 끌어들이는 것이 기사를 공유하기에 적절하게 만든다고 말한 언론인은 12퍼센트를 차지했다. 회사 대변인의 인용문을 포함하는 것이 기사를 공유하기에 적절하게 만든다고 응답한 언론인의 비율은, 간결함이 효과가 있을 거라고 말한 사람들의 비율의 절반에도 미치지 못했다.
TEST2강 9번
Art Tatum (born in 1909 in Toledo, Ohio and died in 1956 in Los Angeles), is considered one of the greatest jazz pianists of all time. His performances were praised for their technical skills and creativity, which set a new standard for jazz piano virtuosity. Tatum, who was visually impaired from childhood, displayed an early talent for music. Although Tatum gained some formal piano training at the Toledo School of Music, he was largely self-taught. At age 13, after starting on the violin, Tatum concentrated on the piano and was soon performing on local radio programs. At 21 he moved to New York City, where he made his most impressive recordings during the 1930s and '40s. In 1943 he organized a trio with guitarist Tiny Grimes and bassist Slam Stewart, and he played mostly in the trio format for the rest of his life. Although Tatum was admired by many jazz musicians, his popularity faded in the mid to late 1940s with the advent of bebop ― a movement that Tatum did not embrace.
(1909년에 오하이오주 톨레도에서 태어나 1956년에 로스앤젤레스에서 사망한) Art Tatum은 역사상 가장 위대한 재즈 피아니스트 중 한 명으로 여겨진다. 그의 연주는 그 기교와 창의성으로 찬사를 받았고, 이것은 재즈 피아노 기교에 새로운 기준을 세웠다. 어린 시절부터 시각 장애가 있었던 Tatum은 음악에 대한 조기 재능을 보였다. Tatum은 톨레도 음악학교에서 어느 정도의 정식 피아노 교육을 받기는 했지만, 주로 독학했다. 13세에, 바이올린을 시작한 후, Tatum은 피아노에 집중했고 머지않아 지역 라디오 프로그램에서 연주를 하고 있었다. 21세에 그는 뉴욕 시로 이주하여 거기서 1930년대와 40년대에 자신의 가장 인상적인 음반을 만들었다. 1943년에 그는 기타리스트 Tiny Grimes와 베이시스트 Slam Stewart와 함께 3인조를 결성했고, 남은 생애 동안 주로 3인조 체재로 연주했다. Tatum이 많은 재즈 음악가들에게 존경을 받기는 했으나, 그의 인기는 1940년대 중후반에 비밥의 등장과 함께 시들해졌는데, 이 동향을 Tatum은 받아들이지 않았다.
TEST2강 12번
Conventional and nuclear weapons exist in physical space, where their deployments can be perceived and their capabilities at least roughly calculated. By contrast, cyber weapons derive an important part of their utility from their opacity; their disclosure may effectively degrade some of their capabilities. Their intrusions exploit previously undisclosed flaws in software, obtaining access to a network or system without the authorized user's permission or knowledge. In the case of distributed denial-of-service (DDoS) attacks (as on communication systems), a large number of seemingly valid information requests may be used to overwhelm systems and make them unavailable for their intended use. In such cases, the true sources of the attack may be masked, making it difficult or impossible to determine (at least in the moment) who is attacking. Even one of the most famous instances of cyber-enabled industrial sabotage ― the Stuxnet disruption of manufacturing control computers used in Iranian nuclear efforts ― has not been formally acknowledged by any government.
재래식 무기와 핵무기는 물리적 공간에 존재하는데 그곳에서 그것들의 배치는 인식될 수 있고, 그것들의 능력은 적어도 대략적으로나마 계산될 수 있다. 대조적으로 사이버 무기는 그 불투명성으로부터 그 유용성의 중요한 부분을 얻는다. 그래서 그것들을 공개하는 것은 실제로 그 능력 중 일부를 저하시킬 수도 있다. 그것[사이버 무기]의 침입은 이전에는 드러나지 않았던 소프트웨어의 결함을 이용하여 권한을 부여받은 사용자의 허락이나 인지 없이 네트워크나 시스템에 대한 접근 권한을 얻는다. (통신 시스템에 대한 것과 같은) 분산 서비스 거부(DDoS) 공격의 경우 겉보기에 유효한 다수의 정보 요청이 시스템을 제압해서 그것들[시스템]이 원래 의도된 그 용도에 맞게 이용될 수 없도록 하는 데 이용될 수도 있다. 그런 경우 공격의 진짜 근원은 감춰질 수도 있어서, (적어도 그 순간에는) 누가 공격하고 있는지를 알아내는 것을 어렵거나 불가능하게 만들 수 있다. 심지어 사이버로 구동되는 산업 파괴 행위의 가장 유명한 예의 하나, 곧 Stuxnet이 이란의 핵 개발 활동에 사용된 제조 통제 컴퓨터를 붕괴시킨 것에 대해 어느 정부도 공식적으로 인정하지 않았다.
TEST2강 13번
In cultures based on a rigid social hierarchy, with strict adherence to rules, visual art tends to adopt well-ordered, conventional, rigid and stereotypical forms. Ancient Egyptian art does not attempt to depict depth or distance, or the layout of objects in a scene. The same drawing system persisted for almost 3,000 years. Objects were arranged in a flat picture plane along lines drawn on walls. Objects and their parts were observed with great precision, but depicted in a way that conveyed shape in the most simplified manner. In human figures the torso was drawn from the front, but the head, waist and limbs were drawn in profile. Medieval artists revived the Egyptian reluctance to record the natural world faithfully, favouring instead depictions of the human form that conform to a strict formula involving expressionless, flat figures without individuality. This system of depiction was driven by religious concerns to avoid glorifying the attributes of individuals and their unique viewpoint on the world. There was little attempt to portray realistic depth, and the depicted stature of figures tended to reflect their social status.
경직된 사회적 위계에 기반을 둔, 엄격한 규칙 고수가 존재하는 문화에서, 시각 예술은 질서정연하고, 관습적이며, 경직되고 그리고 정형화된 형태를 취하는 경향이 있다. 고대 이집트 예술은 한 장면에서 입체감이나 거리감, 또는 사물의 배치를 묘사하려고 시도하지 않는다. 동일한 그림 방식이 거의 3,000년 동안 지속되었다. 벽에 그려진 선들을 따라 물체들이 평평한 화면(畫面)에 배열되어 있었다. 물체와 그것의 부분들은 매우 정밀하게 관찰되었지만, 가장 단순화된 방법으로 형태를 표현하는 방식으로 묘사되었다. 인물상에서 몸통은 앞모습으로 그려졌지만, 머리, 허리 그리고 팔다리는 옆모습으로 그려졌다. 중세 예술가들은 자연계를 정확하게 표현하는 것에 대한 이집트인들의 꺼림을 부활시켰고, 대신 개성이 없는 무표정하고 생기 없는 인물상이 포함된 엄격한 방식에 부합하는 인간 형태의 묘사를 선호했다. 이 묘사 체계는 개인의 특성과 세상에 대한 그들의 독특한 관점을 미화하는 것을 피하려는 종교적 우려에서 비롯된 것이었다. 사실적인 입체감을 표현하려는 시도는 거의 없었고, 묘사된 인물들의 신장이 그들의 사회적 지위를 반영하는 경향이 있었다.
TEST2강 14번
The search for publicity is, at heart, a quest for a shortcut to friendship. Yet real kindness is never available in a public sphere. It is the fruit of a few intimate and reciprocal connections. It cannot be won remotely or one-sidedly. If it is safety one seeks, one must definitively and immediately cease to strive to be known to people one doesn't know and concentrate instead on building up genuine bonds that can survive one's errors and endure for life. Paradoxically and poignantly, it is most often the very anxious who feel a particular longing for the embrace of fame; but it is especially they (given their fragility) who should be warned away from its ultimately always revengeful arms. Being entirely forgotten by the world is no curse or sign of failure; it is the very basis for a contented and safe life in which one swaps the prospect of followers and mean-minded detractors for the deeper satisfaction of true friends.
널리 알려짐을 추구하는 것은 본질적으로 교우 관계로 가는 지름길을 얻기 위한 탐색이다. 그러나 진정한 호의는 대중의 영역에서 결코 구할 수 없다. 그것은 소수의 친밀하고 호혜적인 관계의 결실이다. 그것은 멀리 떨어져서 혹은 일방적으로는 얻을 수 없다. 어떤 사람이 얻고자 하는 것이 무사(無事)라면, 그는 분명히 그리고 즉시 자신이 모르는 사람에게 알려지기 위해 애쓰는 것을 중단하고, 그 대신 자신의 실수에도 불구하고 존속되어 평생 지속될 수 있는 진정한 유대감을 구축하는 데 집중해야 한다. 역설적으로 그리고 통렬하게, 명성의 수용에 대한 특별한 갈망을 느끼는 사람은 대체로 매우 불안한 사람들이다. 그러나 궁극적으로 항상 앙심에 찬 그것[명성]의 팔에 접근하지 않도록 경고되어야 하는 대상은 (그들의 연약함을 고려할 때) 특히 그들[매우 불안한 사람들]이다. 세상에 의해 완전히 잊힌다는 것은 저주나 실패의 징후가 아니다. 그것은 추종자들과 심술궂은 마음을 가진 비방하는 사람들의[사람들을 만날] 가능성을 진정한 친구한테서 오는 더 깊은 만족으로 교환하는 만족스러우며 안전한 삶을 위한 바로 그 기반이다.
TEST2강 15번
It is important to understand the distinction between indicators of market or nonmarket activity and well-defined measures of benefit or cost. While economic values are often related to human activities, simple indicators viewed in isolation (e.g., number of beach visits) can sometimes provide misleading perspectives. For example, simple activity indicators ignore values realized by nonusers or benefits related to unmeasured activities (i.e., activities not captured by the indicator in question). Because of these and other limitations, indicators of economic activity sometimes increase due to negative changes in the environment. Suppose that closing local beach A due to pollution causes more people to visit neighboring unpolluted beach B. An analyst looking solely at visitor numbers for beach B might incorrectly conclude that this represents a positive change at beach B, when in fact more visitors to beach B simply reflects the closure of beach A (a substitute beach). Using the appropriate economic frameworks for analysis can prevent such misleading conclusions. Simple behavioral (and other) indicators can sometimes provide a cost-effective means to help guide policy ― but they can also contribute to incorrect conclusions if not paired with more comprehensive economic analysis.
시장 또는 비시장 활동의 지표와 이익 또는 비용에 대한 명확한 척도 사이의 차이를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 경제적 가치는 인간의 활동과 관련이 있을 때가 많지만, 분리해서 보는 단순한 지표(예를 들어, 해변 방문 횟수)는 때때로 오해를 일으키는 관점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순 활동 지표는 비사용자에 의해 실현된 값이나 측정되지 않은 활동과 관련된 이익(즉, 해당 지표에 포착되지 않은 활동)을 무시한다. 이것들과 다른 이런저런 한계들 때문에, 경제 활동 지표는 환경 내의 부정적인 변화 때문에 때때로 증가한다. 오염으로 인해 지역의 A 해수욕장이 폐쇄되면 더 많은 사람이 이웃한 오염되지 않은 B 해수욕장을 방문하게 된다고 가정해 보라. 오로지 B 해수욕장에 대한 방문자 수만을 바라보는 분석가는 실제로는 B 해수욕장의 더 많은 방문객이 단순히 A 해수욕장(대체 해수욕장)의 폐쇄를 반영하고 있는데도, 이것이 B 해수욕장의 긍정적인 변화를 나타낸다는 잘못된 결론을 내릴 수도 있다. 적절한 경제 분석 틀을 사용하면 오해를 일으키는 그러한 결론을 방지할 수 있다. 단순한 행동 (그리고 기타) 지표가 때로는 정책을 이끄는 데 도움이 되는 비용 효과가 높은 수단을 제공할 수 있지만, 만약 더 포괄적인 경제 분석과 결합하지 않으면 그것들은 또한 잘못된 결론의 원인이 될 수 있다.
TEST2강 16번
When you look at the photos of an expert like Malick Sidibe, you are looking at a small fraction of the portraits he chose to show his viewers. Photos with closed eyes, crooked clothing, unflattering expressions, or those with a poor exposure, were surely edited out and hidden from his audience. Street photographers like Joel Meyerowitz make thousands of photos that are never seen by fans. His discriminating eye chooses exactly what he wants his audience to see. Any digital image that doesn't meet Meyerowitz's personal expectations is put in a folder that may never be opened again. Most of the photographs anyone makes will likely end up in a digital junk heap on a forgotten hard drive. The point is that photographers put a lot of creative energy, time, and expense into making photographs, most of which don't represent the quality the creator expects. Yet, those hidden photos are critically important to the process of image-making. They represent the stages of failure and experimentation needed to arrive at a creative breakthrough. Those in-between photos are part of the step-by-step development process that leads you from one successful image to the next.
Malick Sidibe와 같은 전문가의 사진을 볼 때 여러분은 그가 자신의 관람객들에게 보여 주기로 결정한 작은 일부의 인물 사진들을 보고 있는 것이다. 눈을 감고 있는, 옷차림이 비뚤어진, 실물보다 못 나온 표정의 사진들 또는 노출이 좋지 않은 사진들은 틀림없이 편집 중에 삭제되어 그의 관람객에게 숨겨졌다. Joel Meyerowitz와 같은 거리 사진작가들은 팬들이 못보는 수천 장의 사진을 제작한다. 판단력이 뛰어난 그의 안목은 정확히 그가 자신의 관람객이 보기를 원하는 것을 선택한다. Meyerowitz의 개인적인 기대에 미치지 못하는 디지털 이미지는 무엇이든 다시는 열리지 않을 수도 있는 폴더에 저장된다. 누가 제작하는 사진이든 대부분은 아마 결국 잊혀진 하드 드라이브 상의 디지털 쓰레기 더미에 들어가게 될 것이다. 요점은 사진작가들이 사진을 제작하는 데 많은 창조적 에너지와 시간 및 비용을 투자하지만, 대부분은 제작자가 기대하는 품질을 나타내지 못한다는 것이다. 하지만, 그러한 숨겨진 사진들은 이미지 제작 과정에 결정적으로 중요하다. 그것들은 창조적 대성공에 도달하는 데 필요한 실패와 실험의 단계들을 나타낸다. 그러한 '중간에 있는' 사진들은 여러분을 하나의 성공적 이미지에서 그다음 성공적 이미지로 이끄는 단계별 발전 과정의 일부이다.
TEST2강 17번
Plans need to have a degree of flexibility under changing circumstances, but settling on clear deadlines and tasks helps to avoid opening up the problematic flexibility that can open the door to interpreting delay as something other than that. To take an illustration from the context of health, consider Gary, who has noticed that he has been getting colds quite frequently and thinks that it would be good to make an appointment with a primary care physician soon to get some medical tests done. And yet, he finds himself putting it off. Gary thinks of himself as conscientious and certainly not someone who would fail to take care of himself. As he considers, at a certain point, whether to phone the doctor or put it off for a day, the lack of specificity in his intention affords him plenty of wiggle room for thinking that he is still going to make the appointment "soon." In such contexts, by entering into his calendar a specific time for making the call and an automatic reminder, Gary can create an attentional structure that makes it difficult for him to overlook the fact that failing to make the call at the appointed time is a case of delay.
계획은 변화하는 상황에서 어느 정도의 유연성을 가질 필요가 있지만, 명확한 기한과 과제를 정하는 것이 지연을 그것이 아닌 어떤 것으로 해석하는 길을 열어 줄 수도 있는 문제가 있는 유연성을 가능하게 하는 것을 피하는 데 도움이 된다. 건강이라는 상황에서 예를 들자면, Gary를 생각해 보라. 그는 자신이 감기에 상당히 자주 걸리고 있다는 것을 알아채고는 곧 1차 진료 의사에게 진료를 예약하여 몇 가지 의학적 검사를 받는 것이 좋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그렇지만, 그는 자신이 그것을 미루고 있음을 깨닫는다. Gary는 자신을 성실하고, 분명 스스로를 돌보지 않을 사람이 아니라고 생각한다. 특정 시점에서 그가 의사에게 전화를 해야 할지 아니면 그것을 하루 미뤄야 할지 고민하고 있을 때, 그의 계획에서 구체성이 결여된 것이 그에게 자신이 여전히 '곧' 예약을 할 것이라고 생각할 수 있는 충분한 여지를 준다. 그러한 상황에서 자신의 캘린더에 전화를 걸기 위한 구체적인 시간과 자동 알림을 입력함으로써, Gary는 정해진 시간에 전화를 걸지 않는 것이 지연의 경우에 해당한다는 사실을 자신이 간과하기 어렵게 하는 주의 구조를 만들 수 있다.
TEST2강 18번
Even the care we take for nature is motivated by a certain goal-oriented striving under the heading of "conservation." We treat nature as a scarce resource to be preserved for the health of the planet and the security of future generations. But rarely do we attempt to appreciate and protect nature for its own sake, as a source of wonder and awe in the face of which we stand to gain new perspectives on ourselves and the goals we pursue. When pressed to articulate why biodiversity matters, for example, we tum almost automatically to some account of how, when one species goes extinct, others will suffer, including, in the end, ourselves. We lack the vocabulary in which to understand the diversity of nature as intrinsically meaningful and as worthy of our engagement.
우리가 자연에 대해 하는 돌봄조차도 '보존'이라는 제목 아래 특정한 목표 지향적인 노력으로 동기 부여가 된다. 우리는 자연을 지구의 건강과 미래 세대의 안전을 위해 보존되어야 할 희소한 자원으로 취급한다. 그러나 우리는 자연 그 자체를 위해, 즉 우리가 직면했을 때 우리 자신 그리고 우리가 추구하는 목표에 관한 새로운 관점을 얻을 것 같은 경이로움과 경외심의 원천으로서 자연의 진가를 인정하고 보호하려는 시도를 거의 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생물 다양성이 왜 중요한지 분명히 설명하라는 압력을 받을 때, 우리는 거의 무의식적으로 한 종이 멸종할 때, 결국 우리 자신을 포함하여 다른 종들이 어떻게 고통받을지에 대한 어떤 설명에 의존한다. 우리에게는 자연의 다양성을 본질적으로 의미 있고 우리가 관여할 가치가 있는 것으로 이해하는 어휘가 없다.
TEST2강 19번
Sport does not require architecture. A field can serve as the grounds for footraces, ball games, and other modes of sporting activity. Early football games in England famously, or perhaps notoriously, took place without fixed dimensions and across the townscape. Swimming, boating, surfing all can take place in natural, undesigned sites. The exterior wall of a building can be the backboard for handball or tennis. Nevertheless, the architecture of sport stretches back through history to the earliest exemplars of built forms. This is notable for both sporting and architectural reasons. In order to design and build sport architecture, there must already be in place some degree of codification of the rules of the game to be played and the minimum spatial dimensions necessary to undertake that activity. Thus the precursor of our modern stadia, the stadion, was both the place where a footrace was run and a unit of measurement. Sport architecture therefore emerges at the intersection of the codification of the rules of various games and means and mode of design and construction.
스포츠에는 건축물이 필요하지 않다. 들판이 도보 경주, 구기 (종목), 그리고 다른 방식의 스포츠 활동을 위한 장소의 역할을 할 수 있다. 영국의 초창기 축구 경기는 유명하게도 혹은 어쩌면 악명 높게도 고정된 크기 없이, 그리고 도시 경관 전체에 걸쳐 열렸다. 수영, 보트 타기, 서핑은 모두 자연의, 설계되지 않은 장소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건물의 외벽은 핸드볼이나 테니스의 백보드가 될 수 있다. 그런데도, 스포츠의 건축물은 건축된 형태의 가장 초기 사례까지 역사를 통해 거슬러 올라간다. 이것은 스포츠상의 그리고 건축상의 이유 양면에서 주목할 만하다. 스포츠 건축물을 설계하고 짓기 위해서는 열리게 될 경기의 규칙과 그 활동을 수행하는 데 필요한 최소한의 공간의 크기에 대한 어느 정도의 체계화가 이미 마련되어 있어야 한다. 그러므로 우리의 현대 육상 경기장의 전신인 stadion은 도보 경주하는 장소이자 측정 단위이기도 했다. 따라서 스포츠 건축물은 다양한 경기 규칙의 체계화와 설계 및 건축의 수단과 양식이 교차하는 지점에서 나타난다.
TEST2강 20번
Great fairytales are full of suspense and emotional ups and downs, with the hero or heroine fighting and then overcoming antagonists and obstacles. The bigger the difficulties and the greater the suspense, the more interesting the story. Cinderella had no clothes, no carriage, and a rigid deadline. She had lost her shoe. Cinderella was sad, then happy because of the fairy Godmother, then scared again when the clock struck 12. An interviewee faced an employer going bankrupt, saw her superiors resign, and was left with a weak team. Both of these examples have a central character: Cinderella and the interviewee. Audiences generally identify more with people and characters in the stories than with abstract discussion. In business storytelling, when there is no one central character, characters can be woven into the body of the story. For example: "In the next 10 minutes, I will show you five reasons why our business will disappear within five years if we continue with business as usual." Then, one reason could include the story of how a big customer was disappointed and another reason could include the story of how a group of salesmen felt helpless.
훌륭한 동화는 긴장감과 감정적 기복으로 가득 차 있으며, 남녀 주인공이 적대역 및 장애물과 싸우다가 이를 이겨 낸다. 어려움이 클수록, 그리고 긴장감이 굉장할수록 이야기가 더 흥미진진하다. 신데렐라는 옷과 마차가 없었고 엄격한 시한이 있었다. 그녀는 자신의 신발 한 짝을 잃어버렸다. 신데렐라는 슬폈고 그 후 요정 대모 덕분에 행복했다가 시계가 12시를 치자 다시 겁을 먹었다. 한 인터뷰 대상자는 고용주가 파산하는 것에 직면했고, 자신의 상관들이 사직하는 것을 보았으며, 약한 팀과 함께 남겨졌다. 이 두 가지 예에는 중심인물이 있는대 신데렐라와 인터뷰 대상자이다. 청중은 일반적으로 추상적 논의보다 이야기 속 사람들과 인물들과 더 동질감을 갖는다. 비즈니스 스토리텔링에서 중심인물이 한 명도 없을 때 인물들이 이야기의 본문에 엮어질 수 있다. 다음과 같이 예를 들어 보자. "앞으로 10분 안에, 우리가 평소대로 사업을 계속한다면 5년 안에 우리의 사업이 사라질 5가지 이유를 보여 드리겠습니다." 그런 다음 한 가지 이유에는 거물 고객이 어떻게 실망했는지에 대한 이야기가 포함될 수 있을 것이고 또 다른 이유에는 한 무리의 영업 사원들이 어떻게 무력감을 느꼈는지에 대한 이야기가 포함될 수 있을 것이다.
TEST2강 21번
Throughout history, people have pooled their resources to varying degrees in order to enjoy the benefits and manage the risks that come from living in large groups. These benefits include specialisation of labour, mutual defence and shared infrastructure. As groups get larger ― from family to village to major cities and nation states ― the mutual obligations become more abstract and are often mediated through institutions and the political process. Rather than 'owe' something to our family or community, our obligations morph into solidarity with fellow citizens or duty to our country. In the past, for example, families educated their children, cared for the sick and unemployed at home; today most rely on schools, medical facilities and (in some countries) unemployment benefits paid by the state. That is why today people are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common good when they are productive adults and, in exchange, get an education when they are young and support when they are sick, unemployed or old. The exact nature of these expectations varies according to the cultural norms, institutions, policies and laws that define the rights and obligations of individuals relative to those of the wider society, but the existence of such expectations is universal.
역사를 통틀어 사람들은 대규모 집단으로 사는 데에서 오는 이득을 누리고 거기서 오는 위험을 관리하기 위해 다양한 정도로 자신들의 자원을 공동 관리해 왔다. 이 이득에는 노동의 전문화, 공동 방위, 그리고 기반 시설 공유가 포함된다. 가족에서 마을, 대도시, 국민 국가로 집단이 더 커지면서, 상호 간의 의무는 더 추상적이 되어 흔히 제도와 정치 과정을 통해 중재된다. 우리 의무는 우리 가족이나 공동체에 무언가를 빚지고 있기보다는 동료 시민과의 연대나 국가에 대한 임무로 변한다. 예를 들어, 과거에는 가족이 집에서 자기 아이를 교육했고 병자와 실직자를 돌보았지만, 오늘날은 대부분이 국가가 비용을 대는 학교, 의료 시설, 그리고 (몇몇 나라에서는) 실업 수당에 의존한다. 그 때문에 오늘날 사람들은 생산적인 성인일 때 공익에 기여하고, 그 대가로 어릴 때는 교육을, 아프거나 실직하거나 늙었을 때는 부양을 받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런 기대의 정확한 속성은 더 넓은 사회의 그것들[권리와 의무]에 견주어 개인의 권리와 의무를 규정하는 문화적 규범, 제도, 정책과 법에 따라 다르지만, 그런 기대가 존재하는 것은 보편적이다.
TEST2강 22번
Natural processes in soils in many places on the planet concentrate potentially hazardous geologic materials. The health hazards posed by these elements depend on the way humans interact with their environment, which can vary significantly among different cultures. Primitive cultures that live off the land are more susceptible to hazards and diseases associated with contaminated or poor water quality, toxic elements in plants harvested from contaminated soils, and insect- and animal-borne diseases associated with unsanitary environments. In contrast, more developed societies are more likely to be affected by air pollution, different types of water pollution, and indoor pollution such as radon exposure. Some diseases reflect a complex interaction among humans, insects or animals, climate, and the natural concentration of certain elements in the environment. For instance, schistosomiasis-bearing snails are abundant in parts of Africa and Asia where natural waters are rich in calcium derived from soils, but in similar climates in South America, the condition is rare. It is thought that this difference is because the waters in South America are calcium-poor, whereas disease-bearing snails need calcium to build their shells.
지구상의 많은 장소에 있는 토양에서의 자연적 과정은 잠재적으로 위험한 지질 물질을 한 곳에 집중시킨다. 이러한 요소들에 의해 제기되는 건강 위험은 인간이 자신의 환경과 상호 작용하는 방식에 따라 좌우되는데, 이것은 서로 다른 문화 사이에서 상당히 다양할 수 있다. 토지에 의지해서 살아 나가는 낙후한 문화는 오염되거나 열악한 수질과 관련된 위험과 질병, 오염된 토양에서 수확한 식물의 독성 요소, 그리고 비위생적인 환경과 관련된 곤충과 동물을 매개로 하는 질병에 더 취약하다. 이와는 대조적으로, 더 선진화된 사회는 대기 오염, 갖가지 종류의 수질 오염, 그리고 라돈 노출과 같은 실내 오염에 의해 영향을 받을 가능성이 더 크다. 어떤 질병들은 인간, 곤충 혹은 동물, 기후, 그리고 환경에 있는 특정 요소들의 자연적인 집중 사이의 복잡한 상호 작용을 반영한다. 예를 들어, 주혈흡충증을 유발하는 달팽이는 토양에서 나오는 칼슘이 자연 수역에 풍부한 아프리카와 아시아 일부 지역에 많지만, 남아메리카의 비슷한 기후 지역에서는 그 질병이 희귀하다. 이러한 차이는 질병을 유발하는 달팽이가 껍질을 만들기 위해 칼슘을 필요로 하는 반면, 남아메리카의 수역은 칼슘이 부족하기 때문이라고 여겨진다.
TEST2강 23번
The United States lags in some sustainability indicators because it has already developed unsustainably. It's easier to start from scratch and develop sustainably than to fix all of the mistakes we've made. It will be very expensive to rebuild our infrastructure to be more sustainable. Leapfrogging allows developing countries to skip the implementation of old, inefficient technologies used in developed countries, thereby avoiding the environmentally harmful stages of economic development. For example, developing countries can build mobile phone networks that require much less raw materials and construction than land lines. They can deploy decentralized renewable energy systems such as PV panels, while in the United States we will be stuck for some time with old coal-fired power plants and an aging, inefficient electrical grid. U.S. cities and suburbs were built when energy was cheap and there were no concerns about global warming, so we are forced to drive great distances to accomplish everyday tasks. Developing countries can concentrate development in cities where people can live more sustainably, and preserve green space around the cities.
미국은 이미 지속 가능하지 않게 발전했기 때문에 일부 지속 가능성 지표에서 뒤처져 있다. 우리가 저지른 모든 실수를 고치는 것보다 처음부터 시작해서 지속 가능하게 발전하는 것이 더 쉽다. 우리의 사회 기반 시설을 더 지속 가능하게 다시 짓는 것은 매우 비용이 많이 들 것이다. 립프로깅을 통해 개발 도상국은 선진국에서 사용되었던 낡고 비효율적인 기술의 이행을 건너뛸 수 있게 되고, 그렇게 함으로써 환경에 해로운 경제 개발 단계를 피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개발 도상국은 지상 통신선보다 훨씬 더 적은 원자재와 공사를 필요로 하는 휴대 전화 네트워크를 구축할 수 있다. 이 국가들은 광발전 패널과 같은 분산형 재생 에너지 시스템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반면, 미국에서 우리는 석탄을 때는 오래된 발전소와 노후화되고 있는 비효율적 전력망에서 한동안 꼼짝 못 할 것이다. 미국의 도시와 교외는 에너지가 저렴하고 지구 온난화에 대한 우려가 없을 때 세워졌기 때문에, 우리는 일상의 과업을 수행하기 위해 어쩔 수 없이 먼 거리를 운전할 수밖에 없다. 개발 도상국들은 사람들이 더 지속 가능하게 살 수 있는 도시에 개발을 집중시켜 도시 주변의 녹지 공간을 보존할 수 있다.
TEST2강 24~25번
The debate about how to understand social life has ancient roots and can be traced at least as far back as Plato, who analyzed the differing worldviews of poetry and philosophy (which was at the time an approximation of science). Echoes of this debate are still heard today in the endless dialogue between the humanities and the sciences regarding how the world may best be comprehended. Some thinkers argue that the internal states of humans cannot be examined scientifically at all and must instead be understood nonscientifically via intuitive, interpretive, or even religious methods. Even some scientists devoted to strong empiricism adopt this view. B. F. Skinner, the leading twentieth-century advocate of behaviorism and the author of Walden Two, famously reasoned that internal mental states are unobservable and unquantifiable subjectivities and thus belong outside the range of objective scientific scrutiny, in contrast to observable (individual and collective) behaviors. Some philosophers and theologians continue to embrace the age-old dualistic separation between the material world and the mental world. The underlying claim is that we cannot use science to fully understand the soul or even feelings, thoughts, morals, or beauty. While the issue of the soul is a matter unto itself, feelings, thoughts, morals, and even beauty ― and their evolutionary origins ― are, in fact, yielding increasingly to science in the twenty-first century with techniques as diverse as MRI imaging and behavior genetics.
사회생활을 이해하는 방법에 관한 논쟁은 고대에 기원을 두고 있고 적어도 플라톤까지 멀리 거슬러 올라갈 수 있는데, 플라톤은 시와 철학(그 당시에는 과학에 가까운 것이었다)의 서로 다른 세계관을 분석했다. 세계가 어떻게 가장 잘 이해될 수 있을지에 관한 인문학과 과학 사이의 끝없는 의견 교환에서 이 논쟁의 반향은 오늘날에도 여전히 들리고 있다. 몇몇 사상가들은 인간의 내적 상태는 과학적으로 결코 조사될 수 없으며 대신에 직관적, 해석적, 혹은 심지어는 종교적 방법을 통해 비과학적으로 이해되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심지어 강력한 경험주의에 전념했던 몇몇 과학자들조차 이 견해를 받아들인다. 20세기의 선도적인 행동주의 옹호자이자 Walden Two의 저자인 B. F. Skinner는 내적 정신 상태는 관찰할 수 있는 (개인적이고 집단적인) 행동과는 대조적으로 관찰이 불가능하고 수량화할 수 없는 주관성을 지닌 것이며, 따라서 객관적인 과학적 면밀한 조사의 범위 밖에 속한다고 추론한 것으로 유명했다. 몇몇 철학자들과 신학자들은 물질세계와 정신세계 간의 아주 오래된 이원론적 분리를 계속해서 받아들인다. 근본적인 주장은 우리가 과학을 이용해 영혼 혹은 심지어 감정, 사고, 도덕, 혹은 미를 완전히 이해할 수 없다는 것이다. 영혼의 문제는 그 자신만이 갖고 있는 문제이지만, 감정, 사고, 도덕, 그리고 미조차, 그리고 그것들의 진화적 기원도 사실상 자기 공영 영상법을 이용한 영상과 행동 유전학과 같은 다양한 기술을 가진 21세기 과학에 점점 더 굴복하고 있다.
TEST2강 26~28번
Emily was the youngest of three daughters in a family of great soccer players. Her mother played soccer in high school and college, as did her two older sisters. Following in their footsteps, Emily began her freshman year of high school as a star player on the soccer team. Soon, however, Emily's coach noticed that while Emily had great skills, she just didn't show the kind of passion for the game she had seen in other great players she'd coached. She noticed something else about Emily: she had an unusually graceful stride as she ran up and down the field. And to her coach's surprise, Emily seemed to absolutely love the running drills that the other players hated during practice. One day, the coach called her over after practice. "Emily, why do you play soccer?" she asked. Somewhat puzzled, she responded, "Because everyone in my family plays soccer. And because I'm really good at it." Then the coach asked, "But do you love it?" With a somewhat dejected look, she shook her head. "Playing soccer was really fun when I was younger. But now it feels like something I have to do. Everyone expects me to be like my mom and sisters. I don't want to let them down." That's when she realized that her job as Emily's coach had, in an important way, just begun. Rather than continue to try to get her to fit in as a soccer player, the coach asked Emily about her true interests. She wasn't surprised to learn that Emily had a passion for running. Running was effortless for her, she said. When running long distances, she felt relaxed and free from all the worries and cares in her life. After several more conversations with Emily and then an initially difficult discussion with her family, the coach and her family allowed Emily to leave the soccer team and switch to running track for the spring semester. By her junior year, Emily was the number one runner on the girls' cross-country team, and as a senior, she led the team to the state finals. While she lost one of her better players, the coach knew she'd done the right thing. In the process, she helped Emily find her true passion.
Emily는 훌륭한 축구 선수들로 이루어진 가족에서 세 딸 중 막내였다. 그녀의 어머니는 고등학교와 대학에서 축구를 했고, 그녀의 두 언니도 그러했다. 그들의 선례를 따라, Emily는 축구팀의 스타 선수로서 고등학교 1학년을 시작했다. 하지만 곧, Emily의 코치는 Emily가 훌륭한 기술을 가지고 있지만, 자신이 코치했던 다른 훌륭한 선수들에게서 보았던 게임에 대한 열정을 전혀 보여 주지 않는다는 것을 알아챘다. 그녀는 Emily에 대해 또 다른 것을 알아챘는데, 그것은, 그녀는 경기장을 이리저리 뛰어다닐 때 몹시 우아한 모습으로 달린다는 것이었다. 그리고 그녀의 코치에게 놀랍게도, Emily는 다른 선수들이 연습하는 동안 싫어했던 달리기 훈련을 굉장히 좋아하는 것처럼 보였다. 어느 날, 코치는 연습 후에 그녀를 불렀다. "Emily, 넌 왜 축구를 하니?"라고 그녀가 물었다. 그녀는 다소 어리둥절하며 "우리 가족 모두가 축구를 하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제가 그것을 정말 잘하기 때문입니다."라고 대답했다. 그러자 코치가 물었다. "하지만 너는 그것을 좋아하니?" 그녀는 다소 낙심한 표정으로 고개를 저었다. "제가 더 어렸을 때는 축구를 하는 것이 정말 재미있었습니다. 하지만 이제는 그것이 제가 해야만 '하는' 일처럼 느껴집니다. 모든 사람이 제가 어머니나 언니들처럼 되기를 기대합니다. 저는 그들을 실망시키고 싶지 않습니다." 그때 그녀는 Emily의 코치로서의 자신의 역할이 중요한 면에서 이제 막 시작되었음을 깨달았다. 코치는 그녀가 축구 선수로서 적응하게 하려고 계속 노력하기보다 Emily의 진정한 관심사에 관해 물었다. 그녀는 Emily가 달리기에 열정이 있다는 것을 알고 놀라지 않았다. 달리기가 그녀에게는 수월하다고 그녀는 말했다. 장거리 달리기를 할 때, 그녀는 편안하고 삶의 모든 걱정과 염려로부터 해방된 느낌이었다. Emily와 몇 번 더 대화를 나누고, 이후 그녀의 가족과 처음에는 어려웠던 논의 후에, 코치와 그녀의 가족은 Emily가 봄 학기에 축구팀을 떠나 트랙 달리기로 옮기는 것을 허락했다. 3학년이었을 때 Emily는 여자 크로스컨트리 팀에서 최고의 주자가 되었고, 마지막 학년 때 그녀는 팀을 주 결승전으로 이끌었다. 비록 우수한 선수 중 한 명을 잃었지만, 코치는 자신이 옳은 일을 했다는 것을 알고 있었다. 그 과정에서 그녀는 Emily가 자신의 진정한 열정을 찾도록 도와주었다.
TEST3강 1번
Your insurance adjuster recently submitted the assessment for the wind damage to our roof. There are specific errors within the claim that you need to address. The damage was to the dormer on the north side of the house. High winds from last month's storms had lifted many of the tiles from the roof and caused a leak. This caused water damage to the internal ceiling of an upstairs bedroom. When the adjuster examined the dormer, he looked only at the roofing on the dormer's south side, where damage was minimal. The true damage was on the north side. He awarded damages based on what he saw, and it seems that he did not look very closely at the extent of the damage. A specialist from Caesar Roofing estimates repairs to both the roof and the water-damaged ceiling at $968. Your check for $232 arrived today. I am holding the check until I receive your response to this letter. Please contact me as soon as possible about this matter.
귀사의 손해 사정인이 최근에 우리 지붕의 바람 피해에 대한 사정액을 제출했습니다. 청구액에는 처리되어야 할 명백한 오류가 있습니다. 그 피해는 집 북쪽에 있는 지붕창에 있었습니다. 지난달의 폭풍으로 인한 강풍이 지붕에서 많은 타일들을 들뜨게 하여 누수를 일으켰습니다. 이것이 위층 침실의 내부 천장에 물 피해를 일으켰습니다. 사정인이 지붕창을 검사할 때, 그는 지붕창 남쪽에 있는 지붕 재료만 보았는데, 그곳은 피해가 아주 적었습니다. 진짜 피해는 북쪽에 있었습니다. 그는 자신이 본 것을 토대로 손해 보상액 판정을 내렸는데, 피해 규모를 별로 자세히 살피지 않은 것 같습니다. Caesar Roofing의 한 전문가는 지붕과 물에 피해를 입은 천장 둘 다의 수리 비용을 968달러로 추산하고 있습니다. 귀사의 232달러 수표가 오늘 도착했습니다. 저는 이 편지에 대한 귀사의 답장을 받을 때까지 수표를 보관하고 있겠습니다. 이 문제에 대해 가능한 한 빨리 연락 주십시오.
TEST3강 2번
In 2004, my son Noah was turning one year old and I had a problem: How do I make him a birthday cake? He was seriously allergic to dairy, soy, and egg. A memory of an incident unsettled me ― a bite of bakery cake at daycare sent us to the emergency room. I had never made a birthday cake myself. But Noah was turning one ― I wanted him to have birthday cake. I found a website called foodallergickids.org, and asked on the forum there: Did anyone have a dairy-, soy- and egg-free cake recipe? In response to my question, I got a shower of warm welcomes from parents on the site. They shared an excellent safe cake recipe, and provided a host of other support. Parents on the site helped me figure out how to make a clear and effective allergy-awareness sheet for his daycare teachers. They shared tips for how to safely order food in a restaurant. Their experience was invaluable, and they also were emotionally supportive in a way no one else could be.
2004년 내 아들 Noah는 막 한 살이 되어 가고 있었는데, 나에게 문제 하나가 있었다. 어떻게 아들에게 생일 케이크를 만들어 주지? 그는 유제품, 콩, 그리고 계란에 대해 심각한 알레르기가 있었다. 한 사건의 기억이 나를 불안하게 했는데, 어린이집에서 제과점 케이크를 한입 먹은 것으로 우리는 응급실에 갔었다. 나는 직접 생일 케이크를 만들어 본 적이 없었다. 하지만 Noah는 한 살이 되어 가고 있었고, 나는 그가 생일 케이크를 먹기를 원했다. 나는 foodallergickids.org라는 웹 사이트를 발견했고, 그곳의 포럼에서 물었다. 유제품과 콩과 계란이 없는 케이크 조리법을 갖고 있으신 분 있으세요? 내 질문에 대한 반응으로, 나는 그 사이트의 부모들로부터 많은 따뜻한 환영을 받았다. 그들은 훌륭하고 안전한 케이크 조리법을 공유해 주었고 많은 다른 지원도 해 주었다. 그 사이트의 부모들은 내가 그의 어린이집 선생님들에게 명료하고 효과적인 알레르기 주의표를 만들어 주는 방법을 생각해 내는 데 도움을 주었다. 그들은 식당에서 음식을 안전하게 주문하는 방법에 관한 조언을 공유했다. 그들의 경험은 매우 귀중했고, 그들은 또한 다른 어느 누구도 그럴 수 없는 방식으로 정서적으로 도움이 되었다.
TEST3강 3번
Did you know that fluoridated toothpaste, 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 technology, N-95 masks, and blood banking all have origins in academic research labs? The discoveries that contributed to these successful innovations may well have remained of purely academic interest had researchers not taken active steps to move those discoveries into the realm of invention. By doing so, those inventors changed the world. You as a researcher want your work to matter. You spend long hours designing, conducting, and analyzing experiments, and then you think hard about how and where to disseminate the results. Researchers present their work via seminars, conference posters and presentations, book chapters, and journal publications ― primarily targeting other academic researchers. We now challenge you to think more broadly about taking your messages to additional audiences, especially those that have commercial capabilities.
불소를 넣은 치약, 자기 공명 영상(MRI) 기술, N-95 마스크, 그리고 혈액은행이 모두 대학 연구실에서 기원했다는 것을 알고 있었는가? 이 성공한 혁신들에 기여한 발견들은 연구자들이 그 발견들을 발명의 영역으로 옮겨 갈 적극적 조치를 취하지 않았다면 아마도 순전히 학문적으로 흥미로운 것으로 남았을 것이다. 그렇게 함으로써 그 발명가들은 세상을 바꾸었다. 연구자로서 여러분은 여러분의 연구가 중요하기를 원한다. 실험을 설계하고 실시하고 분석하느라 오랜 시간을 보내고, 그러고 나서는 어떻게 어디로 그 결과를 전파할 것인지에 관해 골똘히 생각한다. 연구자는 세미나, 학회 포스터와 발표, 저서의 장(章), 그리고 학술지 출판물을 통해 자기 연구를 공개하는데, 주로 다른 학술 연구자를 대상으로 한다. 우리는 지금 여러분에게 여러분의 메시지를 그 밖의 독자들, 특히 상업적 역량이 있는 사람들에게 가져가는 것에 관해 더 폭넓게 생각해보라고 요구한다.
TEST3강 4번
It is rumored that Michael Jordan practiced more than anyone else, was always up for another practice game, or a card game, a round of golf, shooting baskets far into the night while his teammates were done and gone. Ericsson and Pool reference this continued energy as maintenance, yet in light of Jordan's remarkable level of energy throughout the night following a demanding game, it was far beyond maintenance. It was self-invigorating and self-renewing. It was a self-fulfilling prophecy that flowed like a humming mantra: "The more one does, the more one can do." To put this into terms for invigorating the students in our classrooms, it is easy to rally students with a similar trigger. By planning a show or exhibition of their work or a demonstration of their performances, students are motivated with renewed energy as they prepare to showcase their work. The invitation to show their artwork, or perform in the PE demonstration, or participate in the school musical performance or the school poetry fest seems to do the trick. Humans are motivated to act by enticements that matter to them: endeavors that are relevant and raise the bar on the mundane routines of the everyday class work.
Michael Jordan은 팀 동료들이 끝내고 가 버린 동안에 밤늦게까지 바스켓을 향해 슈팅 연습을 하면서, 다른 누구보다 연습을 더 많이 했으며 늘 기꺼이 또 한 번의 연습 게임, 혹은 카드 게임이나 골프 한 라운드를 하려고 했다는 소문이 있다. Ericsson과 Pool은 이러한 지속적인 활력을 유지 관리라고 언급하지만, 힘든 경기 후 밤새도록 지속된 Jordan의 놀랄 만한 수준의 활력을 고려해 볼 때 그것은 유지 관리를 훨씬 넘어서는 것이었다. 그것은 스스로 활기를 불어넣는 것이고 스스로 새롭게 하는 것이었다. 그것은 "많이 하면 할수록 다 많이 할 수 있다."라는 흥얼거리는 주문처럼 흘러나오는 자기 충족적인 예언이었다. 이를 우리 교실에서 학생들에게 활기를 불어넣기 위한 말로 설명하자면, 비슷한 유인으로 학생들을 고무하는 것은 쉬운 일이다. 자기 작품의 품평회나 전시회, 또는 자신의 성과에 대한 발표회를 계획함으로써 학생들은 자신의 작품을 소개할 준비를 하는 동안 새로운 활기로 동기를 부여받는다. 자기 미술 작품을 전시하거나, 체육 발표에서 실연하거나, 학교의 뮤지컬 공연이나 학교 시 축제에 참여하도록 권유하는 것이 효과가 있는 것 같다. 인간은 자신에게 중요한 유인책, 곧 유의미하면서 매일의 교실 수업의 평범한 일과에 대한 기준을 높이는 시도에 의해 행동의 동기를 부여받는다.
TEST3강 5번
I have been teaching a course on leadership for many years and have concluded that the main way you can distinguish good from not so good leaders is in who they are looking out for. Bad leaders always have one person in mind ― themselves. They may say they care about others; they may do things that seem to show care for others; they even may appear to be sad when hearing about the misfortunes of others. But in the end, they always look out for #1 ― themselves. When they help others, it is to help themselves or merely to demonstrate overtly but falsely how caring and considerate they are. When they listen to others, it is to figure out what's in it for them. When they act in ways to benefit others, they always have themselves in mind first. Just as criminologists sometimes say that to figure out the perpetrators of a crime, you should follow the money, to figure out who is a good leader, you should follow the benefits ― whom is the leader trying to benefit, and in particular, is it anyone beyond him- or herself, or those who immediately can benefit him- or herself?
나는 여러 해 동안 리더십에 대한 강의를 해 왔는데, 좋은 지도자들을 그다지 좋지 않은 지도자들과 구별할 수 있는 주요한 방법은 그들이 누구의 이익을 생각하는가에 있다고 결론을 내렸다. 나쁜 지도자들은 늘 한 사람만 염두에 두고 있는데, 바로 자신이다. 그들은 자신이 다른 사람들에 대해 배려한다고 말할지도 모르고, 다른 사람들에 대한 배려를 보여 주는 것처럼 보이는 일을 할지도 모르고, 심지어 다른 사람들의 불행에 관해 들을 때 슬퍼하고 있는 것처럼 보일지도 모른다. 그러나 결국 늘 그들은 첫째가는 사람, 즉 자기 자신의 이익을 생각한다. 그들이 다른 사람들을 도울 때 그것은 자기 자신을 돕기 위해서이거나 그저 자기가 얼마나 배려하고 사려 깊은지를 공공연하지만 그릇되게 보여 주기 위해서이다. 그들이 다른 사람들에게 귀 기울일 때, 그것은 거기에 자기에게 이익이 되는 무엇이 있는지 알아내기 위해서이다. 그들이 다른 사람들에게 이득을 주는 방식으로 일할 때, 그들은 늘 자기 자신을 먼저 염두에 두고 있다. 마치 가끔 범죄학자들이 범죄의 가해자를 알아내기 위해 돈을 주시해야 한다고 말하는 것과 꼭 마찬가지로, 누가 훌륭한 지도자인지를 알아내기 위해서는 이득을 주시해야 한다. 즉, 지도자가 이득을 주려고 애쓰는 사람이 누구인가, 그리고 특히 그 사람이 자신이 아닌 어떤 사람인가, 아니면 자신에게 직접 이득을 줄 수 있는 사람들인가?
TEST3강 6번
In Ise, Japan, the Shinto Grand Shrine is disassembled every twenty years and an exact replica, rebuilt of similar materials, is assembled in the same place. In this form of preservation, perpetuating the building techniques and the ritual act of re-creation matters more than the physical continuity of the structure. Similarly, the ancient White Horse of Uffington in England was "re-created" for centuries by locals, who scraped the chalk figure every seven years to keep it from being obscured by growing vegetation. Likewise, cultures that rely on oral traditions retain their sense of cultural heritage without any tangible objects at all, but rather by retelling stories from the past. These and other traditional or "folk" ways of retaining heritage bring the past and present together, fused in a repeating, cyclical sense of custom through use and interaction in everyday life.
일본의 Ise에 있는 Shinto Grand Shrine은 20년마다 해체되어 유사한 재료로 다시 만든 정확한 복제품이 같은 장소에 조립된다. 이런 형태의 보존에서 건축 기법과 재창조의 의식 행위를 영구화하는 것이 구조물의 물리적인 연속성보다 더 중요하다. 비슷하게 영국의 고대 White Horse of Uffington은 지역 주민들에 의해 수 세기 동안 '재창조되었는데' 지역 주민들은 자라는 초목에 (그것이) 보이지 않게 되는 것을 막기 위해 백악 형상을 7년마다 긁어냈다. 마찬가지로, 구전에 의존하는 문화는 어떤 유형의 물체가 전혀 없이, 오히려 과거로부터 내려오는 이야기를 다시 함으로써, 문화유산에 대한 자신들의 감각을 유지한다. 유산을 유지하는 이런 그리고 여타 전통적이거나 '민속적인' 방법들은 일상생활에서의 활용과 상호 작용을 통해 반복적이고 순환되는 관습이라는 느낌으로 융합되어 과거와 현재를 결합시킨다.
TEST3강 7번
Students bring energy and creativity to solving campus environmental problems, finding resources, and collecting detailed information. They are eager and energetic and contribute a unique perspective to the process of environmental action, although they are often overlooked as a resource by staff and administrators. Students' own systems of governance can be effective vehicles for promoting environmental change. Students across the country have advocated for recycling programs and other environmental initiatives at many schools. Commonly, they provide the volunteer labor to begin and promote a program. The most successful and lasting programs are partnerships between students and university staff and administrators. At Tufts University, student pressure and activism led to divestment from a utility company because its planned hydroelectric plant threatened sensitive ecosystems and indigenous people. A student lawsuit at UCLA forced improved ventilation in the art studios.
학생들은 캠퍼스의 환경 문제를 해결하고, 자원을 찾고, 상세한 정보를 수집하는 데 힘과 창의력을 발휘한다. 비록 직원과 관리자에 의해 자주 재원(財源)으로 무시되기는 하지만, 그들은 열정적이고 활력이 넘치며 환경 행동 과정에 독특한 관점을 제공한다. 학생들 자신의 관리 체계는 환경 변화를 촉진하는 데 효과적인 수단이 될 수 있다. 전국의 학생들은 많은 학교에서 재활용 프로그램과 여타의 환경 관련 계획들을 지지해 왔다. 일반적으로 그들은 프로그램을 시작하고 홍보하기 위해 자원봉사를 제공한다. 가장 성공적이고 지속적인 프로그램은 학생과 대학 직원 및 관리자 간의 협력이다. Tufts 대학교에서는 학생들의 압력과 행동주의로 인해 한 전기 공급 회사는 투자를 회수하게 되었는데, 그 이유는 그 회사가 계획한 수력 발전소가 민감한 생태계와 토착민들을 위협했기 때문이다. UCLA의 학생 소송은 화실의 환기를 개선하도록 강제했다.
TEST3강 8번
The above graph shows EU-28 population by age group and participation in tourism in 2017. In all of the age groups, the number of people who participated in tourism was over 30 million. In the 35-44 age group, the number of people who participated in tourism was more than 40 million. The percentage of people aged 25-34 who participated in tourism was higher than that of people aged 55-64 who participated in tourism. In the 55-64 age group, the percentage of the population who participated in tourism was more than double the percentage of the population who did not. Only in the 65 years or over age group was the percentage of people who did not participate in tourism higher than that of people who participated in tourism.
위의 도표는 2017년 연령대별 EU-28의 인구와 관광 여행 참여를 보여 준다. 모든 연령 집단에서 관광 여행에 참여한 사람의 수는 3천만 명이 넘었다. 35~44세의 연령 집단에서, 관광 여행에 참여한 사람들의 수는 4천만 명을 넘었다. 관광 여행에 참여한 25~34세 사람들의 비율은 관광 여행에 참여한 55~64세 사람들의 비율보다 더 높았다. 55~64세의 인구 집단에서 관광 여행에 참여한 인구의 비율은 그렇지 않은 인구 비율의 2배가 넘었다. 65세 이상의 연령 집단에서만, 관광 여행에 참여하지 않은 사람들의 비율이 관광 여행에 참여한 사람들의 비율보다 더 높았다.
TEST3강 9번
The Philippine eagle lives in the forests of the Philippines. It is one of the rarest and most powerful birds in the world, with a wingspan of over 7 feet. Its main diet is monkeys and medium-sized mammals, a fact that has earned it a second name, "monkey-eating eagle." It hunts during the day, beginning at the top of a mountain and moving down from tree to tree. This allows it to soar from one location to another, conserving energy since it doesn't have to flap its wings. Two eagles will sometimes hunt together, one soaring overhead to distract a group of monkeys while the other swoops in for the kill. Because of habitat destruction, the Philippine eagle is critically endangered, with fewer than 750 left in the wild. Mating pairs have only one chick every two years, making the population slow to recover. Luckily, the only known predators of the eagle are humans. The birds have been protected as the national bird of the Philippines since 1995. Killing one is punishable by 12 years in jail!
필리핀 독수리는 필리핀의 숲에서 산다. 그것은 날개의 폭이 7피트가 넘는, 세계에서 가장 희귀하고 강한 새 중 하나이다. 그것의 주식은 원숭이와 중간 크기의 포유동물인데, 이 사실로 '원숭이를 먹는 독수리'라는 두 번째 이름을 얻었다. 그것은 산꼭대기에서 시작하여 나무에서 나무로 내려오면서 낮 동안 사냥한다. 이렇게 하면, 날개를 퍼덕거릴 필요가 없기 때문에 에너지를 절약하면서, 한 곳에서 다른 곳으로 날아오를 수 있다. 가끔 독수리 두 마리가 함께 사냥을 하곤 하는데, 한 마리는 원숭이 무리의 주의를 분산시키기 위해서 머리 위로 활공하고, 그동안에 다른 한 마리는 사냥감을 잡으려고 급습하여 들어온다. 서식지 파괴로 인해 필리핀 독수리는 심각한 멸종 위기에 처해 있는데, 야생에서 남은 것은 750마리가 채 안 된다. 짝짓기를 하는 쌍은 2년마다 새끼 한 마리만 가져서 개체 수의 회복을 더디게 한다. 다행히도, 독수리의 유일한 포식자로 알려진 것은 인간이다. 이 새들은 1995년부터 필리핀의 국조로 보호되어 왔다. 한 마리를 죽이면 징역 12년형의 처벌을 받을 수 있다!
TEST3강 12번
People consume a range of ingredients to attain a balanced diet. And yet, people can tire of the sameness and out of curiosity desire to experience new tastes and textures. This taste dilemma has developed throughout mammalian history, as humans evolved to adapt to many habitats. Humans are omnivores. Being omnivorous requires exploration and innovation. Yet, as Paul Rozin sees it, exploration and testing can lead to anxiety because of a fear of eating new, foreign food, not knowing whether it will be disgusting or tasty. Rozin has written about this hypothesis of food selection that humans (and rats!) have an aversion to consuming new foods yet at the same time have a drive to do so. He proposes that there is a paradox surrounding our food choice habits, a form of cognitive dissonance. This dilemma drives humans to eat beyond our biological imperative as we eat more and more variety than is needed for survival.
사람들은 균형 잡힌 식단을 얻기 위해 다양한 재료를 섭취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사람들은 같은 것에 싫증을 느낄 수 있고 호기심으로 인해 새로운 맛과 질감을 경험하고 싶어 한다. 이 미각 딜레마는 포유류 역사 전반에 걸쳐 발생해 왔는데 인간이 많은 거주 환경에 적응하도록 진화했기 때문이다. 인간은 잡식 동물이다. 잡식성이 되는 데는 탐색과 혁신이 필요하다. 그러나 Paul Rozin이 생각하듯이, 새롭고 익숙하지 않은 음식이 역겨울지 맛있을지 알지 못하므로 그것을 먹는 데 대한 두려움 때문에, 탐색과 시험은 불안으로 이어질 수도 있다. Rozin은 인간(그리고 쥐!)이 새로운 음식을 섭취하는 것에 대해 반감을 가지고 있지만 동시에 그렇게 하려는 욕구가 있다는 음식 선택의 이 가설에 관한 글을 썼다. 그는 인지 부조화의 한 형태로 우리의 음식 선택 습관을 둘러싼 역설이 있다는 점을 제시한다. 우리가 생존에 필요한 것보다 점점 더 다양한 음식을 먹게 되면서, 이 딜레마는 인간을 생명 유지의 필수 요소 이상으로 먹도록 몰아간다.
TEST3강 13번
Like an addiction to anything, when the craving for certainty is met, there is a sensation of reward. At low levels, for example, when predicting where your foot will land as you walk, the reward is often unnoticeable (except when your foot doesn't land the way you predicted, which equates with uncertainty). The pleasure of prediction is more acute when you listen to music based on repeating patterns. The ability to predict, and then obtain data that meets those predictions, generates an overall toward response. It's part of the reason that games such as solitaire, Sudoku, and crossword puzzles are enjoyable. They give you a little rush from creating more certainty in the world, in a safe way. Entire industries are devoted to resolving larger uncertainties: from shop-front palm readers, to the mythical "black boxes" that can supposedly predict stock trends and make investors millions. Some parts of accounting and consulting make their money by helping executives experience a perception of increasing certainty, through strategic planning and "forecasting". While the financial markets of 2008 showed once again that the future is inherently uncertain, the one thing that's certain is that people will always pay lots of money at least to feel less uncertain. That's because uncertainty feels, to the brain, like a threat to your life.
무엇이든지 그것에 대한 중독처럼 확실성에 대한 갈망이 충족될 때에도, 보상의 느낌이 있다. 낮은 수준에서는, 예를 들어, 걸으면서 발이 어디에 착지할지를 예측할 때는, (발이 예측대로 착지하지 않는 경우는 그것이 불확실성과 동일하므로 제외하고) 보상은 눈에 띄지 않는 경우가 많다. 반복되는 패턴을 바탕으로 한 음악을 들을 때 예측의 즐거움은 더 강하다. 예측한 다음 그러한 예측을 충족하는 데이터를 얻을 수 있는 능력은 전체적으로 '순조로운' 반응을 생성한다. 그것은 솔리테르(혼자서 하는 카드놀이), 스도쿠, 크로스워드 퍼즐과 같은 게임이 즐거운 이유의 일부이다. 그것들은 세상에서 더 많은 확실성을 안전한 방식으로 만드는 것으로부터 오는 약간의 쾌감을 제공한다. 상점 앞에서 손금을 보는 사람에서부터 주식 동향을 예측하고 어쩌면 투자자가 한밑천 잡을 수 있게 해 줄 수 있다고 하는 신화에나 나옴직한 '블랙박스'에 이르기까지 전체 산업이 더 큰 불확실성을 해결하는 데 전념하고 있다. 회계 및 컨설팅의 일부분은 전략적안 계획과 '예측'을 통해 경영 간부들이 증가하는 확실성에 대한 인식을 경험할 수 있도록 도움으로써 수익을 창출한다. 2008년의 금융 시장은 미래가 본질적으로 불확실하다는 것을 다시 한번 보여 주었지만, 한 가지 확실한 것은 사람들이 적어도 불확실성을 덜 '느끼기' 위해 항상 많은 돈을 지불하려 한다는 점이다. 왜냐하면 불확실성이 뇌에는 삶에 대한 위협처럼 느껴지기 때문이다.
TEST3강 14번
One of the earliest experiments investigating the distortions caused by categorization was a simple study in which subjects were asked to estimate the lengths of a set of eight line segments. The longest of those lines was 5 percent longer than the next in the bunch, which, in tum, was 5 percent longer than the third longest, and so on. The researchers asked half their subjects to estimate the lengths of each of the lines, in centimeters. But before asking the other subjects to do the same, they artificially grouped the lines into two sets ― the longer four lines were labeled "Group A," the shorter four labeled "Group B." The experimenters found that once the lines were thought of as belonging to a group, the subjects perceived them differently. They judged the lines within each group as being closer in length to one another than they really were, and the length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as being greater than it actually was.
범주화로 인한 왜곡을 연구한 가장 초창기의 실험 중 하나는 피험자에게 한 묶음으로 된 여덟 개의 끈 토막의 길이를 추정하도록 요청한 간단한 연구였다. 그중 가장 긴 줄은 그 꾸러미에 있는 다음 줄보다 5퍼센트 더 길었고, 그것은 다시 세 번째 긴 끈보다 5퍼센트 더 길었으며, 그런식으로 계속되었다. 연구원들은 피험자 절반에게 각 끈의 길이를 센티미터 단위로 추정하도록 요청했다. 하지만 다른 피험자들에게 똑같이 하도록 요청하기 전에, 그들은 인위적으로 끈을 두 묶음으로 분류했는데, 더 긴 네 개의 끈은 '그룹 A'로 불렸고, 더 짧은 네 개는 '그룹 B'로 불렸다. 실험자들은 그 끈이 어떤 그룹에 속한다고 생각되면 그 피험자들은 그것들을 다르게 인식한다는 것을 발견했다. 그들은 각 그룹 내의 끈이 실제보다 길이가 서로 더 비슷하고, 두 그룹 간의 길이 차이는 실제보다 더 크다고 판단했다.
TEST3강 15번
In my research with Liane Young and James Dungan of Boston College, we studied the effects of loyalty on people using Amazon's Mechanical Turk, an online marketplace where users earn money for completing tasks. At the beginning of the study, we asked some participants to write an essay about loyalty and others to write about fairness. Later in the study, they were each exposed to poor work by someone else. Those who had received the loyalty nudge were less willing to blow the whistle on a fellow user for inferior performance. This finding complements research showing that bribery is more common in countries that prize collectivism. The sense of group belonging and interdependence among members often leads people to tolerate the offense. It makes them feel less accountable for it, diffusing responsibility to the collective whole instead of assigning it to the individual. In short, empathy for those within one's immediate circle can conflict with justice for all.
Boston 대학의 Liane Young 및 James Dungan과 함께한 나의 연구에서, 우리는 이용자들이 과업을 완수한 것에 대해 돈을 버는 온라인 시장인 Amazon의 Mechanical Turk를 이용하는 사람들에게 충성도가 미치는 영향을 연구했다. 연구를 시작할 때, 우리는 몇몇 참가자들에게 충성도에 관한 에세이를 쓰도록 요청했고, 다른 참가자들에게는 공정성에 관한 에세이를 쓰도록 했다. 그 연구의 후반부에서, 그들은 각각 다른 사람이 한 서투른 작업을 접했다. 충성도 자극을 받은 사람들은 열등한 수행 능력에 대해 동료 이용자를 기꺼이 고자질하려는 마음이 덜했다. 이 연구 결과는 집단주의를 높이 평가하는 나라에서 뇌물이 더 흔하다는 것을 보여 주는 연구를 보완한다. 구성원들 사이의 집단 소속감과 상호 의존성이 흔히 사람들로 하여금 그 범죄를 용인하도록 한다. 그것은 그들이 그것에 대해 책임감을 덜 느끼도록 만들고, 책임을 개인의 탓으로 돌리는 대신에 집단 전체에 분산시킨다. 간단히 말해서, 자신의 가장 가까운 범위 안에 있는 사람들에 대한 공감은 모두를 위한 정의와 충돌할 수 있다.
TEST3강 16번
Social engineering is a method of gaining access to systems, data, or buildings through the exploitation of the human psychology. As foolish as it may sound, some companies and organizations think that they are resistant to the threat of social engineering. On the contrary, no organization is immune to social engineering, not even the White House or any other prominent system. For instance, a contest was held at a security conference wherein the participants were asked to obtain information from target companies, which could be utilized for a hypothetical attack. Out of the 140 phone calls that were made to employees of the target companies, almost all the employees divulged information except for five, who refused to give out anything. In addition, 90% of the employees clicked on a URL, which was sent to them by the participants. These employees did not even bother knowing the person who sent it. This security conference concluded on how wide and dangerous the scope of social engineering is for all systems and organizations.
사회 공학은 인간의 심리를 이용하여 시스템, 정보, 또는 건물에 접근하는 방법이다. 어리석게 들릴지 모르지만, 일부 회사와 조직은 그들이 사회 공학의 위협에 저항력이 있다고 생각한다. 이와 반대로, 사회 공학에 영향을 받지 않는 조직은 없으며, 심지어 백악관이나 다른 어떤 탁월한 시스템도 마찬가지이다. 예를 들어, 한 보안 학회에서 대회가 열렸는데, 거기에서 참가자들은 가상 공격에 활용될 수 있는 정보를 표적 회사로부터 얻어 낼 것을 요구받았다. 표적 회사의 직원들에게 걸었던 140통의 전화 통화에서 아무것도 내놓지 않았던 다섯 명을 제외하고는 거의 모든 직원이 정보를 누설했다. 게다가, 직원의 90퍼센트는 참가자가 그들에게 보낸 URL을 클릭했다. 이 직원들은 심지어 그것을 보낸 사람을 알려고도 하지 않았다. 이 보안 학회는 모든 시스템과 조직에게 있어 사회 공학의 범위가 참으로 광범위하고 위험하다고 결론지었다.
TEST3강 17번
More often than not, key environmental influences on personality occur during a person's early life, so it would require a time machine to fix things ― think Back to the Future. It is also quite common for nurture to act in concert with nature, accentuating predispositions or enhancing existing potential. For example, ambitious people tend to have competitive jobs, and as their jobs become more competitive they tend to become more ambitious as a result. Likewise, extraverts may choose jobs that require a great deal of networking and interpersonal schmoosing. Yet adaptation to those jobs tends to increase their extraversion even further. And so personal qualities, including talent-related traits, are always influenced by both nature and nurture, but often in the same direction, such that nurture ends up amplifying characteristics that were already there to begin with. In that sense, the more people change, the more they become like themselves. By and large, as we grow older we all become exaggerated versions of our earlier selves.
대개 성격에 미치는 주요한 환경적 영향은 한 개인의 어린 시절 동안 발생하므로, 상황을 고치기 위해서는 타임머신이 필요할 텐데, 영화 Back to the Future를 생각해 보라. 또한 후천성은 성향을 두드러지게 하거나 기존의 잠재력을 향상시키면서 선천성과 함께 작용하는 경우가 아주 흔하다. 예를 들어, 야심을 가진 사람들은 경쟁하는 직업을 갖는 경향이 있고, 그들의 직업이 더 경쟁적으로 될수록 그들은 결과적으로 더 야심을 가지게 되는 경향이 있다. 마찬가지로, 외향적인 사람들은 많은 인적 네트워크 형성과 개인 간의 한담을 나누는 것을 필요로 하는 직업을 선택할 수도 있다. 하지만 그러한 직업에 대한 적응은 그들의 외향성을 훨씬 더 증가시키는 경향이 있다. 그래서 재능과 관련된 특성을 포함하여 개인적 자질은 항상 선천성과 후천성 양쪽 모두에 의해서, 하지만 흔히 같은 방항으로 영향을 받는데, 후천성이 결국 이미 처음부터 존재했던 특성을 증폭했던 방식이다. 그런 면에서 사람들은 더 많이 변할수록 그만큼 더 자신처럼 된다. 대체로, 우리가 나이가 들면서 우리는 모두 우리의 초기 모습의 부풀려진 형태가 된다.
TEST3강 18번
People often confuse two different standards for thinking, which we might call the "good thinker" (active open-mindedness) and the "expert." Because experts know the answer to most questions, they usually do not have to consider alternatives or counterevidence. If we admire experts, we may come to admire people who are "decisive" in the sense of being rigid. When a news commentator criticizes a political candidate for waffling and being unsure (as might befit a good thinker faced with many of the issues that politicians must face), the implication is that the candidate is not expert enough to have figured out the right answer. Similarly, a person who adopts a know-it-all tone ― speaking without qualification or doubt ― is giving a sign of expertise. Some parents (perhaps because they are experts about the matter under discussion) talk this way to their children, who come to think of it as a "grown-up" way to talk.
사람들은 흔히 생각에 대한 두 가지 다른 기준을 혼동하는데, 우리는 그것을 '훌륭한 사색가'(적극적인 열린 마음)와 '전문가'라고 부를 수도 있을 것이다. 전문가들은 대부분의 질문에 대한 답을 '알고' 있기 때문에, 그들은 보통 대안이나 반증을 고려할 필요가 없다. 우리가 만약 전문가들을 존경한다면, 우리는 완고하다는 의미에서 '결단력 있는' 사람들을 존경하게 될지도 모른다. 뉴스 해설자가 정치 후보자가 모호한 태도를 보이고 확신이 없다고 (그것은 정치인이 반드시 직면해야 하는 문제 중 많은 것에 직면한 훌륭한 사색가에게 걸맞을 수도 있겠지만) 비판할 때, 이것이 내포하는 것은 그 후보자는 올바른 답을 생각해 냈을 만큼 충분히 전문적이지는 않다는 것이다. 마찬가지로, 무조건적으로 또는 의심의 여지 없이 말하면서 모든 것을 다 아는 듯한 어조를 취하는 사람은 전문성의 신호를 주고 있는 것이다. 어떤 부모들은 (아마도 그들이 논의 중인 사안에 대하여 '정말로' 전문가이기 때문에) 자녀들에게 이런 방식으로 이야기하는데, 그들은 그것을 '어른스러운' 말하기 방식으로 여기게 된다.
TEST3강 19번
Any object will experience a temperature decrease if it emits more radiation than it absorbs. At night, the Earth's surface emits infra-red radiation, but since the Sun is not shining, it absorbs very little radiation (in fact, it only absorbs the infra-red that is emitted by the atmosphere downward toward the surface). Thus, the Earth's surface cools all night long. When the sun finally peaks over the horizon, the Earth is still emitting a good amount of infra-red radiation. In fact, it is still emitting more than it absorbs from the first faint rays of sunshine at dawn. Not until the incoming solar radiation grows larger, some time after sunrise, does the incoming radiation finally equal the outgoing infra-red radiation. At that precise moment, the temperature will have reached its minimum value, for in the next minute, the incoming solar radiation will be larger than the outgoing infra-red, and so absorption will exceed emission and the temperature will rise as a consequence.
어떤 물체든 흡수하는 것보다 더 많은 복사 에너지를 방사하면 온도의 하락을 겪게 될 것이다. 밤에 지구의 표면은 적외선 복사 에너지를 방사하지만, 태양이 비치고 있지 않기 때문에, 그것은 아주 적은 양의 복사 에너지를 흡수한다. (실제로 그것[지구의 표면]은 대기에 의해 지표면을 향하여 아래 방항으로 방사되는 적외선만 흡수한다.) 따라서, 지구의 표면은 밤새도록 식는다. 태양이 마침내 지평선 위로 우뚝 솟을 때, 지구는 여전히 상당한 양의 적외선 복사 에너지를 방사하고 있다. 사실 지구는 여전히 희미한 새벽 첫 햇살로부터 흡수하는 것보다 더 많이 방사하고 있다. 일출 후 어느 정도 시간이 지나서, 들어오는 태양 복사 에너지가 더 커지게 되어서야 비로소 들어오는 복사 에너지가 나가는 적외선 복사 에너지와 결국 같아지게 된다. 바로 그 순간에 온도는 최솟값에 도달하게 될 것인데, 왜냐하면 다음 순간에, 들어오는 태양 복사 에너지는 나가는 적외선보다 더 커질 것이고, 따라서 흡수량이 방사량을 초과하게 되어, 그 결과로 온도가 상승하게 될 것이다.
TEST3강 20번
Some experts argue that until the world's distribution of wealth is altered, population will not be controlled. For example, Piel proposed that population control closely follows economic development, which enables people to escape from the poverty cycle. In other words, as poverty lessens, birth rates also decrease because women have better educational and professional opportunities as well as access to birth control. Lowered infant mortality accompanies economic development, and improved nutrition and medical care also helps to reduce birth rates. But unfortunately, poverty has been growing. More than one billion people in the world live in desperate poverty without the basic resources of clean water, adequate food, shelter, or sanitation. Even in developed countries such as the United States, more than one person in nine (11.3%) fell below the official poverty line in 2000. If current practices continue, one half of the world's population will live in absolute poverty by 2050, meaning too poor to grow or buy enough food, or maintain a job.
몇몇 전문가들은 세계의 부의 분배가 바뀌기 전까지는 인구가 억제되지 않을 것이라고 주장한다. 예를 들어, Piel은 인구 억제가 경제 발전을 밀접하게 뒤따르는데, 이것은 사람들이 빈곤의 순환에서 벗어날 수 있게 해 준다고 제언했다. 다시 말해서, 빈곤이 줄어듦에 따라 출산율도 감소하는데, 이는 여성들이 피임을 더 쉽게 이용하는 것과 더불어 더 나은 교육 및 직업의 기회를 가지기 때문이다. 영아 사망률 저하가 경제 발전에 동반되며, 영양과 의료 서비스의 개선 또한 출산율을 낮추는 데 도움이 된다. 하지만 불행하게도, 빈곤은 증가해 오고 있다. 세계의 10억이 넘는 사람들이 깨끗한 물, 적절한 음식, 주거지, 또는 위생 시설이라는 기초 자원 없이 극심한 빈곤 속에서 살고 있다. 심지어 미국과 같은 선진국에서도, 2000년에 9명 중 1명이 넘는 수(11.3퍼센트)가 공식적인 빈곤선 아래로 떨어졌다. 만약 현재의 관행이 계속된다면, 세계 인구의 절반이 2050년이 되면 절대적 빈곤 속에서 살게 될 것이고, 이것은 너무 가난해서 충분한 식량을 재배하거나 구입할 수 없는 것 혹은 직업을 유지할 수 없는 것을 의미한다.
TEST3강 21번
The introduction of digital technology has presented customers with transparency and new ways to search for information about products. Consumers are increasingly relying on online reviews on the internet or "word of mouth" from friends. The change in consumer behavior has likewise presented firms with a new way to connect with its customer base. Firms that are the most effective at connecting information regarding the customer's path to purchase (supporting the buying process) are able to position themselves strongly in the future market. Several large organizations have realized that competitive advantage is no longer derived from low cost or product differentiation. Instead, competitive advantage is gained and sustained through a platform offering a system of connected and complementary products that raise consumer's switching costs through strong network effects, meaning the higher the value of the platform is, the more people use it. Network effects and knowledge of customer behavior and needs provide the driving force behind any successful organization and platform, together with a demand-driven approach (what will customers want and why?).
디지털 기술의 도입은 고객들에게 투명성과 제품에 대한 정보를 검색하는 새로운 방법을 제공했다. 소비자들은 점점 더 인터넷상의 온라인 후기나 친구들의 '입소문'에 의존하고 있다. 소비자 행동의 변화는 마찬가지로 기업에게 자사의 고객층과 연결될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을 제공하였다. 고객의 구매로 이어지는 길에 관한 정보를 연결하는(구매 과정을 지원하는) 데 가장 효과적인 기업은 미래 시장에서 확고하게 자신의 자리를 잡을 수 있다. 몇몇 대기업은 경쟁 우위가 더 이상 낮은 비용이나 제품 차별화로부터 얻어지지 않는다는 것을 깨달았다. 대신에, 강력한 네트워크 효과를 통해 소비자의 전환 비용을 높이는 연결된 상호 보완적인 제품의 체계를 제공하는 플랫폼을 통해 경쟁 우위가 확보되고 유지되는데, 이는 플랫폼의 가치가 더 높을수록 사람들이 그것을 더 많이 이용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네트워크 효과와 고객의 행동 및 욕구에 대한 지식이 수요 주도적 접근 방식(고객은 무엇을 원할 것이며 그 이유는 무엇인가?)과 함께 모든 성공적인 조직 및 플랫폼을 뒷받침하는 원동력을 제공한다.
TEST3강 22번
Adapted to life in the icy environment in the Antarctic Ocean, where their bodies are at the same glacial temperature as the seas around them, krill are reliant on an unusual internal chemistry. For instance, they possess some of the most powerful and unusual digestive enzymes known in nature. Enzymes are biological catalysts, vastly accelerating processes such as digestion. Our own enzyme processes, and those of most other animals, slow down dramatically as the temperature drops. Krill enzymes, though, have some extreme working conditions to cope with, and consequently, they've evolved to be superpowerful. The amazing characteristics of krill enzymes have recently been used for human medicine, to treat wounds and infections, bedsores, gastrointestinal disorders, and blood clots, to name but a few applications. Scientific advances on this scale are rare. When they do occur, it's amazing how often they emerge in the most unlikely circumstances, from research into what might be regarded as unpromising animals. It's another reason to make sure that we do our utmost not only to safeguard krill but to value all the biological wealth of the planet.
크릴은 남극해의 차가운 환경에서의 생활에 적응해 있고, 그곳에서는 그들의 몸도 주변의 바다와 같이 빙하의 온도이므로, 특이한 체내 화학작용에 의존한다. 예를 들어, 그들은 자연에서 알려진 가장 강력하고 특이한 소화 효소 중 일부를 가지고 있다. 효소는 생물학적 촉매이며, 소화와 같은 과정을 크게 가속한다. 우리 자신의 효소 작용, 그리고 대부분의 다른 동물의 그것은 온도가 떨어짐에 따라 급격하게 느려진다. 하지만 크릴 효소는 대처해야 할 몇몇 극한의 작용 환경을 가지고 있고, 결과적으로, 그것은 진화하여 매우 강력해졌다. 크릴 효소의 놀라운 특징들은 몇 가지 적용 사례만 예로 들자면, 부상과 감염, 욕창, 위장 장애 및 혈전 등을 치료하기 위하여 최근에 인간의 의약품에 사용되어 왔다. 이러한 규모의 과학적 발전은 흔치 않다. 그러한 발전이 일어날 때, 가망이 없는 동물로 여겨질 수도 있는 것에 대한 연구로부터, 가장 예상 밖의 환경에서 그러한 발전이 참으로 자주 출현하는 것은 놀라운 일이다. 그것이 바로 우리가 크릴을 보호하기 위해서뿐만 아니라 지구의 모든 생물학적 재산을 소중하게 여기기 위해서 반드시 최선을 다해야 하는 또 다른 이유이다.
TEST3강 23번
Cultural values are fundamental within a workplace because they define the terms of the psychological contracts that an employee holds with the organization. Unlike formal contracts of employment, psychological contracts are unwritten, often unarticulated, and usually only exist as assumptions. In a culturally homogeneous setting, assumptions are generally understood and shared, so the psychological contracts in play may be relatively clear: rewards are dependent on how well you do, the employee expects to stay in the organization for many years or for just a few years, the corporate ethos reflects the ethos of that particular society, and so on. However, in a culturally diverse workforce people may have very different expectations of the psychological contract. For example, in some cultures an organization may reward people because of their family connections rather than on the basis of their performance, or, in the case of transnational corporations, the overall corporate ethos is very different to that of the host nation.
문화적 가치는 직원이 조직과 맺고 있는 심리적 계약의 조건을 규정하기 때문에 직장 내에서 핵심적이다. 정식 고용 계약과는 달리, 심리적 계약은 성문화되지 않고, 흔히 분명히 표현되지 않으며, 보통 추정으로만 존재한다. 문화적으로 동질한 환경에서는 추정되는 것이 일반적으로 이해되고 공유되므로, 작동 중인 심리적 계약이 비교적 명확할 수 있다. 즉 보상이 여러분이 얼마나 잘 하느냐에 달려 있다는 것, 직원은 여러 해 동안 또는 단지 몇 년 동안만 조직 내에 머물기를 기대한다는 것, 기업 정신이 그 특정한 사회의 정신을 반영한다는 것 기타 등등이다. 그러나 문화적으로 다양한 직원들 속에서는 사람들이 심리적 계약에 대해 서로 매우 다른 기대를 가질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어떤 문화에서는 조직이 사람들의 성과에 근거해서가 아니라 그들의 가족 연줄 때문에 그들에게 보상을 할 수도 있고, 혹은 다국적 기업의 경우, 전반적인 기업 정신이 현지국의 그것과는 매우 다르기도 하다.
TEST3강 24~25번
In his endlessly amusing book, A Mathematician Plays the Stock Market, John Allen Paulos points out that we tend to misunderstand the role chance plays in the outcomes of apparently even games. Imagine that two people ― I will call them George Soros and George Bozos ― flip a fair coin 1,000 times each, competing to see who can come up with the most heads. We tend to imagine that, after that many flips, the outcome would almost always come out very even, with Soros and Bozos each getting about 500 heads and 500 tails. We infer from that conclusion that if one of the players actually ends up well ahead of the other, that outcome must be due either to an unfair coin or to the special skill of one of the players. In fact, as Paulos points out, there is a far greater probability that after 1,000 fair coin flips, Soros or Bozos would be well ahead of the other, having flipped 525 heads to, say, 475 heads. We might call this the law of small numbers; that is, 1,000 flips may seem like a lot, but actually it's not enough observations to ensure that Soros and Bozos will come out even. Thus, if 10,000 people all flipped a fair coin 1,000 times, the aggregate results would tend to be that a goodly number would end up with pretty good records and an equal number would end up with pretty sorry records. A very few would have spectacular records and a very few would have abysmal records. Far less than we might expect would have even records.
한없이 재미있는 자신의 책 A Mathematician Plays the Stock Market(수학자, 주식 시장을 가지고 놀다)에서 John Allen Paulos는 우리가 확률이 반반으로 보이는 게임의 결과에서 우연이 행하는 역할을 잘못 이해하는 경향이 있다고 지적한다. 두 사람이 ― George Soros와 George Bozos라고 부르겠는데 ― 공정한 동전을 각각 1,000번 던지며 누가 가장 많은 앞면을 낼 수 있는지 보기 위해 겨룬다고 상상해 보라. 우리는 그렇게 많은 던지기 후에 Soros와 Bozos가 각각 약 500번의 앞면과 500번의 뒷면을 얻어서 결과가 거의 항상 매우 대등하게 나올 것이라고 상상하는 경향이 있다. 우리는 그 결론으로부터 만약 선수 중 한 명이 다른 한 명보다 실제로 훨씬 앞서게 된다면, 그 결과는 틀림없이 불공정한 동전이나 선수 중 한 명의 특별한 기술 때문일 것이라고 추론한다. 실제로는, Paulos가 지적하는 것처럼, 1,000번의 공정한 동전의 던지기 후에 Soros 또는 Bozos가 가령 475번의 앞면에 비하여 525번의 앞면을 던져서 상대보다 훨씬 앞서 있을 확률이 훨씬 더 크다. 우리는 이것을 작은 수의 법칙이라고 부를 수도 있을 것이다. 바꾸어 말하면, 1,000번의 던지기가 많은 것처럼 보일 수 있지만, 그것은 실제로 Soros와 Bozos가 대등하게 끝날 것이라는 것을 확실하게 하기에 충분한 관찰이 아니다. 따라서 만약 10,000명의 사람이 모두 공정한 동전을 1,000번 던진다면 합한 결과는 상당한 수의 사람이 꽤 좋은 기록으로 끝날, 그리고 같은 수의 사람이 꽤 아쉬운 기록으로 끝날 경향을 보일 것이다. 극소수는 굉장한 기록을 낼 것이고 극소수는 최악의 기록을 낼 것이다. 우리가 예상할 수 있는 것보다 훨씬 더 적은 사람들이 반반의 기록을 낼 것이다.
TEST3강 26~28번
Once, a girl in my class called Emma decided to do a research paper on a particular political group. Her father was an active member of the group, as she herself was soon to become, so this major research paper of hers was a rite of passage as well. Perhaps because I was so enthusiastic over her choice of a topic, she assumed I was also sympathetic to her political point of view. Almost conspiratorially she expressed to me her worries about a history teacher who would also be reading her paper and giving it a grade. "Ms. Maples is quite open about her political views, and hers differ from my father's. I am worried how she'll mark my paper," she said. I assured her that Ms. Maples would insist, as I would, on an objective presentation of factual material and on sources other than publications of the political group in question, but that our insistence did not in any way imply a prejudice against her or her work. "As far as politics go," I told her, "mine are probably similar to those of Ms. Maples', and look how excited I am about your paper." I had meant to put her at ease, but my mistake was immediately evident from the blood leaving her face. I smiled with great kindness. "It's going to be a wonderful paper," I said. It's going to be the end of my life, Emma thought. As to the final outcome, it was a wonderful paper, and working on it with her was the beginning of one of the warmest relationships I ever enjoyed with a student. I tried not only to help her see different points of view, but also to give depth to her own. To achieve that, I introduced her to the novels of Ayn Rand and a few other books. What I saw in this girl was the ability to believe in something more than survival, gratification, and success. It was her having some conviction, aside from any content of the conviction itself, that I strove to reinforce. I think it was Toynbee who said that the values of Sparta and Valhalla are preferable to no values at all. And a misfired challenge to the young may be preferable to allowing their need for challenge and commitment to go unmet.
언젠가 내 수업에 Emma라고 불리는 한 소녀가 특정한 정치적 집단에 대한 연구 논문을 쓰기로 했다. 그녀의 아버지는 그 집단에서 활동하는 회원이었고, 그녀 자신도 곧 그렇게 될 것이었기 때문에, 그녀의 이번 주요 연구 논문은 통과 의례이기도 했다. 아마도 내가 그녀의 주제 선택에 너무 열광했기 때문인지, 그녀는 나도 역시 그녀의 정치적 관점에 동조한다고 지레짐작했다. 거의 공모하는 듯이 그녀는 자신의 논문을 또한 읽고 점수를 매길 한 역사 선생님에 대한 자신의 걱정을 나에게 표현했다. "Maples 선생님은 자신의 정치적 견해에 대해 상당히 솔직하신 편인데, 그녀의 정치적 견해는 제 아버지의 견해와 달라요. 저는 그녀가 제 논문을 어떻게 채점하실지 걱정돼요."라고 그녀는 말했다. Maples 선생님은 내가 그럴 것처럼 사실적인 자료의 객관적인 제시와 해당 정치적 집단의 출판물이 아닌 다른 자료를 요구하겠지만, 우리의 요구가 어떤 식으로든 그녀 또는 그녀의 결과물에 대한 선입견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라고 안심시켰다. "정치적 견해에 관한 한, 나의 것이 아마도 Maples 선생님의 것과 유사할 것 같은데, 내가 너의 논문에 대해 얼마나 신이 나 있는지 보아라."라고 나는 그녀에게 말했다. 나는 그녀를 안심시키려고 한 것인데, 그녀의 얼굴에서 핏기가 가시는 것으로부터 내가 실수했다는 것이 즉시 분명해졌다. 나는 매우 친절하게 미소를 지었다. "멋진 논문이 될 거야."라고 나는 말했다. Emma는, '이것이 내 인생의 마지막이 될 거야.'라고 생각했다. 최종 결과물에 관해 말하자면, 그것은 멋진 논문이었고, 그녀와 함께 논문 작업을 한 것은 내가 학생과 누렸던 가장 따뜻한 관계 중 하나의 시작이었다. 나는 그녀가 다른 관점을 볼 수 있도록 도왔을 뿐만 아니라 그녀 자신의 관점에 깊이를 더해 주려고 노력했다. 그것을 이루기 위해, 나는 그녀에게 Ayn Rand의 소설과 몇 권의 다른 책들을 소개해 주었다. 내가 이 소녀에게서 본 것은 생존, 만족, 성공보다 더 큰 어떤 것을 믿는 능력이었다. 내가 강화하려고 노력한 것은 확신 자체에 담긴 어떠한 내용 외에도 그녀가 어떤 확신을 갖는 것이었다. 내 생각에 Toynbee가 이렇게 말했던 것 같은데, Sparta와 Valhalla의 가치가 아무런 가치도 없는 것보다 낫다. 그리고 젊은이에게 실패에 그친 도전이 그들의 도전과 헌신에 대한 욕구를 충족시키지 않은 채로 두는 것보다 더 나을지도 모른다.